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ibu
1,000+ Views

처음에는 까칠하지만 친해지면 애교폭발하는 진돗개..

처음보는 언니(견주) 친구..
가족 아니니까 바로 드리프트 ㅋㅋㅋ 경계경ㄱㅖ..


천천히 친해지는중
(좋아하는거 맞음ㅋㅋㅋㅋㅋ이빨 무사와..)


오랜만에 다시 만난 언니 친구!!!
바로 알아봄 ㅎ


궁디씰룩 배까뒤집ㅎ


장난감으로 놀아주기 호감업업


계속 옆에서 궁디 붙이고 있음ㅎㅋㅋㅋㅋ ㄱㅇㅇ


이제 밖에서 만나도 바로 알아봄
헤헤🐶 언니조아💕



진돗개는 귀엽다
ㅇㅈ? ㅇㅈ
4 Comments
Suggested
Recent
사람이나 동물이나... 사랑받고 있다는 것은 확실히 아는듯 해요. 👍
짜슥 꼬리 흔드는거보소
아닠 ㅋㅋㅋ 경계했던날도 꼬리콥터 시전인데요???😆😆
헉, 숫놈일듯...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현재 막을 수 없는 일본 내 회전초밥 테러 챌린지 유행 근황
이 영상의 주인공은 고딩이라는거 이미 털려서 잘알려졌는데... 해당 체인점 이름은 '스시로' 라는 회전초밥집임 근데 이사건으로 시총액이 160억엔이 날아갔음 ㄷㄷㄷ 해당 영상의 주인공 부모가 사과를 했지만  스시로는 절대로 안 물러나고 민 형사 고소 준비 한다고함 최근 개드립에도 종종 언급된 일본 내 '회전초밥 테러 챌린지' 몇년 전에도 해당 챌린지가 유행해 특정 회전초밥기업의 주식이 박살날 정도로 이슈가 되었는데 요즘 해당 챌린지가 다시 유행하는 중 최근 일본언론에서도 자주 보도하여 잠잠해지나 싶었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어제 테러 당했던 회전초밥집 '스시로'에서  소스통에 이물질을 넣는 테러영상이 틱톡에 또 올라옴 이미 야후재팬에서는 댓글 3천개가 넘을정도로 이슈가 되는 중.  일본 내 회전초밥 불안해서 안가겠다는 여론도 꽤 커지고 있음 타인이 주문한 디저트 일부분만 먹고 다시 되돌리는 빌런 ㄷㄷㄷ 소스통에 간장 섞는 빌런 ㄷㄷㄷ 전에 회전초밥 할짝할짝 사건때문에 난리난 스시로에서 또 발생했다함. SNS에 미친놈들인가... 퍼온곳-개드립
100년간의 품종 개량이 낳은 끔찍한 결과.jpg
Bull Terrier (불 테리어) 한때 불테리어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잘생긴 운동선수 같은 개였다. 언젠가부터 불테리어는 변이된 두개골과 두꺼워진 복부를 갖게 됐고, 강박적인 꼬리 쫓기와 같은 만성질병들도 갖게 됐다. Basset Hound (바셋 하운드) 바셋하운드는 몸의 높이가 낮아지고, 뒷다리 구조의 변화, 과도한 피부와 척추 문제, 축 처진 눈에 발생한 내반증과 외반증, 그리고 과도하게 커진 귀로 인해 고통 받고 있다. Boxer (복서) 짧아진 얼굴은 수많은 문제를 뜻한다. 현대의 복서는 더 짧은 얼굴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둥이도 살짝 위쪽으로 굽었다. 복서는 – 모든 단두종 개들과 마찬가지로 – 더운 날씨에 체온을 조절하는데 문제가 있고, 열을 발산하는 능력이 없어서 신체적인 능력에 제한을 받는다. 또한 가장 암 발생률이 높은 품종 중 하나다. English Bulldog (잉글리쉬 불도그) 잉글리쉬 불도그는 인기 있는 개에게서 볼 수 있는 모든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들은 거의 모든 질병으로 고통받는다.  2004년 Kennel 클럽에서 조사한 바로는 6.25살(중앙값)에 죽는다고 한다. 건강한 불도그 같은 것은 없다. 불도그의 괴물 같은 비율은 의학적인 개입 없이는 사실상 스스로 교미를 하거나 태어날 수 없게 만든다. Dachshund (닥스훈트) 닥스훈트는 원래 기능적인 다리와 체격에 합당한 목을 가지고 있었다. 등과 목은 더 길어졌고, 가슴은 앞쪽으로 튀어나왔고, 다리는 비율상 더 짧아져서 가슴과 바닥이 거의 닿을 것처럼 됐다. 닥스훈트는 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추간판탈출증(디스크) 발생 위험이 큰 품종이 됐다; 또한, 병리학과 관련해서 연골발육부전증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진행석 망막 위축증(PRA)이 발생하거나 다리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높다. German Shepherd (저먼 셰퍼드) 저먼셰퍼드는 사람들이 망한 품종에 대해서 얘기할 때 항상 언급되는 견종이다; 아마도 과거에 최고였기 때문일 것이다. Dogs of All Nations라는 책에서는 저먼셰퍼드가 중형견(25kg /55 lb)로 묘사된다. 이것은 오늘날 각이 지고, 가슴이 두툼하며 기울어진 등을 갖고, 운동실조증이 있는 85 파운드(38kg)의 개와는 거리가 멀다. 저먼셰퍼드가 2.5미터(8.5ft)의 벽을 넘을 수 있었던 때가 있었지만, 이미 옛날이 되어버렸다. Pug (퍼그) 퍼그는 또 다른 극단적인 단두종 품종이고 그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가지고 있다. – 고혈압, 심장 문제, 저산소증, 호흡 곤란, 과도한 발열, 치아 문제, 접힌 피부로 인한 피부염.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두 번 꼬인 꼬리는 실제로는 유전적인 결함이다. 심각한 형태의 경우엔 마비를 유발할 수도 있다. Saint Bernard (세인트 버나드) 한때 당당한 사역견이었지만 현대의 세인트 버나드는 사이즈가 너무 커졌고, 얼굴이 납작해졌다. 그리고 불필요한 피부를 갖도록 개량됐다. 아마 사역견 중에선 이런 형태의 개를 볼 수 없을 것이다. 빠르게 열이 오르기 때문에 사역견으로 부적합하다.  내반증과 외반증, Stockard 마비, 혈우병, 골육종, 무수정체증, 피브리노겐 결핍증 같은 질병들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집단이든 유전질병이 전혀 없기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하지만 브리더(품종 개량가)들이 품종 특징을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하는 것들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외형을 바꾸는 브리더들은 품종을 개량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들은 많은 동물들을 비참한 상태로 만들뿐이다. 그 어떤 견종들도 짧거나/길거나/납작하거나/크거나/작거나/곱슬거리는 “어떤 특성이든” 이게 더 낫다고 하는 변덕스러운 사람의 결정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다. 일생동안 더 나은 모습을 위해서 고통받도록 개의 운명을 결정짓는것은 개량이 아니다. 그건 고문이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