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정부 토큰증권 제도화
조각투자...가 뭐야? 조각투자는 비싼 미술작품·부동산·저작권처럼 혼자 투자하기엔 부담스러운 자산을 여러 조각으로 나눠 여러 명이 함께 투자하는 걸 뜻해요. 예를 들어 100명이 1만 원씩 모아 100만 원짜리 그림에 투자하고 그림에 대한 권리(=지분)를 나눠 갖는 거예요. 투자했다는 증거는 디지털 문서로 남고요. 나중에 그림 가치가 올라 200만 원에 팔면 1명당 1만 원의 이익을 올린 셈이 되는 것.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거래 플랫폼 수가 꾸준히 느는 등 규모가 계속 커왔어요. 근데 왜 제도가 새로 필요해? 2가지 이유가 있어요: 투자자 보호하기 어려워: 예·적금은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5000만 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어요. 주식은 기업의 정보를 법에 따라 공개해야 하고요. 하지만 조각투자는 이런 법이 없어서 위험에 대비할 장치도, 투자자가 판단할 기준도 부족했어요. 예를 들어 조각투자 플랫폼이 갑자기 망해도 돈을 돌려받을 장치가 없던 것. 기존 법 바로 적용하기 어려워: 조각투자는 사실상 주식·채권 같은 증권*이랑 비슷해요. ‘나중에 수익 나면 약속한 대로 돌려줄게’ 하는 거나, 사람들끼리 투자한 증서를 사고팔 수 있는 성격이 그래요. 하지만 원래 있던 법으로 바로 규제하면 이미 투자하고 있던 사람이 손해를 볼 수 있어요. 실제로 정부는 이런 이유로 작년 4월 음악 조각투자 플랫폼인 뮤직카우를 규제하려다 6개월의 시간을 준 적 있어요. * 증권: 재산에 대한 가치가 표시된 문서로, 주식·채권·어음·상품권 등이에요. 투자한 사람의 권리와 투자받은 쪽의 의무가 적혀 있어요. 그래서 어떻게 법 만들었는데? 기존에 있던 법을 그대로 따르되, 디지털 환경을 고려하는 특징을 한 스푼 넣었어요 🥄. 증권 관련 법에 블록체인 기술을 더했다고 해서 조각투자 상품을 ‘토큰 증권’이라고 불러요. 기존에 있는 법에: 조각투자 상품을 팔려면 관련 기관이 정한 규칙을 따라야 해요. 신고해서 심사도 받고, 정보도 알리고요. 투자한 사람은 조각투자한 상품에서 생긴 이익을 나눠 받고, 앞으로 투자한 상품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할 권리를 가져요. 디지털 환경 한 스푼: 조각투자에 참여했다는 증거인 증권은 디지털 문서로 받는데요. 누가 해킹으로 문서를 복제·조작하면 안 되니까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게 했어요. 블록체인 기술이 있으면, 투자한 사람 모두에게 서로의 투자 관련 기록이 남아서 복제·조작하기 어려워져요. * 블록체인 기술: 데이터가 여러 사람(블록)한테 나뉘어 저장(체인)되는 기술이에요. 원래 데이터는 서버 한곳에 저장했는데(=중앙화), 누가 한번 해킹하면 위험하잖아요. 그래서 여러 곳에 나눠 저장해 맘대로 바꿀 수 없게 한 기술이에요. 당장 투자해볼 수 있을까? 새 제도는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라 아직 조금 기다려야 해요. 그러려면 법도 몇 가지 새로 만들어야 하고요. 금융회사들은 벌써 조각투자를 도입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긴 했는데요. 전문가들은 큰 기대는 하지 말라고 조언해요. 제도가 새로 생기면 시장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 여러 사람이 투자에 뛰어들어서 조각투자 시장에 돈이 잘 흐를지도 봐야 하고요. 투자 상품을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없으면 말짱 꽝이니까요. 출처:뉴닉
(no title)
<김남국 의원> <난방비 폭탄, 전 정부 탓으로 윤석열 정부의 무능을 감출 수는 없습니다> 이어지는 한파에 폭설까지 내리고 있습니다. 계속되는 최강한파에도 따뜻한 겨울나기는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전기요금·도시가스 요금 등 에너지요금을 지속해서 인상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윤석열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에만 몰두할 뿐, 인상에 따른 민생대책은 없다는 것입니다. 특히, 취약계층은 난방비 폭탄으로 인해 최강한파의 고통을 맨몸으로 견뎌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대책도 없이 요금부터 인상하는, 참으로 무책임한 정부입니다. 정부의 무능하고 무책임한 태도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문재인 정부 탓이라며 난방비 폭탄의 본질을 흐리고 있습니다. 대체 언제까지 국정운영의 무능함을 전 정부 탓으로 감추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임기 중, 도시가스 요금 인상을 최소화한 바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야기된 가격폭등과 수급문제로 인해 LNG 수입단가가 279%, 즉 3배 가까이 올랐지만, 코로나19로 민생이 어려운 점과 도시가스 요금의 공공성,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인상 폭을 11.6%로 최소화하는 ‘정책적 결정’을 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윤석열 정부는 70% 오른 LNG 수입가격에 대응해 가스요금을 23.9%나 인상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는 비슷한 선택의 상황에서 서로 다른 결정을 했습니다. 정부의 의사결정은 각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 대통령의 국정운영 가치관, 집권당의 정치적 판단 등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니, 비슷한 상황에서도 결정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는 원재료값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국가가 지기로 결정한 것이고, 윤석열 정부는 그 부담을 국민에게 지우기로 선택한 것입니다.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그 선택에 대해 국민적 비판여론이 들끓자, 문재인 정부 탓을 하고 나섰습니다. 잘되면 내 탓, 못되면 남 탓입니다. 물론, 이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정책적 가치관에 따른 것이겠지요. 한편, 윤석열 정부는 올해 예산안을 정하는 앞선 과정에서 취약계층 지원 에너지바우처 사업의 예산을 지난해 대비 20.9%인 400억 가량을 대폭 삭감하기도 했습니다. 가스요금 인상이 즉흥적으로 이뤄진 결정은 아닐테니, 난방비 부담이 증가할 것을 알고도 서민과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 복지 예산을 대폭 줄인 것입니다. 정말이지 무책임한 국정운영입니다. 정부는 오늘 오전 취약계층의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을 확대하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야당의 지적에 뒤늦게라도 대책을 내놓아 다행입니다만, 정부가 발표한 대책은 언발에 오줌 누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한 것입니다. 이재명 당대표가 제안한 7.2조 규모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도 정부 여당이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횡재세를 통해 재원을 마련하면 충분히 실현이 가능한 만큼, 국회 차원에서도 신속히 논의해야 합니다. 또한, 민주당 소속 지방정부가 가용한 재원을 통한 대책마련을 강구하고 있는 만큼 중앙 정부 차원에서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합니다. 정부의 무능함에 국민이 얼어 죽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지금 정부 여당에게 필요한 것은 야당이면 무조건 반대하는 태도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 필요한 것은 적극 수용하고 협력하는 자세입니다. https://v.daum.net/v/20230126094332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