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ache
5,000+ Views

작정하고 애니메이션 사업에 뛰어든 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은
2017년 자회사 스튜디오 리코를 설립했는데
2021년 로커스를 인수합병함

그리고 최근 네이버웹툰 자회사 통합체제가 마무리됐다고...

본격적으로 웹툰 애니메이션화 사업에 속도를 낼 예정인 듯

최근 로커스를 인수한 게 진짜 미친 거 같음
로커스는 CGI/VFX기업+애니메이션 스튜디오임


<스튜디오 리코>

최근 인수한
<로커스>

일단 <스튜디오 리코>는
콘텐츠 제작 회사

웹툰을 제작하거나
혹은 애니메이션을 제작함

웹툰 제작으로는 성과가 큰 편인데,
애니쪽에서 큰 성과를 보인 적은 아직 없음

1~2분 짜리 단편애니는 꽤 많이 선보였고,
장편애니는 2023년 연의편지 극장판을 통해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

아래는
<로커스> 제작물들


일단 현재
로커스 애니메이션은
2023년을 목표로 유미의세포들 극장판을 제작중

동시에
원작작가 이우혁님과
2020년부터 퇴마록 애니메이션화 진행중

스튜디오 리코는
연의편지 극장판 제작에 집중하는 중

여튼
인수합병 마무리한 지 얼마 안 된 상태라
당장 협업 작업물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추후 둘이 협업을 하면서
웹툰 애니화 사업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면
퀄리티 장난아닐듯


개인적으로 화산귀환 팬인데
심장떨리네요
웹툰 화산귀환이 네이버 자회사 스튜디오 리코 작품

만약 애니화한다면 웹툰팀이 애니화 작업에 동참 가능

1차 출처ㅣ로커스, 스튜디오 리코 유튜브
2차 출처ㅣ엽혹진
Comment
Suggested
Recent
쪽바리 애니 다 씹어 먹어라 네이버 안좋아하지만 쪽바리보다는 뭐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해외 식물집사 밈.jpg
다리로 걸어서 가출할것같은 식물 더~!!  더~~~~~~!!!!!!! 내 식물이 자라기를 기다리는 나.  & 내가 키우는 새싹 며칠 휴가 갔다 와서 보면  당신의 식물들은 이런 모습일 겁니다.  <겨울이 온다> 내 식물들을 보호하려면.. 난 뭘 해야 되는가..  처음 새 잎이 났을 때 내 표정  &  784번째 새 잎이 났을 때 내 표정 식물 초보 패키지 1. 나 이거 무늬종 당첨이야?! 2. 이거 꼭 분갈이 해줘야되나요? 3. 저희집 몬스테라 좀 도와주세요 ㅠㅠ 4. 이거 죽은건가요? 5. 이거 아직 흙에 심으면 안되나요? 6. (식물 초보가 보는 고인물들의 거실 사진) 식물초보 : n일에 한번씩 날짜 맞춰서 물 줬는데 죽어가요 ㅠㅠ 식잘알: 날짜 맞춰서 물 주지 말라고!!! 두 종류의 식집사 1. (정상 하엽보고) 우리집 애가 죽어가요 ㅠㅠㅠ 2. (다 죽은 식물 보고) 살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잎 : 드디어... 햇빛에... 가까워져간다... 식집사: 아 수형 휘었네 반대로 돌려줘야지 ㅎㅎ 식물에 돈 쓸 때 내 모습 vs 화분에 돈 쓸 때 내 모습 식물집사가 영화볼 때 : 저기 저거 구석에 몬스테라...! <식물집사 사고회로> 식물을 더 데려와야겠다 -> 근데 너무 많이 데려와버렸네? -> 그럼 화분을 새로 사야겠다 -> 근데 화분 사이즈를 잘못 샀네? -> 식물을 더 데려와야겠다 ....... 무한 반복 물꽂이 한지 5분됐는데 뿌리 언제 나나 지켜보는 식물집사 홍콩야자:빠잉!! 디미토리펌
클레이로 만든게 안 믿어지는 개고퀄 스톱모션 요리채널.jpgif
w motion 채널 클레이 스톱모션 요리영상이 주 컨텐츠인데 진짜진짜진짜 고퀄이라 같이 보자고 쓰는 글 1. 김장편 먼저 배추김치 배추 손질 시작 복장부터 범상치않음 윗부분만 자르고 쩍 가르는 디테일 양념은 배춧잎 한장한장 비벼주기 가지런히 정리해주면 배추김치 끝 그 다음 깍두기 칼질 진짜 잘함 (이거 스톱모션임 움직임 ㄹㅇ 부드러워서 신기함) 양념 넣고 비비면 깍두기 완성 맛잘알 파김치도 담궜음 알고보니 자취하는 자식한테 보낼 김치였나봄 엄마초록이가 보내준 김치로 볶음밥 해먹었다고 합니다 (김치 칼로 자를 때 양념 퍼지는거 너무 진짜같음🫢) 2 갈비찜편 갈비를 끓는 물에 데치고 양념장도 만들어주고 밤도 손질해줌 처음 칼질할 때 헛손질하고 한번에 깔끔하게 안깎여서 두번 깍는거 ㅋㅋㅋ 다 넣고 보글보글 갈비찜 완성!🤤🤤🤤 3. 베이글편 초록이는 한식도 잘 만들지만 디저트도 잘 만듦 베이글을 만들어보자 밀가루에 설탕 소금 등을 섞어주고 반죽 시작 반죽하다가 팔 아파서 탈탈 터는 초록이 랩 싸서 숙성..... 4등분 해서 다시 숙성...😪 숙성된 반죽으로 베이글 모양 잡아줌 원덬은 이걸로 베이글 모양 어떻게 잡는지 처음 앎 이건 댓글보니까 베이킹소다 넣은 물에 데치면 베이글이 쫄깃해진다고 함 디테일..ㄷㄷ 오븐에서 노릇 노릇노릇 구워주면 베이글 완성🥯 채널에 이거 말고도 엄청 많음 치즈볼도 만들어먹고 달고나커피도 만들어먹음 초록이가 나보다 잘해먹고 사는듯 개금손 본문엔 짤밖에 없지만 영상으로 보면 사운드도 정말 고퀄임 https://youtu.be/YHamfNEQqI8 https://youtu.be/fBRglk3PUUI
연옌들 일하는 하루를 엿볼 수 있는 태연 놀토 촬영날 브이로그.jpg
궁금했던 놀토 촬영장 현장이라 흥미돋으로 쓴 글임 제일먼저 샵에서 1차 헤메 완 그리고 촬영장으로 출발 현재 시각 7시 51분 대기실은 위층에 있음 출연진들 대기실은 1,2인실로 구성 오늘의 주제에 맞춰 의상 체인지 완 소품도 점검하고 준비가 끝나면 촬영하러 내려가 마이크를 차고 착장 사진도 찍고 출연진들끼리 모여 입장 대기함 붐이 오프닝 멘트를 날리면 입장 시작 촬영하는 동안에 대기실에선 실시간으로 영상이 나온다 받아쓰기 1라운드 종료 후 쉬는시간은 양치를 위한 짧은 휴식시간이다 다시 촬영을 위해 촬영장 복귀 간식게임과 2라운드는 쉬지 않고 이어서 촬영 드디어 오전 촬영 완료 여기까지가 놀토 1회 촬영으로 평균 4시간 정도 촬영 길면 6시간 이상 요 촬영시간이 주작오해 받는 원인이기도 함 방송을 보는 사람들이 보통 어떻게 문제를 저렇게 바로 해결하냐 주작 아니냐 하는데 실제로는 한글자 가지고 30분 넘게 떠들때도 있다고함 4~6시간을 1시간 반으로 압축하는데 있어 편집이 설득력 주는데 실패해서 그렇지 주작은 아니다 라는 이야기 놀토팬 입장에선 꼭 덧붙이고 싶었음 이어서 오후 촬영 준비 다음 분장을 준비함 스튜디오 뒤에서 대기하다가 이번 분장도 사진으로 남긴다 이번회차는 언제나 졸라와 허니버터브래드 이렇게 짝꿍 컨셉이면 같이 사진도 찍음 그냥 끼워넣어보는 놀토 티키타카 다시 촬영 시작 오후 촬영까지 마치면 오늘의 촬영은 진짜 끝! 이제 배가 몹시 부름 넵 끝입니다 몬가 흥미롭..
폴란드의 지역감정
폴란드는 아주 오랜 독일, 러시아한테 분할당하고 합쳐지고 생겨난 나라임 이렇다보니 지역갈등이 아주 재밌게 생겼음 1940년대의 폴란드와 현재의 폴란드임 독일이 2차대전으로 멸망하고 서부는 폴란드가 원래의 동부는 소련이 가져가게 되었음 그렇다는건 예전 독일땅과 러시아땅이 합쳐졌다는것인데 이들의 지역은 얼마나 다를까 2003년 폴란드의 EU가입 국민투표에서 77%로 찬성이 나왔음 이걸더 세부적으로 본다면 예전 독일 지역은 99%가 찬성을 했지만 러시아땅은 반대표가 상당히 나왔음 이것을 찬성투표로만 본다면 서부지역은 90%가 찬성을 보였지만 동부로 갈수록 찬성이 점점 약해지는것을 볼수가 있음 2015년 폴란드의 대선이 찾아왔고 결과는 PIS당의 안제이 두다가 당선되었음 안제이 두다와 코로모프스키의 대선득표율을 본다면 지역감정을 알수가 있음 서부는 코로모프스키의 몰표가 나왔지만  동부는 두다의 몰표를 알수가 있음 그리고 이것은 폴란드의 LGBT 불법지도임 빨간색으로 되어있는곳에는 LGBT가 불법이고 아무런 색도 없는곳에는 합법임 서부는 대부분 합법이지만 동부는 불법이 많이보임 서부는 LGBT를 찬성하고 동부는 LGBT를 반대한다? 그럼 아까의 폴란드 대선으로 정치성향을 알수가 있음 2015년에 동부의 몰표로 당선된 안제이 두다는 우파성향이고 서부의 몰표를 받은 코모로프스키는 좌파성향임 이처럼 폴란드는 서부동부가 정치, 문화적으로 분열이 되어있음 과거의 독일땅은 좌파 러시아땅은 우파 ㄷㄷㄷㄷㄷ 싱글벙글지구촌갤러리 WV님 펌
영화 '나는 전설이다'에서 'Legend'의 진짜 의미
한국에선 ‘나는 전설이다’를 단순 좀비가 나오는 서바이벌 액션공포물 정도로 생각하것지만 이 소설을 이미 3번이나 영화화가 시도 되었음 지구 최후의 사나이, 오메가맨, 그리고 윌스미스의 나는 전설이다. 이렇게 말이지.. 항상 코믹스나 소설처럼 원작을 따로 두고 있는 영화를 평론할 때는 “이 영화를 보기 전에 xx를 봐야함!” <- 이런 말하는 거 가볍게 무시하면서 “ㅈ까고 영화는 영화로 평가해야 함!!..”이라곤 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그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는 게 새로운 재미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함. 암튼.. 이 작품의 메인 아이디어는 홀로 남겨진 군의관 네빌이 수 년간 자신을 유일하게 남은 정상인이라고 생각해왔고 남아있는 다른 이들은 괴물 (소설작품에선 거의 흡혈귀, 뱀파이어 비슷하게 묘사)이라 생각하는 데서 출발한다. 여기서 전설이란 단어에서 한국어와 영어에 대한 어떤 센스차이가 있는데.. 이 영화와 소설작품 제목 “I am Legend” 나는 전살이라는 게.. 한국식 느낌으론 대단한 사람이다! 레전드급! 전설급! 뭐 이런 한국식 표현으로만 대입하면 존나 영웅이란 뉘앙스가 있지만 여기서 legend는 그저 ‘신화’, 오늘날 인기있는 이미 오래된 이야기, 진짜일 수도 가짜일 수도 있는 이야기. 이런 것을 의미함. 아무튼 여기 나오는 ‘비정상’이라 할 수 있는 괴물들은 오늘날 현대 사회에선 미라, 드라큘라, 좀비 같은 신화, 미신, legend라고 할 수 있지. 작품 끝에 가서는.. 주인공 네빌이 깨닫는 부분이 있다. 그의 눈 속에 새로 출현한 사회, 괴물들의 사회 속에선 네빌이 바로 괴물이고 비정상이었다는 것. 지금까지 네빌이 그 새로운 세계에 구성원들 (즉, 영화상 좀비로 표현되는)을, 그들을 네빌이 살해해왔고, 납치해왔고, 납치해서 실험재료로 썼고 그들의 사회와 관계, 감정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으며 그런 일을 벌였는지.. 하는 그런 과정을 그려가면서 그런 반전을 천천히 묘사해간 거다. 원작 책의 마지막 부분에 이런 문구가 나온다. “And suddenly he thought, I’m the abnormal one now. Normalcy was a majoriy concept, the standard of many and not just the standard of just one man.” “문득, 그는 생각했다. 내가 바로 비정상이다. ‘정상’이란 것은 결국 한 명의 남자에 의한 기준이 아닌, 수적우세에 의한 기준, 다수(majority)의 개념 아닌가.” - “he knew that, like the vampires, he was anathema and black terror to be destroyed.” “그는 알고 있었다. 흡혈귀라는 이름의 신화속 괴물들 처럼, 그는 저주였고, 파괴되어야 할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 “A new terror born in death, a new superstition enterning the unassailable fortress of forever. I am legend.” “새로운 공포는 죽음 속에서 태어난다. 난공불락의 영원의 요새에 들어가는 새로운 미신, 신화. 나는 레전드다.” - 여기서 말하는 legend란 이런 맥락인 것이다. I am legend. 알고 봤더니 내가 바로 신화 속 괴물이더라.. 내가 레전드다. 이 작품의 주요 메인 아이디어는 결국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개념의 충돌을 노출시키는 것. 정상인이라는게.. 수적 우세로 본 통계적 개념이다 이거지. 정상인들이 볼 때의 장애인, 그리고 세상을 통틀어 봤을 때의 정상인. 출처 : 개드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