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ositive90
1,000+ Views

복통과 설사가 심할경우 의심해봐야되는 질환

장염은 장에 염증이 생긴 병으로 주로 대장과 소장에 많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설사와 함께 복통 증세가 심하게 나타나며, 잦은 배변으로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 점막의 손상으 로 인하여 장점막이 노출되고, 세균이나 독소가
혈관을 통해 몸 전체로 빠르게 퍼져 탈수 증세 나 두통,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중독과는 달리 바이러스성 질환이기 때문 에 항생제 치료가 잘 듣지 않으며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빠른 대처 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1) 매실차 - 매실에 함유된 피크린산이라는 성분이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기때문에 해독작용에 탁월한 효능이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배탈이 났을 때나 식중독에 걸렸을때 약 대신 먹었던 식품이다. 특히 과음을 하였을때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이다.

2) 무즙 - 무에 들어있는 디아스타아제라는 소화효소는 단백질 분해 효소중 하나로 위에서만 분비 되는 것이 아니라 장에서도 분비된다. 이 단백질의 90%이상이 창자에 흡수되기 때문에 변비예방에 도움을 준다.

3) 다시마 - 다시마는 알긴산과 요오드, 칼슘 등이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하고 노폐물 을 배출해주어 피를 맑게 해주면 동맥경화 및 고혈압, 대장암등의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크다.

4) 꿀물 - 따뜻한 물에 단맛이 나는 꿀로 달여서 마시거나 하루 세번정도 복용하면 설사및 장염에 좋다고 한다.

5) 우유 - 우유는 장내에 살고 있는 나쁜 균들을 몰아내는데 도움을 주며, 비타민 B군등 영양소가 풍부해서 면역력 증가에도 도움을 줍니다.

6) 현미밥 - 현미에는 식이섬유소가 풍부한데, 이것은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서 변비를 해소시키는데 많은 도움을준다.

7) 유산균(요구르트) - 요구르트는 장속에 비피더스균을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8) 바나나 - 바나나는 수용성 섬유질인 펙틴이 많이 들어 있어서 변비나 치질에 효과적인 과일입니다.

9) 양배추 - 양배추에는 비타민C와 철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위의 점막의 재생력을 높여줍니다.

10) 마늘 - 마늘에 들어 있는 알리신은 장의 연동 운동을 활성화시켜서 건강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아리 신성분이 살균효과에도 뛰어나서 식중독균 등 유해세균으로부터 우리몸을 보호해줍니다.

11) 연근조림 - 연근에는 뮤신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요. 이 성분은 소염작용이 뛰어나서 위궤양이나 위염증의 개선에 매우 좋습니다.

12) 생강 - 생강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이나 쇼가올이 항염증 작용이 뛰어나고 구토를 멈추게 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복의 힘!> 매일 하루 좋은글, 건강글을 보내드립니다.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달다구리 한과 모음
유과 (油果) ''한과'' 하면 가장 보편적으로 생각나는 것 매우 소복소복하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조청이 들어가서인지 치아에 굉장히 잘 붙는다 유밀과 (油蜜果) 반죽에 꿀을 섞거나 바른 다음 기름에 튀겨내 만든다 꾸덕진 식감이 일품인 과자인데 투게더 같은 바닐라 아이스크림류에 곁들여 먹으면 이게 정말 끝장난다 강정 (羌飣) 밀가루에 꿀과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썰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 만든다 중국 한나라의 한구(寒具) 라는 과자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군대에서도 이게 나온다는데 맛은 분필 내지는 흙 맛이 난다고 한다 필자는 아직 미필이라 아는 사람은 댓글로 알려줘라 다식 (茶食) 계피나 녹차, 콩 등의 재료로 가루를 내고 그 가루에 꿀을 섞어 반죽하여 틀에 찍어내 만든다 이름에 걸맞게 차와 함께 먹는 과자인데 저걸 그냥 먹은 필자의 옛 기억에 따르면 외관은 작아도 ㅈㄴ 달았다 꼭 차와 함께 먹자 숙실과 (熟實果) 과일을 익혀 만든 과자로, 이름에 걸맞게 대추와 밤을 꿀에 졸여서 만든다 통째로 졸이면 초(炒) 다지거나 으깨면 란(卵) 이라 한다고 열매가 많으면서도 실하게 열리는 대추와 밤을 먹으면서 다산을 기원하기도 했다고 정과 (正果) 과일이나 연근, 생강 등의 여러 약초를 설탕이나 꿀에 졸여서 만든 과자 위 사진처럼 오늘날에는 낑깡으로 만든 정과가 가장 보편적인 듯 하다 굉장히 쫠깃거리는 식감이 일품이다 과편 (果片) 과실편 (果實片) 이라고도 하는데 과일 즙에 녹말 가루를 섞거나 꿀을 넣어 굳혀 만든다 쫄깃쫄깃 할 것 같지만 의외로 묵 같은 식감이 난다고 한다 엿 (飴, 糖) 고두밥을 엿기름 물에 삭힌 뒤 자루에 넣어 짜낸 즙을 고아서 굳혀 만든다 바리에이션이 굉장히 많은데 졸이기 전의 즙은 식혜 굳기 전의 상태는 물엿 조금 졸이면 조청 바로 굳히면 갱엿이라 한다 딱딱하지만 고소하고 달달하니 여러분도 맛있는 엿이나 먹는게 어떻겠는가? 당 (糖) 그냥 사탕이랑 똑같다 각설탕, 옥춘사탕 같은걸 생각하면 된다 제사상이나 불교 쪽 관련해서 많이 쓰인다고 한다 지구촌갤러리 ㅇㅇ님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