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ngun85
5,000+ Views

세계에서 4번째로 컸던 호수의 처참한 상황

1964년
2021년
남한 면적의 2/3 크기였던 아랄해
목화 재배 목적으로 소련이 상수원에 댐을 건설하면서
수위가 줄며 말라가기 시작

염수였던 아랄해가 증발한 곳은 소금사막으로 변하면서
상황을 악화시키기 시작했고

목화 재배에 쓰인 화학 비료가 유입되며 오염 가속화
결국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고 체르노빌과 함께
소련의 환경 재해로 박제됨

도탁스 켄틸레버님 펌
shingun85
15 Likes
4 Shares
3 Comments
Suggested
Recent
암튼 로씨야, 듕궉이 지구상 암덩어리들.
@iceman21 인도도 껴주세여
상수원은 어디??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1960~70년대 아시아 제일가는 마약 제조국과 아시아 마약 카르텔
메스 암페타민이라는 마약이 있어 종주국 : 일본 증상 : 강력한 환각, 각성 특징 : 만들기 쉽다 존나 쉽다 개개개개개 쉽다 메스암페타민은 일본 의사가 1893년 감기약을 개발하다가 발견했어 성분이 감기약과 유사하다보니 아편 대마 코카인 등 원재료 중요한 다른 마약에 비해 화학지식만 있으면 쉽게 만들수 있음 울나라에서도 걍 고딩 이과생이 저거 만들었다가 걸려서 난리난적 있더라고 이 성분을 주목한 일본의 다이닛폰 제약은 메스암페타민을 첨가한 피로회복제를 만들어 대대적인 광고를 했지 미국이나 다른 나라로 건너간 히로뽕은 시험공부 중인 학생이나 장거리 주행하는 트럭운전기사들을 중심으로 남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중독현상에 대한 심각한 보고가 없었고, 위험성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https://cm.asiae.co.kr/article/2019052814320517335 히로폰 익숙하지? 맞아 흔히 우리나라에서 히로뽕, 필로폰으로 불리는 그 마약이야 이 히로뽕이 대대적으로 사용된 시기는 2차 세계대전 바로 전쟁시기야 2차 세계대전은 연합국 추축국 가리지 않고 많은 군인들이 마약을 했어 왜냐? 피로를 빨리 회복시켜주고, 더 용감하게 잘 싸우게 해주거든 각성제 효과로 죄책감이나 피로감 두려움을 일시적으로 감춰주거나 원하는 환각을 보여주니까 당연히 만들기 쉬운 메스 암페타민, 히로뽕도 많이 사용했고 이후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히로뽕은 연합국이던 추축국이던 거의 모든 전장에서 군인들에게 보급됐다. 야간행군 때 졸지 않고 집중력을 유지시켜주고, 한편으로 병사들의 겁을 없애준다는 이유 때문이다. 각 군의 지휘관들은 중요한 보급물자 중 하나로 이 메스암페타민을 수만정씩 보유하고, 병사들의 사기와 내구력 향상 등의 목적으로 정기 지급했다. https://cm.asiae.co.kr/article/2019052814320517335 종주국인 일본은 특히 말할 것도 없었지 특히 전쟁 막바지로 갈수록 심각한 난전, 악전고투를 겪던 일본 군인들의 필수품이었음 가미카제에 탔던 병사들도 히로뽕을 투여한 채 자살테러를 감행했고 그 전쟁의 결과는 우리도 다 아는 빵 그렇게 전쟁은 한순간에 끝났고 일본에세 남은건 패배와 반쯤 박살난 국토 그리고 군창고에 쌓인 수많은 히로뽕이었어 사실 메스 암페타민은 화학 실험으로 만들어지는 마약이야=제조하는 화학 기술자가 따로 군대에 고용돼 있었다는 거임 근데 일본 패망 후 갑자기 메스암페타민을 제조하던 기술자들이 한번에 실업자가 된거야 굶어 죽을수는 없잖아? 그래서 기술자들은 군인을 위해 제조하던 메스암페타민을 민간에 팔기 시작했지 이미 메스암페타민이 첨가된 피로회복제가 팔리는 판에 군대에서 쓰이던 순수 메스암페타민까지 등장한거야 그러자 일본에는 이미 메스암페타민에 중독된 군인들 뿐 아니라 민간에도 많은 중독자가 발생에 큰 문제가 생겼고 1945년 패전 후에는 구 일본군이 보유하고 있던 대량의 필로폰 재고가 암시장을 통해 흘러나왔다. 일본 전역에 마약 중독자가 속출했다. 일본은 1951년까지 각성제 유통에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았다. 1965년에는 ‘제2차 각성제 남용기’가 도래했다. 전쟁 후 혼란한 사회 속에서 재건에 열을 올리는 노동자, 밤낮없이 활동하는 연예인과 그 뒤에 암약하는 야쿠자들의 손을 타고 각성제는 일본의 대표적인 마약으로 자리 잡았다.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6&t_num=13608109 1951년 일본 정부가 금지약물로 지정해서 제조, 판매를 금지했어 어 정부가 잘했네 그..으렇긴 그런데... 2022년으로 점프해볼까? 미국은 주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하드드럭+일부 소프드드럭이 불법이야 강력하게 마약을 단속하고 있고 마약 단속반은 거의 특부부대라 해도 과언이 아님 근데 미국에서..마약을 안해?? 존!!!!나 하잖아 미국 살아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상상이상으로 많음 가끔 길거리 걷는것도 무서움!!! 그것도 무시무시한 마약 갱단이 붙어서 하지 물론 미국의 마약 중독이 단순히 마약 금지때문만은 아니고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마약을 금지한다고 마약이 뚝 끊기는건 아니란거지 오히려 불법화되고 위험해지니까 폭력 조직들이 개입해 일본도 야쿠자가 메스암페타민 사업에 뛰어들었어 당연히 마약산업은 각종 불법+검은돈이 몰리는 산업이 됐음 일본 정부도 굉장히 강경해서 대대적인 체포 작전으로 5만명 넘게 체포하기도 했어 그야말로 일본판 마약과의 전쟁이었음 심지어 1960년대에는 마약 제조자에게 최대 사형까지 구형하도록 법을 개정했는데 이렇게 마약관련 법이 강해지자 마약업자+야쿠자들은 눈을 돌리기 시작했음 잠깐 2022년으로 다시 점프해볼께 미국이 마약을 많이 한다고 했잖아 그럼 이 마약은 어디서 올까? 미국? ㄴㄴ 미국 아래있는 멕시코부터 더 아래있는 중남미 국가에서 재배, 제조되서 유통돼 그래서 그 국가들은 마약카르텔에 국가가 잠식되어 있는 수준이고 미국내 단속이 엄격하고 빡세질수록 마약 산업은 돈이 되는 산업이 됨과 동시에 근처 다른 곳에서 제조하려고 하는거야 그리고 미국이 단속 빡세질수록 그 카르텔에 마약상과 마약카르텔 갱들은 더 활개치고 시민들은 더 괴로워하지 OEM이라고 알지? 주문자가 요구하는 제품과 상표명으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 따지자면 미국의 마약은 멕시코와 중남미 국가에서 OEM 생산하여 판매되는거라고 봐야해 다시 1960년대로 가서 마약 제조업자들과 야쿠자들에게 메스암페타민 산업은 너무나 ~ 돈이 되는 산업이지만 자칫하다간 사형까지 당할 수 있는 위험한 산업임 이때 얘네 선택을 고르시오 1. 회개하고 새삶을 산다? 2. 죽기를 각오하고 계속 만든다? 둘다 놉 3. 가까운 곳에 생산 기지를 만든다 돈도 되고 안전하고 개굿! 자 이제 눈치챘겠지 일본에서 제일 가까운 나라는 좆같게도 우리나라야ㅋㅋ 그것도 제일 가까운 곳은 제2의 도시 부산 일본과 가깝고 항구라 해상교통도 편리하니까 맞아 일본에 유통할 마약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제조하기 시작해어 이때 배경으로 만든 영화가 마약왕인데 안봐서 뭐라 말을 못하겠다 아무튼 스토리라인이 일본에 마약 파는 내용이더라구 그때까지 우리나라는 마약에 대한 제재가 별로 없고 큰 문제를 일으킨적도 없었어 소프트드럭이라는 대마도 시골 어르신들이 종종 키워서 사용했었고 은근히 피는 사람도 흔했으니까 그런 헛점을 이용해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야쿠자 세력 및 마약 상들이 마약을 제조하기 시작했고 그 아래 일하는 사람들도 점차 기술을 배우고 마약 장사에 참여하기 시작해 그리고 한국 조폭들의 큰 자금줄이 됐지 당시 한국에 뭐 4대 마약왕이니 마약 거물이니 유명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걍..아오안이라 더 안찾아봄..알빠쓰레빠 방식은 이래 대만에서 원료를 사온다->부산에서 만든다->일본에서 판다 어 따지자면..가공무역?..을 가장한 카르텔이지 뭐 저기에 개입되는건 일본의 야쿠자/한국의 조폭들이었고 폭력 조직과 각종 불법이권의 돈줄이 되어준게 바로 마약이었거든 그렇게 60년대~70년대까지 일본 히로뽕 생산량의 80%를 한국, 부산이 차지헀어 그것도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의 히로뽕보다 한국 히로뽕이 유독 질이 좋아서 일본 시장을 장악했다고 해 참...어떻게 마약도 굳이굳이 더 잘만드네..재능낭비? 그렇게 1970년대까지 부산 지하경제는 히로뽕이 장악했고 돈이 어마무시하게 들어왔어 그렇지만 히로뽕 중독자는 우리나라에 거의 없었지 물량을 죄다 일본에 팔았거든 왜냐면 우리나라사람들은 가난했고 돈을 버느라 바쁘지 돈주고 비싼 마약을 살 여유가 거의 없었으니까 그런데 1980년대들어 사정이 달라지기 시작해 1. 돈이 되니 사람이 몰리고 사람이 몰리니 기술(???)이 발전했다 =양질의 히로뽕 생산량이 늘었다 + 2. 일본에서 코리안 마약 카르텔을 눈치채고 대대적으로 한국산 수입품을 단속했다 =대부분 일본에 수출되지 못하고 부산에 물량이 남았다 그래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히로뽕 물량이 촤악 풀렸지 실제 우리나라에서 다른나라와 다르게 유독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의 마약이 바로 히로뽕임 왜 오죽하면 SON of 정희, BROTHER of 근혜인 박지만 (=약쟁쓰)도 가장 많이 걸린게 히로뽕이겠어 헐 우리나라도 그럼 완전 약쟁이 나라 된거아냐? 놉 다행이 우리나라는 마약이 퍼지는 속도보다 정치 경제 사회 변화가 개빠른 나라였고 마약이 우리나라를 장악하기전 마약을 여러 선진적 체계가 빠르게 자리잡았어 단속반이 생기고, 마약단속법이 생기고 인식이 바뀌고 등 더불어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건비, 물류비, 물가 모든게 상승하다보니 계속 OEM을 하기엔 단가가 안맞았지 어쨌든 마약 산업(?)도 돈벌려고 하는건데 울나라에서 만들면 더이상 돈이 안되는거야 마이너스 수준임 걍 평범한 합법 공산품도 우리나라에서 만들면 인건비 임대료 등으로 가격이 비싸지는데 하물며 마약은.. 그래서 많은 마약 제조상들이 다른나라로 떠났고 우리나라는 다행이 마약제조국에서 벗어날 수 있었음 만약 우리가 빠르게 변화하지 못했다면, 사실 거대한 마약카르텔이 나타났을진 아무도 모르는 일이지 마약 카르텔의 가장 최악의 결과는 현재 멕시코나 남미를 보면 되고 또 아프가니스탄 같은 최빈국+분쟁국가도 부자국가의 마약 OEM으로 먹고 살며 마약카르텔에 갇힌 나라거든 물론 그 흔적은 아직 남아있지만..우리나라 아직도 가장 높은 비율의 마약이 히로뽕임 히로뽕은 투약횟수, 정도에 비해 몸에 끼치는 해가 아주 큰 마약임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혹시라도 손도 대지 말자 막간 TMI 최근 개봉한 디즈니 영화 엔칸토는 화려한 색감과 신나는 음악이 특징인데 그 밝은 연출 뒤로 무거운 내용을 담고 있어 엔칸토의 시작이 바로 콜롬비아 내전이야 주인공 가족은 내전을 피해 도망쳐온 사람들이고 콜롬비아는 마약 카르텔의 큰 영향을 받은 나라고 당연히 콜롬비아 내전도 그 마약과 카르텔의 영향을 받았음 마약왕으로 불리던 나르코스가 콜롬비아 출신이기도 하고 마약과 콜롬비아는 절대로 뗄 수 없지 미국에서도 콜롬비아와 마약을 많이 연관지은 미디어, 콘텐츠가 많이 나오는데 사실 본인들도 책임 아주 크다는건 가끔 망각하는 것 같아 ㅋㅋ ㅊㅊ
2차대전 때 미해군 수병들은 무엇을 먹었는지 알아보자
이 글은 2차대전 시기만 다룸, 미해군 수병들은 평균적으로 4,000칼로리를 하루에 소비하는데 이런 폭발적인 열랑의 소모를 메꾸기 위해서 미해군은 새로운 직별을 1900년대에 창설함, 조리병에서 시작해서 제빵사, 요리사, 도축업자, 그리고 조리최선임 담당관이였음, 최선임 담당관은 함선의 식량 수량을 확인하고 조리병들한테 재료를 배분하고, 또한 주방에선 주방장을 도와 식단을 짜기도 함, 대부분의 배는 조리장, 빵집, 그리고 정육소가 있었음, 대부분의 장구류는 수백명의 수병들의 수요를 맞춰서 거대했음, (BB-35 텍사스의 조리실) 조리실은 오븐과 구이용 팬, 그리고 사람만한 찜통이 있었음(위 사진에서 보이는 흰색의 통들), 제빵사는 사람만한 혼합기와 도축업자는 소고기를 한번에 썰수 있는 톱을 배당받았음, (BB-55 노스캐롤라이나의 제빵소) 요리책은 수준급의 식사와 효율성을 위한 조리법으로 구성되었음, 조리법은 기본이 100인분이였음, 조리법에는 가끔가다 비엔나 소시지와 고구마같은 괴식이 나오기도 했지만 영양학적으론 필요한 식단이였음, (BB-55 노스캐롤라이나의 감자 깎기실) 감자 깎기는 매체에서 흔한 처벌 수단으로 나타나지만 의외로 효율성이 영 좋지 않아서 나중에는 기계식 감자 깎기 기계를 도입했음(사진 왼쪽의 흰색 기구) 전투배치 상황에서도 조리병들은 수병들을 위한 샌드위치와 커피를 준비하며 일했음, 2차대전 미해군의 식단 예시는 다음과 같았음, 봄, 금요일의 식단으로는 아침 반으로 자른 자몽, 밀로 만들어진 시리얼, 구운 콘밀 무쉬, 메이플 시럽, 바삭한 베이컨, 버터, 토스트, 우유, 커피 점심 토마토 주스, 연어 구이, 뭐라 설명하기 어려운 감자요리, 버터랑 같이 볶은 당근, 견과류와 포도를 넣고 섞은 샐러드, 스펀지 케이크, 빵, 버터, 커피 저녁 양배추와 함께 구운 소고기, 웨지감자 비슷한 구운 감자, 양상추 심지 샐러드와 1000드레싱, 반으로 자른 배, 코코넛 버터 쿠키, 빵, 버터, 코코아 이외에도 아침, 점심, 저녁의 구성은 다음을 따라야 했음, 아침 과일:신선한, 동결된, 가루형, 건조, 혹은 통조림 과일은 에피타이저와 영양학적 이유로 포함되지만 굳이 아침에 제공될 필요는 없고 식단에 따라 조정될수 있음, 시리얼:시리얼은 힘의 근원이며 또한 우유와 함께 먹을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상황에 따라 뜨거운 혹은 차가운 우유와 배식됨, 주식:주식은 햄이나, 베이컨, 계란, 소시지, 크림 건조된 소고기, 구운 무쉬, 프렌치 토스트, 핫케이크, 아니면 다른 음식이 올라갈수 있음, 프렌치 토스트나 구운 무쉬가 올라간다면 잼이나 시럽, 젤리도 같이 배식되었음, 빵:빵은 토스트나 롤케이크, 옥수수빵, 비스킷, 혹은 커피 케이크 형태로 배식됨, 도넛이나 팬에 구운 빵도 배식될수 있음, 잼과 젤리:잼과 젤리는 버터를 대체하여 배식될수 있음, 음료류:음료는 커피나 차, 코코아, 우유가 배식되었음, 점심 수프:수프는 아침이나 저녁식사라도 배식받을수 있음, 만약에 야채수프가 배식된다면 샐러드도 같이 배식되었음, 수프는 수병들의 주된 야채 섭취원중 하나임, 고기:고기는 언제나 가장 선호되는 음식임, 해군에서 구매되는 고기는 최상급이지만 부주의한 요리 방식으로 많은 양이 낭비될수 있음, 과조리를 삼가하며 배식됨, 그래이비:그래이비 소스는 고기와 함께 배식됨, 좋은 그레이비는 부드럽고 간이 잘되있으며 느끼하지 않음, 뜨겁게 배식할것, 채소:감자를 제외한 초록색 혹은 노랑색의 채소는 맛과 비타민적인 요소로 필요함, 절임:절임은 샐러드를 대체하여 나올수 있음, 주로 당근 절임과 양파, 무, 순무, 양배추 절임이 배식됨, 피클이나 비트도 배식될수 있음, 샐러드:고기나 초록색 채소, 과일로 만들어진 샐러드는 차갑고 아삭한 상태로 배식됨, 디저트:디저트는 행복감을 위해 필요함, 대부분은 단 디저트를 선호함, 무거운 식사에는 가벼운 디저트가 배식됨, 음료류:커피나, 차, 코코아, 우유, 그리고 과일음료가 배식됨, 저녁 주식:고기는 보급품 현황에 따라 쓰일수도 안쓰일수도 있음, 저녁은 대부분 점심보다 가벼웠음, 하지만 수병들의 일과에 따라 변동됨, 고기와 쌀, 마카로니와 치즈, 찹 수이, 크림 소고기, 걸쭉한 차우더, 베이크드 빈즈, 그리고 비슷한 요리들이 배식됨, 또한 점심으로부터 남은 재료들이 재활용됨, 샐러드:채소와 과일로 만든 샐러드, 혹은 주방장이 만든 샐러드는 주식과 함께 배식되며 영양학적으로 중요함, 디저트:디저트는 저녁의 양과 칼로리 수준에 따라 변동됨, 음료류:커피나, 차, 코코아, 우유, 그리고 과일음료가 배식됨, 날씨에 따라 냉차나 차가운 과일음료가 배식되었음, 이런 식단들은 함의 보급품 현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었음, 미해군 수병이 배식이 권장된 음식의 수량은 다음과 같은 우유:470ml 계란:1알 육식류:1번 이상의 배식 콩류(땅콩버터 포함):주마다 1~2번 버터:20~50g 시리얼과 빵:2번 이상의 배식 과일:2번 이상의 배식, 귤류는 자주 배식할것, 채소:감자를 제외해서 2번 이상의 배식, 초록색 혹은 노랑색 채소는 날마다 샐러드 형태로 배식 (이오지마로 항해하는 배 안에서 식사를 준비하는 수병들) (미해군 바지선 Quartz에서 아이스크림 배식을 받는 수병들) (해군 항공대 소속 조종사인 조세프 클린턴 클리프턴 대령이 아이스크림을 통째로 퍼먹는 모습) 아이스크림은 미해군의 거의 모든 함정, 심지어 잠수함에도 제조기가 달렸을정도록 아이스크림 보급에 열정적이였음, 육군만해도 3척의 아이스크림(그리고 냉동식품)보관용 바지선을 건조해서 운영했을 정도로 미군 전체가 아이스크림에 열광함, 미해군은 구축함 선원들한테 추락한 조종사 1명마다 일정량의 아이스크림 보급을 약속함, USS Hancock의 선원이던 Daniel W. Klohs가 2005년 사망하기전 쓴 회고록에 따르면, 조종사 1명당 25갤런의 아이스크림과 함장과 부장한테는 2병의 위스키를 보급하는게 맞지만 아이스크림은 10갤런씩 포장되어 왔기 때문에 총 30갤런을 보급받음, 또다른 선원인 Tom Kocurko의 회고에 따르면 조종사 1명당 10갤런의 아이스크림을 배급받았기 때문에 그 당시 농담으로 하나 격추시키진 말이 나왔다고함, 다만 조종사들은 자신이 고작 아이스크림에 비교당하는게 좀 아나꼬왔음, 미해군 조종사인 중령 Norman P. Stark의 회고록에 따르면 미해군 구축함인 USS Yarnall에 구조당했을땐 수병들이 잃어버린 형제라도 찾은듯 반겨줬다고함, 그 당시엔 몰랐지만 조종사 1명당 10갤런 아이스크림의 가치가 있다는걸 자신을 제외한 모두가 알고 있었다고 함, 항모로 복귀하고 USS Yarnall의 수병들이 떠나면서 던진 말에 비로소 자기가 10갤런의 아이스크림의 가치를 가진걸 알고 불쾌한 표정을 지음, 또다른 유명한 이야기로 1942년 렉싱턴이 침몰하던중 수병들은 조리실 냉장고로 뛰어가 빠루를 가지고 냉장고를 따기 시작함, 그렇게 따인 냉장고에선 수병들이 주변에 잡히던 모든것을 동원해서 아이스크림을 주워 담음, 심지어 땀범벅인 헬멧에다가 담아서 깨끗이 핣아먹은 수병도 있었다고 전해짐, 미해군 공식 페북 계정 피셜론 미해군 수병들이 줄서서 기다리고 있던 아이스크림 보급선에서 2명의 장교가 끼어들자 뒤에서 뒷통수에 쌍욕을 갈김, 쌍욕을 갈긴건 다름아닌 해군 대장 윌리엄 할시였음, 2명의 장교의 행방은 지금까지 전해지진 소식이 없음, USS Quartz는 미해군이 바지선을 개조해서 아이스크림 보급함으로 만든 예시임, 2000갤런(7,570리터)의 아이스크림을 수용하고 7분마다 10갤런(37리터)의 아이스크림을 생산했음 (2차대전때 현역이던 USS Quartz와 현재 브리티쉬 컬럼비아에 방치된 USS Quartz) 1945년 추수감사절 당시에 미해군이 소모한 음식의 수량은 약 7,400명이 600마리의 6.8kg짜리 칠면조를 먹어치우고 또한 같이 먹어치운 음식의 수량은 다음과 같음, 1,300kg의 컬리플라워, 680kg의 방울다다기양배추, 907kg의 감자, 90kg의 크랜베리, 450kg의 견과류, 1,580kg의 사탕류, 1,136kg의 아이스크림, 378kg의 홀스레디시 소스, 1,000개의 호박파이, 12,000개의 롤케이크, 378kg의 피클, 그리고 전원한테 공짜 담배 1갑이 배급됨. 군사갤러리 ravdozka님 펌
[세나개]할아버지와 대박이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몸이 불편하심에도 불구하고 대박이를 위해서 폐지를 주워 생계를 유지하셔 최근엔 대박이가 건강이 안좋아져서인지 사료를 잘 먹지않아 할아버지가 걱정이 많으심 간식 한가득 대박이가 이걸 잘먹는대 할아버지 집 근처에 목줄을 묶어놓은채 사료가 담긴 후라이팬과 함께 버려졌었고, 할아버지가 거둬 주신지가 3년째 둘 다 힘들어서 중간 중간 쉬는 중.. 주저앉는 대박이가 마음이 아픔.. 대박이의 건강상태를 보기위해 설채현 수의사님께서 오심..! 그와중에 손내미는 개인기 너무 귀여워😭 할수있는게 주물러주는거 밖에 없어 하루 몇시간이고 대박이를 쓰다듬고 주물러주시는 할아버지 검사를 위해 채혈하려는데 피가 나오지 않는 상황 우여곡절끝에 검사를 마쳤는데 다행히도 췌장이나 신장엔 이상이없고 대체적으로 건강한 편이래! 하지만 걱정했던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대박이.. 꾸준히 약먹고 치료받으면 된다고 희망을 주시는 선생님 선생님 정말 좋으심.. 대박이가 병원에 다녀온 후 길을 나서는 할아버지 버스타고 두시간.. 그리고도 한참 걸으심.. 집엔 가스렌지도 없지만 밥솥으로하면 된다고 담담한듯 말씀하시는 할머니 뜨거우니 찬물에 식히는 중 잘먹는 대박이 대박이 사연을 듣고 동물단체에서 도우러 오심 대박이의 견사도 지어주고 대형견 두마리를 돌보는게 힘들어 촐랑이의 좋은 입양처도 알아봐주신다고 해준게없어 미안하다고 우시는 할아버지ㅠㅠ 할아버지는 연신 감사하다고 하심.. 이후에 이어지는 영상이있는데 안타깝게도 입양처에선 촐랑이가 너무 크다는 이유로 끝내 입양을 거절했다고 하네..ㅠㅠ 출처
신비롭고 특이하게 생긴 보석의 종류들.jpg
이끼 마노(Moss agate)라고 하는 보석으로 보석 마노의 한 종류임. 물론 진짜 이끼가 낀 건 아니고 마노 안의 석영과 다른 혼합물들의 화학적인 결합으로 이끼가 낀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함. 이렇게 녹색 줄무늬만 있는 경우도 있고 붉은색, 검은색, 파란색, 노란색 등 보석 안의 화학 물질의 성분에 따라 줄무늬 색이 달라진대. 보석 안의 화학성분이 이산화망간이면 검은색, 철이 있으면 붉은 색으로 보인다는데 특징은 돌마다 함유하고 있는 화학물이 다르니까 모양이 각각 다름. 그리고 그 모양이 선명하고 아름다울때 최상급 퀄리티로 비싸게 팔림. 그리고 원석의 의미는 풍요와 번영, 건강, 창의성의 발휘 등등이라고 해서 지니고 있으면 좋다고 홍보하더라ㅋㅋㅋㅋㅋ 근데 그런 의미가 없어도 예뻐서 가지고 싶을 것 같음ㅋㅋ 인도, 스코틀랜드, 미국(오리건 주), 브라질, 중유럽, 우루과이 등에서 채취할 수 있음 (산맥을 날아다니는 용의 모습이 보이는 이끼 마노) (구름 속의 용같은 모습의 이끼 마노) 보는 것처럼 모양이 아름답기 때문에 단순 장식용으로도 쓰이는데, 가공해서 반지, 팬던트 등의 장신구로도 많이 만듦. (반지로 가공한 이끼 마노) 요렇게 둥글둥글하게 컷해서  팔찌를 만들기도 하고 열쇠고리로도 만들고 팬던트로도 만듦. 보면볼수록 신비롭게 생겼고 자연을 담고 있는 것 같음.. 가격은 자연원석이지만 1캐럿당 100~500루피 (약 2달러~7달러) 정도 하고, 개중 퀄리티가 좋은 것들은 프리미엄이 붙어서 비싸진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