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way
1,000+ Views

"왜 나만 안 깎아줘?"…금리인하 거절 사유, 이제 자세해진다

이제부터는 이유도 모른 채 금리 인하 요구를 거절당하는 일이 줄어들 것 같은데요. 꼼꼼히 알아보고 수용 가능성이 높은 차주라면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기획 : 박희원 기자 / 그래픽 : 박혜수 기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이심쩐심] "반택 되나요?" 2030女 사로잡은 편의점 택배의 매력은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을 구경하다 보면 '반값 택배', '반택', '편의점 택배' 등의 단어가 자주 눈에 들어옵니다. 중고거래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들에게는 낯선 용어일 텐데요. 이 용어들은 모두 편의점 반값 택배를 의미합니다. 반값 택배란 받는 사람의 집 앞이 아닌 주변 편의점에서 물건을 수령하는 방식의 택배로, 일반 택배보다 비용이 저렴한데요. 중고거래 이용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편의점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중고거래 시장에서의 메가로 급부상한 건데요. 실제로 국내 편의점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GS25와 CU를 중심으로 한 편의점 업계에서는 중고거래 고객 확보를 위해 앞다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편의점 반값 택배 서비스는 언제부터 시작된 걸까요? 국내에서 처음 편의점 반값택배가 출시된 건 2019년 3월이었습니다. 지난해 국내 편의점 매출 1위를 기록한 GS25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출시 2년 만인 2021년 2월에는 출시 직후보다 100배 증가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현재는 연간 이용건수 1000만 건을 돌파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점포 1만6787개로 점포 수 1위를 차지한 CU도 2020년 3월에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전체 택배에서 1.8%를 차지했던 반값 택배의 비중은 지난해 15.8%까지 늘어나며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실제로 GS25에 따르면 반값택배 이용 고객의 72%가 '중고거래'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대도 중고거래를 많이 이용하는 2030세대가 전체 이용 고객의 80%, 성별은 여성이 무려 79%를 차지했습니다. CU도 마찬가지로 지난해 반값택배 연령별 이용 비중이 30대가 35%, 20대가 33%를 차지했다고 밝혔는데요. 그렇다면 중고거래 고객들을 사로잡은 반값택배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첫 번째는 무엇보다 저렴한 비용입니다. 편의점 물류 인프라를 활용하며, 배송기사가 직접 집까지 배송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일반 택배보다 훨씬 저렴하게 책정되는 건데요. 이름 그대로 일반택배의 반값 수준인 1600원~2700원 정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바로 시·공간의 편의성입니다. 국내 CU와 GS25 편의점의 점포 수를 합치면 무려 3만 개가 넘어서는데요. 그만큼 전국 어디에서나 가까운 점포에서 24시간 접수·수령이 가능하다는 높은 접근성을 가지게 됩니다. 세 번째는 중고거래 과정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본인의 주소를 알려줄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혹시 모르는 범죄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비용이 저렴한 만큼 일반택배보다 불편한 점도 존재하는데요. 우선 편의점 물류 차량의 빈자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일반 택배보다 배송 기간이 보통 1~2일 더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 그 이상 걸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직거래와 같이 거래 상대와 사전에 약속을 정한 뒤 만나야 하는 번거로움은 덜 수 있지만 여전히 편의점으로 직접 물건을 찾으러 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지난해 규모 25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는 중고거래 시장. 편의점이 틈새시장 공략에 제대로 성공하며 출시 4년 만에 소비자와 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데요. 편의점 업계의 중고거래 소비자를 향한 구애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습니다. 글·구성 : 박희원 기자 그래픽 : 박혜수 기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짝퉁' 최다 명품은 ○○○…어느 나라서 많이 왔나 보니 [친절한 랭킹씨]
고가의 명품 브랜드를 들고(차고) 다니면 소유자의 가치도 높아진다고 믿는 분들 많은데요. 가짜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여전히 명품 브랜드를 흉내 낸 가짜(짝퉁) 물품이 판을 치고 있기 때문. 11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해외에서 수입된 짝퉁 명품 (세관 당국에 적발된 지식재산권 위반 물품) 규모는 시가 기준 2조2405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지난해는 5639억원 상당의 가품이 적발돼 2021년의 2339억원보다 약 2.4배나 늘었는데요. 명품을 향한 시선이 뜨거운 만큼 짝퉁의 공세도 커진 셈. 과연 어떤 브랜드가 이름을 많이 도용당했을까요? 명품으로 분류되는 브랜드 중에서는 스위스의 전통 시계 브랜드 롤렉스의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타났습니다. 적발된 가품 롤렉스만 5년간 3065억원어치에 달했지요. 2위 루이비통(2197억원)보다 약 900억원이 많았습니다. 이어 샤넬(974억원), 버버리(835억원)의 순. 품목도 살펴봤습니다. 품목별로 봐도 시계가 920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방(6222억원), 의류 직물 (2218억원), 신발(923억원)이 뒤를 이었습니다. 시계·가방·의류 직물은 5년간 전체 지식재산권 위반 물품 액수의 78.7%(1조 7641억원)를 차지했습니다. 나라는 어떨까요? 짝퉁 물품 수입국도정리했는데요. 국가별로는 중국이 단연 첫손에 꼽혔습니다. 5년간 1조9210억원 규모의 가품이 국내에 흘러들어왔지요. 전체 적발량의 85.7%. 짝퉁, 하면 중국을 바로 떠올리는 분들 많을 텐데요. 중국발 짝퉁이 압도적인 건 팩트였습니다. 다음으로 일본(307억원), 홍콩(120억원), 미국(95억원), 베트남(30억원) 순으로 짝퉁 물건이 많이 넘어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표법'을 위반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원산지 허위 표시에 해당하는 '대외무역법'도 마찬가지. 명품인 척하는 가품은 만들지도, 알면서 사지도 맙시다. 이성인 기자 silee@ <ⓒ 뉴스웨이 - 무단전재 및 재배포·코너명 및 콘셉트 도용 금지>
전셋값 하락과 역월세 현상
요즘 세입자들이 집주인에게 솔깃한 제안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매달 얼마 드릴 테니 안 나가면 안 될까요? 😢” 이게 무슨 일인지, 괜찮은 제안인지 살펴볼게요. 집주인이 나한테 돈을 준다고? 집주인이 당장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울 때 그래요. 집주인은 보통 다음 세입자한테 받은 돈을 원래 세입자한테 돌려주는데요. 요즘 전셋값이 확 떨어지면서 다음 세입자 보증금에 집주인이 돈을 더 보태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는 상황이 됐어요. 당장 이럴 수 없는 집주인들이 세입자를 잡으려고 제안하는 거고요. 매달 전세대출 이자를 조금씩 대신 내주는(=역월세) 경우까지 나온다고. 이자를 왜 내줄까?: 전세보증금이 3억 원인 집에서 살고 있었는데 나갈 때 2억 원으로 떨어졌다면? 그런데 집주인이 당장 1억 원을 마련할 수 없다면? '역월세'라는 이름으로 1억 원에 대한 이자를 매달 줄 테니 계약을 좀 더 연장하자는 거예요. 어쩌다 이런 일이...? 앞에서 말한 것처럼 전셋값이 확 떨어져서 그래요. 왜 떨어졌냐면: 전세대출 이자 너무 비싸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서 전세대출 이자가 비싸졌어요. 그러다 보니 월세보다 전세대출 이자가 비싼 경우가 있었고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전세보증금 2억 원짜리 집에 산다면 대출 이자로 매달 평균 87만 원 정도를 내야 해요. 하지만 이 집을 월세로 돌리면(=전월세 전환) 72만 원 정도로 줄어든다고. 전세 사기당하면 어떡해 😱: 요즘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전세사기 때문에 난리잖아요. 이걸 걱정해서 전세를 피하는 사람도 늘었어요. 이렇게 전세를 찾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놀고 있는 전셋집이 늘었고, 결국 전셋집 가격도 떨어진 거예요. 그럼 이 제안, 이득인 걸까? 전문가들은 “글쎄... 🤔”라는 반응이에요. 왜냐하면: 생각과 다를 수 있어요: 집주인한테 받기로 한 역월세보다 실제 대출 이자가 나중에 더 오를 수도 있어요. 또, 받은 역월세에 대해 세금을 더 내야 할 수도 있고요. 안전이 우선이에요: 진작 받았어야 할 큰돈을 못 받고 기다리는 것 자체가 위험 신호일 수도 있어요. 당장 돈이 필요한 경우라면 일단 보증금을 돌려받고, 다음 집을 더 싸게 구하라고 말하고요. 남은 돈은 예금 등으로 굴리는 게 더 안전하고 경제적이라는 것. + 만약 제안을 받아들이려면? 지금 집에 계속 살아야 할 수도 있잖아요. 제안을 받아들일 경우에는 계약서를 고쳐 쓸 때 다음 2가지 문장을 꼭꼭 넣으세요. 1️⃣ 기존의 보증금 그대로 대항력을 유지하되 당장 못 돌려주는 돈에 대해서는 이자를 받는다. 2️⃣ 이자가 얼마 동안 밀리면 계약을 해지하고 보증금 전부를 반환한다. 대출 이자가 적용되는 금리나 날짜 기준도 정확히 적어놔야 하고요. 출처:뉴닉
[진보당 논평] ‘11시간 연속 휴식제’도 폐지, 노동자는 죽을때까지 일하란 말인가?
https://jinboparty.com/pages/?p=15&b=b_1_2&bg=&bn=8545&cno=&m=read&nPage=1&cate=&nPageSize=12&f=ALL2&s= 윤석열 정부가 ‘벼락치기 노동’을 위한 추가 개악안을 내놨다. 정부가 ‘11시간 연속 휴식제’를 없애고, 주 64시간까지 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지금껏 정부는 현행 1주 12시간으로 제한하는 연장근로시간을 월단위 이상 ‘총량관리’ 방식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정부 방안을 적용하면 주6일 근무시 69시간, 주7일 근무시 80.5시간까지 몰아쳐서 일할 수 있어서 ‘야근지옥’이라 비판받던 터였다. 이때 정부는 근로일간 ‘11시간 연속 휴식제’를 실시하여 노동자 건강권을 보호하겠다고 설득한 바 있다. 문제는 이번 방안이 정부가 유일하게 제시한 건강권 확보방안인 ‘11시간 연속 휴식제’마저 없앤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하루 노동시간의 한도가 없어지게 되어, 이틀 연속 24시간 풀타임 노동도 가능해진다. 즉, 정부는 지금 노동자들에게 ‘잠만 자고 주80.5시간’ 일할 것인지, ‘이틀 연속 48시간’ 일할 것인지 선택하라고 하고 있다. 뭘 선택하든 한마디로 “죽을때까지 일하라”는 말이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노동기구(ILO)의 합동 연구에 따르면 주 55시간 이상 노동시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을 ‘명백히’ 일으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우리 신체는 하루 24시간을 놓고 체온, 혈압, 호르몬분비, 신장의 노폐물 배출기능 등 일정한 생체 리듬을 갖고 있다. 이를 ‘벼락치기 노동’, ‘주야교대·야간근무’ 등으로 교란하면, 재해성 사고와 손상, 수면장애, 우울증, 위장관 증상 등 온갖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EU에서는 노동자 1일 11시간 연속휴식은 물론 1주 최소 24시간 연속 휴식을 법제화하여 전면 적용 중이다. 윤석열 정권처럼 산재사망에 이르기 직전까지 최대치로 일 시키겠다는 막돼먹은 정부는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나라는 택배나 자영업 등을 제외하고도 해마다 최소 500명 이상이 과로사하는 나라다. 이 재앙적인 수치 앞에서도 정부가 ‘더 많이 과로하라’고 채찍질하고 있으니 이 어찌 정상적인 나라인가. 지금도 충분히 과하게 노동착취 하고 있고, 지금도 충분히 전근대적이다. 더 이상의 퇴행은 용납할 수 없다. 진보당은 윤석열 정권의 모든 노동개악안에 맞서 싸워 노동자 건강권 보호와 노동시간 단축을 실현해낼 것이다. 2023년 2월 27일 진보당 대변인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