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도 전에 디지털 시대의 위험성을 경고했던 게임 ㄷㄷ
[메탈기어 솔리드2 스토리에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메탈 기어 솔리드 영화같은 연출 실제 프랑스 외인부대 출신 용병이 검수를 맡아 그 시대 기준으로 현실적인 묘사 잠입게임의 선구자 등 다양한 호평과 더불어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뒤 게임 디렉터 '히데오 코지마'의 이름을 세계에 알린 작품임 1편의 흥행이후 2000년도 E3에 후속편인 메탈기어 솔리드2 예고편이 공개되었음 게임쇼에서 공개 됐을 때는 말 그대로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엄청난 반응을 불러 일으켰음 발전한 그래픽과 모션, 물리 효과, 게임 플레이 전작 주인공인 스네이크가 유조선에 잠입하고 메탈 기어와 싸우고 침몰하는 유조선에서 사격전을 벌이는 모습은 엄청난 스케일과 발전을 보여줌 요즘에는 경험하기 힘든 진짜 차세대 게임의 충격이었음 또 전작에서 확실히 죽었던 보스가 실루엣으로 다시금 등장하기도 해서 게이머들의 2편에 대한 의문과 기대는 폭발 직전의 상황 그런데 뚜껑을 따보니 다른 의미로 엄청난 상황이었음 게임이 발매 되고 보니 주인공인 스네이크 게임 시작 두 어 시간만에 죽어버리고 트레일러 영상에서 부활한 줄 알았던 보스의 실루엣은, 사실 피규어였음 피규어를 손전등이 비추고 있어서 벽에 거대한 그림자가 생긴 거였음 게다가 주인공도 1편의 스네이크에서 라이덴이라는 곱상한 금발 남캐로 바뀌어버리고 게이머들은 자기가 기대한 후속작의 모습과 달라서 혼란함을 겪음 왜냐하면 이런 전개와 주인공의 교체는 정보가 하나도 공개가 안 됐었거든. 트레일러에서도 나오지 않았고 존 오브 엔더스라는 게임과 함께 동봉되었던 메탈기어솔리드2의 체험판에서도 인터뷰나 그당시 광고를 했던 잡지 등에서도 나오지 않았던 전혀 설명 안 된 캐릭터가 갑자기 주인공 자리를 차지해버림 게다가 이 라이덴이라는 캐릭터는 메기솔2 초중반부를 플레이하다 보면 상당히 메타픽션적으로 보일만한 요소들도 많음 라이덴은 VR 훈련으로만 훈련하고 처음 실전을 뛰며 VR 훈련을 했다고 근거없는 자신감의 쩔어있는 주인공이고 전작의 주인공 솔리드 스네이크의 팬임 그리고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일어났던 일들이 사실은 S3 즉 Solid Snake Simulation의 약자로 어떤 인물이든 상황이 갖추어지면 전작의 주인공이였던 솔리드 스네이크 같은 영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이라는걸 밝히며 마치 시리즈 팬인 플레이어를 조롱하는듯한 상당히 메타픽션적인 캐릭터로 볼수있게 되버림 단순히 진행된 부분만을 보자면 라이덴은 메탈기어 시리즈의 팬이며 비디오 게임에 중독된 팬들에 대한 비유로 느껴질수가 있음 하지만 메탈기어 솔리드 2 가 게임계의 명작으로 불리는 이유는 단순히 1편을 즐겼던 팬들을 실망 시키려고 만든게 아니라는거임 메기솔2 스토리가 나타나는 테마는 스토리 중후반 라이덴의 과거가 밝혀지는 부분부터 서서히 진실이 밝혀지기 시작함 게임을 플레이했던 라이덴이 햇병아리 신병이라는 뒷배경은 사실 거짓이었고 내전에서 전쟁터를 구른 소년병이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그후에 우리들에게 밝혔던 S3 계획마저 솔리드 스네이크를 탄생시키기 위한 실험이 아니라 Selection for Societal Sanity로 '사회의 사상적 건전화를 위한 도태'가 밝혀지고 나서임 전 세계의 통신망을 감시하여 정보의 제어 단순한 검열을 시작으로 맥락의 창조까지가 목표를 한 실험이라는게 밝혀짐 즉 게임에서 빌런의 최종 목표는 디지털 사회에서 쏟아지는 가짜 뉴스와 정보 검열을 통해서 사람을 완벽하게 통제한다는거임 결국 게임 전작의 주인공인 스네이크가 죽지 않았고 신분을 바꿔 나중에 조력자로 등장을 하며 구작과 신작의 주인공들의 협력으로 빌런의 야망을 저지하면서 게임은 해피엔딩으로 끝나 메탈기어 솔리드2는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게임 세계에서는 스네이크가 죽었고 유조선을 침몰시킨 흉악한 테러리스트라는 가짜 정보가 퍼져 라이덴이 혼란스러워 하는데 유저는 진실이 그게 아니라는 걸 안다는 점 그리고 게임 스토리에서 이런 메세지를 풀어내는것 뿐만 아니라 이전에 공개했던 가짜 트레일러나 혹은 라이덴을 밝히지 않은 데모판을 통해서 잘못된 정보가 거짓말로 이끌어져서 진실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디지털 시대의 양면성을 보여주며 정보검열과 가짜뉴스가 얼마나 사람을 쉽게 속이고 조종하는지를 게임의 연장선으로 이용했던거임 정보의 홍수에 의한 디지털 시대의 위험성... 지금이라면 공감할만한 주제이지만 게임이 발매될 당시 2001년 시기에는 한국에선 개인 홈페이지만들어 쓰고 메가패스 모뎀 도입되서 인터넷하려면 접속툴 열고 아이디 패스워드 다 입력해야 인터넷 연결이 시작하던시절이였는데 그런와중에 지금 2020년 전후에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상당수의 악재를 예측해서 스토리 안에 때려박았던것... By Hideo Kojima......... 출처:도탁스 (DOTAX) 글쓴이:하기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