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h72928
1,000+ Views

세상에서 가장 용맹한 동물

수천 마리의 벌에 쏘임을 당해도
신경 쓰지 않고 벌꿀을 너무 좋아해서 계속 먹는
벌꿀오소리는 세상에서 가장 용맹한
동물입니다.
벌꿀오소리의 크기는 60~80cm이며 몸무게는 9~16kg인데
상대가 자신보다 몇십 배 더 크거나 독이 있는
사자, 코끼리, 살모사, 전갈이라고 할지라도
자신의 심기를 건드렸다면 녀석은 참지 않고
죽기 살기로 무섭게 달려듭니다.

그러다 사자가 목덜미를 물면
벌꿀오소리는 자신의 유연함을 이용해
오히려 고개를 돌려 사자의 얼굴을
공격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작은 키와 몸으로 낮게 접근하여
급소를 공격하기도 해 사자나 표범과 같은
맹수에게 기피 대상입니다.

심지어 매년 9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는 독사도
벌꿀오소리에겐 맛 좋은 한 끼일 뿐입니다.
코끼리도 몇 시간 만에 죽이는 맹독이 몸에 퍼져도
잠시 기절할 뿐 1~2시간 후에 다시 일어나서
죽은 독사를 먹는다고 합니다.
강력한 상대 혹은 어려운 일을 만나게 되면
덜컥 두려움이 느껴져 이길 수 없으리라 생각하고
쉽게 포기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크고 힘이 센 존재일지라도
불퇴전의 용기만 있다면 능히 강자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용기란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즉 두려움이 없으면 용기도 없다.
– 에디 리켄베커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용기 #강자 #인생 #삶 #명언 #영감을주는이야기 #교훈 #따뜻한하루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폴란드의 지역감정
폴란드는 아주 오랜 독일, 러시아한테 분할당하고 합쳐지고 생겨난 나라임 이렇다보니 지역갈등이 아주 재밌게 생겼음 1940년대의 폴란드와 현재의 폴란드임 독일이 2차대전으로 멸망하고 서부는 폴란드가 원래의 동부는 소련이 가져가게 되었음 그렇다는건 예전 독일땅과 러시아땅이 합쳐졌다는것인데 이들의 지역은 얼마나 다를까 2003년 폴란드의 EU가입 국민투표에서 77%로 찬성이 나왔음 이걸더 세부적으로 본다면 예전 독일 지역은 99%가 찬성을 했지만 러시아땅은 반대표가 상당히 나왔음 이것을 찬성투표로만 본다면 서부지역은 90%가 찬성을 보였지만 동부로 갈수록 찬성이 점점 약해지는것을 볼수가 있음 2015년 폴란드의 대선이 찾아왔고 결과는 PIS당의 안제이 두다가 당선되었음 안제이 두다와 코로모프스키의 대선득표율을 본다면 지역감정을 알수가 있음 서부는 코로모프스키의 몰표가 나왔지만  동부는 두다의 몰표를 알수가 있음 그리고 이것은 폴란드의 LGBT 불법지도임 빨간색으로 되어있는곳에는 LGBT가 불법이고 아무런 색도 없는곳에는 합법임 서부는 대부분 합법이지만 동부는 불법이 많이보임 서부는 LGBT를 찬성하고 동부는 LGBT를 반대한다? 그럼 아까의 폴란드 대선으로 정치성향을 알수가 있음 2015년에 동부의 몰표로 당선된 안제이 두다는 우파성향이고 서부의 몰표를 받은 코모로프스키는 좌파성향임 이처럼 폴란드는 서부동부가 정치, 문화적으로 분열이 되어있음 과거의 독일땅은 좌파 러시아땅은 우파 ㄷㄷㄷㄷㄷ 싱글벙글지구촌갤러리 WV님 펌
해외 식물집사 밈.jpg
다리로 걸어서 가출할것같은 식물 더~!!  더~~~~~~!!!!!!! 내 식물이 자라기를 기다리는 나.  & 내가 키우는 새싹 며칠 휴가 갔다 와서 보면  당신의 식물들은 이런 모습일 겁니다.  <겨울이 온다> 내 식물들을 보호하려면.. 난 뭘 해야 되는가..  처음 새 잎이 났을 때 내 표정  &  784번째 새 잎이 났을 때 내 표정 식물 초보 패키지 1. 나 이거 무늬종 당첨이야?! 2. 이거 꼭 분갈이 해줘야되나요? 3. 저희집 몬스테라 좀 도와주세요 ㅠㅠ 4. 이거 죽은건가요? 5. 이거 아직 흙에 심으면 안되나요? 6. (식물 초보가 보는 고인물들의 거실 사진) 식물초보 : n일에 한번씩 날짜 맞춰서 물 줬는데 죽어가요 ㅠㅠ 식잘알: 날짜 맞춰서 물 주지 말라고!!! 두 종류의 식집사 1. (정상 하엽보고) 우리집 애가 죽어가요 ㅠㅠㅠ 2. (다 죽은 식물 보고) 살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잎 : 드디어... 햇빛에... 가까워져간다... 식집사: 아 수형 휘었네 반대로 돌려줘야지 ㅎㅎ 식물에 돈 쓸 때 내 모습 vs 화분에 돈 쓸 때 내 모습 식물집사가 영화볼 때 : 저기 저거 구석에 몬스테라...! <식물집사 사고회로> 식물을 더 데려와야겠다 -> 근데 너무 많이 데려와버렸네? -> 그럼 화분을 새로 사야겠다 -> 근데 화분 사이즈를 잘못 샀네? -> 식물을 더 데려와야겠다 ....... 무한 반복 물꽂이 한지 5분됐는데 뿌리 언제 나나 지켜보는 식물집사 홍콩야자:빠잉!! 디미토리펌
연옌들 일하는 하루를 엿볼 수 있는 태연 놀토 촬영날 브이로그.jpg
궁금했던 놀토 촬영장 현장이라 흥미돋으로 쓴 글임 제일먼저 샵에서 1차 헤메 완 그리고 촬영장으로 출발 현재 시각 7시 51분 대기실은 위층에 있음 출연진들 대기실은 1,2인실로 구성 오늘의 주제에 맞춰 의상 체인지 완 소품도 점검하고 준비가 끝나면 촬영하러 내려가 마이크를 차고 착장 사진도 찍고 출연진들끼리 모여 입장 대기함 붐이 오프닝 멘트를 날리면 입장 시작 촬영하는 동안에 대기실에선 실시간으로 영상이 나온다 받아쓰기 1라운드 종료 후 쉬는시간은 양치를 위한 짧은 휴식시간이다 다시 촬영을 위해 촬영장 복귀 간식게임과 2라운드는 쉬지 않고 이어서 촬영 드디어 오전 촬영 완료 여기까지가 놀토 1회 촬영으로 평균 4시간 정도 촬영 길면 6시간 이상 요 촬영시간이 주작오해 받는 원인이기도 함 방송을 보는 사람들이 보통 어떻게 문제를 저렇게 바로 해결하냐 주작 아니냐 하는데 실제로는 한글자 가지고 30분 넘게 떠들때도 있다고함 4~6시간을 1시간 반으로 압축하는데 있어 편집이 설득력 주는데 실패해서 그렇지 주작은 아니다 라는 이야기 놀토팬 입장에선 꼭 덧붙이고 싶었음 이어서 오후 촬영 준비 다음 분장을 준비함 스튜디오 뒤에서 대기하다가 이번 분장도 사진으로 남긴다 이번회차는 언제나 졸라와 허니버터브래드 이렇게 짝꿍 컨셉이면 같이 사진도 찍음 그냥 끼워넣어보는 놀토 티키타카 다시 촬영 시작 오후 촬영까지 마치면 오늘의 촬영은 진짜 끝! 이제 배가 몹시 부름 넵 끝입니다 몬가 흥미롭..
송탄 살이와 헌혈 후기
다들 안녕하신가요? 오랜(?)만 인가요?ㅎ 송탄으로 온건 한달 넘었네요... 나름 요즘 핫 하다는 고덕 삼성 건설 현장에서일하고 있습니다. 필요한물건이 있어서 집 근처 다이소 찾다가 요긴 핫 한 햄버거집. 포장만 되길래 그냥 패스. 미군기지 앞. 그날 저녁 저거 물 아니고 소주임 요긴 동네에서 좀 내려가면 부지 넓은 집이길래 찍어봄 이렇게 입고 마트 가는데 앞에서 아지매가 위 아래 훑어봄. 그날 저녁 식사 현장에서 항상 하는 미어캣 모드 솔직히 건설 현장 경험 별로 없지만 여기 일은 힘들진 않아요 다만.... 출 퇴근시 사람들에게 치이고 점심 식사 시간 식당 가기 귀찮고 화장실 항상 줄 길고....(이게 가장 큰 곤욕이네요) 요즘은 건물 옥상에서 일하는데 말이 9층이지 어지간한 아파트 20층 빰떼기 후립니다. 리프트 기다리기 귀찮어서 몇번 걸어 다녔더니 다리운동 되더군요. 출퇴근 사람들하고 승합차 타고 다니는거 번거로운거 못참고 집에서 자전거 갖고 가서 출퇴 하고 있습니다. 집에 와서 들른 수산시장 이날 낮에 가리비에 석화에 소주 한병 마시고 재미난 꿈 꿨음 평택 본토에 있는 송북시장 규모가 상당했음 같은방 아재가 사줬는데 난 순댓국 특 아재는 보통 순댓국 먹기전 허기져서 나 저걸 "호떡엿 "이라고 읽고 신기하다고 생각함. 3월1일 당일치기 오산 캠핑 사진에서 보다 싶이 이분들은 초겨울 복장인디 시작을 항정살로 목살 삼겹 먹고 동생은 따로 파스타를 준비해줌 파스타에 소세지랑 베이컨 까지 넣어서 정말 알찬 파스타였음. 이날 고기 나름 원 없이 먹음. 난 몸빼바지에 가을복장 이었음. 날씨만 따뜻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원래 저녁 까지 먹을 계획이었는데 날씨가 흐려서 숙소로 돌아와서 난 2시간 취침후 닭갈비 목살 추가 그리고김치찌게 요건 어제 사진 순대국밥 사진에는 없지만 난 단백질 추가하려고 참치 한캔갖고 가서 먹음 ㅎ 그리고 오늘 헌혈 100번째 최근들어 피 한방울 안섞인 타인에게 황송한 대접을 받음. 요거 받고 내일이 화이트데인디 서비스 라며 ㅎ 제 소중한 개인정보니까 ㅋ 그리고 따로 제크1 롯샌 파인애플2 그리고 포카리4 챙겨주심 나름 1회부터 100회까지 주마등 처럼 스처갔네요.
취향과 사실의 차이
어느 학교의 교실, 선생님은 사탕이 가득 담긴 그릇을 보여주며 이 그릇에 사탕이 몇 개 있을지 아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이들은 145개, 152개, 177개 등 각자 추측되는 숫자를 말했습니다. 아이들의 대답을 듣고는 선생님이 답했습니다. “이 그릇에는 157개의 사탕이 들어 있어요. 누구의 답이 정답에 가장 가까운가요?” 아이들은 근사치를 말한 아이를 가리켰습니다. 선생님은 이어서 또 다른 질문으로 가장 좋아하는 노래가 무엇인지 물어보았습니다. 이 질문의 대답도 역시 아이들마다 달랐고 선생님은 아이들이 말하는 노래 제목들을 칠판에 받아 적었습니다. 사탕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노래 제목들이 빼곡히 적힌 칠판을 보며 선생님은 다시 물었습니다. “이 노래 중 우리가 좋아하는 노래는 뭔가요?” 그러자 아이들은 하나로 정할 수 없다며 말도 안 된다고 투덜거렸고 선생님은 아이들을 진정시킨 뒤 말했습니다. “여러분 말이 다 맞아요. 사탕 숫자는 개인의 ‘취향’이 아닌 ‘사실’이지만 좋아하는 노래는 개인의 ‘취향’입니다.” 1980년대, 기성복이 등장하면서 양장점이 퇴조했지만, ‘오트쿠튀르’라는 고급 맞춤복의 예술적 가치는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가전 및 전자제품 시장에서는 맞춤 생산을 의미하는 ‘비스포크(Bespoke)’가 트렌드입니다. 냉장고, 스마트폰 등의 디자인도 개인의 취향에 맞춰서 구매하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오트쿠튀르’와 ‘비스포크’. 취향을 반영한 디자인에는 정답이 없듯이 지금도 변하고 있는 각자의 개성은 존중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예술은 손으로 만든 작품이 아니라 예술가가 경험한 감정의 전달이다. – 톨스토이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취향#인생#삶#명언#영감을주는이야기#교훈#따뜻한하루
영화 '나는 전설이다'에서 'Legend'의 진짜 의미
한국에선 ‘나는 전설이다’를 단순 좀비가 나오는 서바이벌 액션공포물 정도로 생각하것지만 이 소설을 이미 3번이나 영화화가 시도 되었음 지구 최후의 사나이, 오메가맨, 그리고 윌스미스의 나는 전설이다. 이렇게 말이지.. 항상 코믹스나 소설처럼 원작을 따로 두고 있는 영화를 평론할 때는 “이 영화를 보기 전에 xx를 봐야함!” <- 이런 말하는 거 가볍게 무시하면서 “ㅈ까고 영화는 영화로 평가해야 함!!..”이라곤 하긴 하지만 그럼에도 그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는 게 새로운 재미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함. 암튼.. 이 작품의 메인 아이디어는 홀로 남겨진 군의관 네빌이 수 년간 자신을 유일하게 남은 정상인이라고 생각해왔고 남아있는 다른 이들은 괴물 (소설작품에선 거의 흡혈귀, 뱀파이어 비슷하게 묘사)이라 생각하는 데서 출발한다. 여기서 전설이란 단어에서 한국어와 영어에 대한 어떤 센스차이가 있는데.. 이 영화와 소설작품 제목 “I am Legend” 나는 전살이라는 게.. 한국식 느낌으론 대단한 사람이다! 레전드급! 전설급! 뭐 이런 한국식 표현으로만 대입하면 존나 영웅이란 뉘앙스가 있지만 여기서 legend는 그저 ‘신화’, 오늘날 인기있는 이미 오래된 이야기, 진짜일 수도 가짜일 수도 있는 이야기. 이런 것을 의미함. 아무튼 여기 나오는 ‘비정상’이라 할 수 있는 괴물들은 오늘날 현대 사회에선 미라, 드라큘라, 좀비 같은 신화, 미신, legend라고 할 수 있지. 작품 끝에 가서는.. 주인공 네빌이 깨닫는 부분이 있다. 그의 눈 속에 새로 출현한 사회, 괴물들의 사회 속에선 네빌이 바로 괴물이고 비정상이었다는 것. 지금까지 네빌이 그 새로운 세계에 구성원들 (즉, 영화상 좀비로 표현되는)을, 그들을 네빌이 살해해왔고, 납치해왔고, 납치해서 실험재료로 썼고 그들의 사회와 관계, 감정에는 전혀 신경쓰지 않으며 그런 일을 벌였는지.. 하는 그런 과정을 그려가면서 그런 반전을 천천히 묘사해간 거다. 원작 책의 마지막 부분에 이런 문구가 나온다. “And suddenly he thought, I’m the abnormal one now. Normalcy was a majoriy concept, the standard of many and not just the standard of just one man.” “문득, 그는 생각했다. 내가 바로 비정상이다. ‘정상’이란 것은 결국 한 명의 남자에 의한 기준이 아닌, 수적우세에 의한 기준, 다수(majority)의 개념 아닌가.” - “he knew that, like the vampires, he was anathema and black terror to be destroyed.” “그는 알고 있었다. 흡혈귀라는 이름의 신화속 괴물들 처럼, 그는 저주였고, 파괴되어야 할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 “A new terror born in death, a new superstition enterning the unassailable fortress of forever. I am legend.” “새로운 공포는 죽음 속에서 태어난다. 난공불락의 영원의 요새에 들어가는 새로운 미신, 신화. 나는 레전드다.” - 여기서 말하는 legend란 이런 맥락인 것이다. I am legend. 알고 봤더니 내가 바로 신화 속 괴물이더라.. 내가 레전드다. 이 작품의 주요 메인 아이디어는 결국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개념의 충돌을 노출시키는 것. 정상인이라는게.. 수적 우세로 본 통계적 개념이다 이거지. 정상인들이 볼 때의 장애인, 그리고 세상을 통틀어 봤을 때의 정상인. 출처 : 개드립
작정하고 애니메이션 사업에 뛰어든 네이버웹툰
네이버웹툰은 2017년 자회사 스튜디오 리코를 설립했는데 2021년 로커스를 인수합병함 그리고 최근 네이버웹툰 자회사 통합체제가 마무리됐다고... 본격적으로 웹툰 애니메이션화 사업에 속도를 낼 예정인 듯 최근 로커스를 인수한 게 진짜 미친 거 같음 로커스는 CGI/VFX기업+애니메이션 스튜디오임 <스튜디오 리코> 최근 인수한 <로커스> 일단 <스튜디오 리코>는 콘텐츠 제작 회사 웹툰을 제작하거나 혹은 애니메이션을 제작함 웹툰 제작으로는 성과가 큰 편인데, 애니쪽에서 큰 성과를 보인 적은 아직 없음 1~2분 짜리 단편애니는 꽤 많이 선보였고, 장편애니는 2023년 연의편지 극장판을 통해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 아래는 <로커스> 제작물들 일단 현재 로커스 애니메이션은 2023년을 목표로 유미의세포들 극장판을 제작중 동시에 원작작가 이우혁님과 2020년부터 퇴마록 애니메이션화 진행중 스튜디오 리코는 연의편지 극장판 제작에 집중하는 중 여튼 인수합병 마무리한 지 얼마 안 된 상태라 당장 협업 작업물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추후 둘이 협업을 하면서 웹툰 애니화 사업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면 퀄리티 장난아닐듯 개인적으로 화산귀환 팬인데 심장떨리네요 웹툰 화산귀환이 네이버 자회사 스튜디오 리코 작품 만약 애니화한다면 웹툰팀이 애니화 작업에 동참 가능 1차 출처ㅣ로커스, 스튜디오 리코 유튜브 2차 출처ㅣ엽혹진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은 ‘공동’, ‘협력’, ‘협업’, ‘협조’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정보와 데이터를 비롯해 메시지, 의견 등을 서로 전달하는 것이라면, 컬래버레이션은 바로, 이 커뮤니케이션에서 한발 더 나아갑니다. 컬래버레이션이란, 두 상대가 더욱 깊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서로에게 합리적으로 납득시키는 것입니다. 세대와 세대 사이, 국가와 국가 사이에 발생하는 어려운 문제 앞에서도 서로의 생각을 상대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이른바 컬래버레이션을 한다면 맞닥뜨린 눈앞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가족 구성원 사이에도 컬래버레이션이 필요한데 현대 사회에서는 부모가 자식을 학대하고 자식이 부모를 버리는 반인륜적 범죄가 잦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가족 구성원 사이에도 서로의 생각과 말과 입장 등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방증입니다. 아버지, 어머니, 형제, 자매가 긴밀히 지내며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조금씩만 노력한다면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 治國平天下) ‘몸을 닦고 집을 안정시킨 후에 나라를 다스리며 천하를 평정한다.’ 나라의 안정이 가정에서 시작한다고 볼 만큼 예부터 우리 선조들은 가정의 화목을 중요시했습니다. 가족 구성원 간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서 서로를 이해하고 납득시키려는 노력이 건강한 가정과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시작이 될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 가정이야말로 고달픈 인생의 안식처요. 모든 싸움이 자취를 감추고 사랑이 싹트는 곳이요. 큰 사람이 작아지고 작은 사람이 커지는 곳이다. – 하버트 조지 웰스 – =Naver "따뜻한 하루"에서 이식해옴.... #공동#협업#협력#협조#인생#삶#명언#영감을주는이야기#교훈#따뜻한하루
역대 최고의 축구 선수 올타임 랭킹 TOP 50
50위. 잔루이지 부폰 출생일: 1978년 1월 28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95~현재 신체조건: 키 191cm 주 소속팀: 유벤투스 주 포지션: 골키퍼 별명: 슈퍼맨 49위. 엘리아스 피게로아 출생일: 1946년 10월 25일 국적: 칠레 활동기간: 1964~1982 신체조건: 키 187cm 주 소속팀: SC 인테르나시오나우 주 포지션: 센터백 별명: 남미의 베켄바워 48위. 요제프 보직 출생일: 1925년 11월 28일 국적: 헝가리 활동기간: 1943~1962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부다페스트 혼베드 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별명: 쿠쿠 47위. 호세 레안드로 안드라데 출생일: 1901년 11월 22일 국적: 우루과이 활동기간: 1921~1935 신체조건: 키 180cm / 몸무게 77kg 주 소속팀: 클루브 나시오날 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별명: 경이로운 흑인 46위. 프랑크 레이카르트 출생일: 1962년 9월 30일 국적: 네덜란드 활동기간: 1980~1995 신체조건: 키 190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별명: 허리케인 45위. 파우캉 출생일: 1953년 10월 16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72~1986 신체조건: 키 183cm 주 소속팀: AS 로마 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별명: 로마의 8번째 왕 44위. 바비 무어 출생일: 1941년 4월 12일 국적: 잉글랜드 활동기간: 1958~1978, 1983 신체조건: 키 183cm 주 소속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주 포지션: 센터백 별명: 종가의 상징 43위. 프랑코 바레시 출생일: 1960년 5월 8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77~1997 신체조건: 176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센터백 별명: 로쏘네리의 심장 42위. 히벨리누 출생일: 1946년 1월 1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65~1981 신체조건: 키 171cm 주 소속팀: SC 코린치안스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원자폭탄 킥 41위.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출생일: 1935년 5월 2일 국적: 스페인 활동기간: 1953~1973 신체조건: 키 176cm 주 소속팀: 인테르나치오날레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스페인의 가우디 40위. 루카 모드리치 출생일: 1985년 9월 9일 국적: 크로아티아 활동기간: 2003~현재 신체조건: 키 172cm 주 소속팀: 레알 마드리드 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별명: 중원의 마에스트로 39위. 산도르 코치슈 출생일: 1929년 9월 21일 국적: 헝가리 활동기간: 1943~1965 신체조건: 키 177cm 주 소속팀: 부다페스트 혼베드 주 포지션: 스트라이커 별명: 황금 머리 38위. 마티아스 진델라 출생일: 1903년 2월 10일 국적: 오스트리아 활동기간: 1921~1939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아우스트리아 빈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그라운드 위의 모차르트 37위. 로베르트 바조 출생일: 1967년 2월 18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82~2004 신체조건: 키 174cm 주 소속팀: 유벤투스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말총머리의 판타지스타 36위. 엑토르 스카로네 출생일: 1898년 11월 26일 국적: 우루과이 활동기간: 1916~1939 신체조건: 키 171cm 주 소속팀: 클루브 나시오날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공의 마술사 35위. 후안 스키아피노 출생일: 1925년 7월 28일 국적: 우루과이 활동기간: 1943~1962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CA 페냐롤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엘 페페 34위. 루드 굴리트 출생일: 1962년 9월 1일 국적: 네덜란드 활동기간: 1979~1998 신체조건: 키 190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검은 튤립 33위. 지지뉴 출생일: 1921년 9월 14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39~1961 신체조건: 키 172cm 주 소속팀: CR 플라멩구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브라질 축구의 대부 32위. 레이몽 코파 출생일: 1931년 10월 13일 국적: 프랑스 활동기간: 1949~1967 신체조건: 키 169cm 주 소속팀: 스타드 드 랭스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나폴레옹 31위. 지안니 리베라 출생일: 1943년 8월 18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59~1979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골든보이 30위. 스탠리 매튜스 출생일: 1915년 2월 1일 국적: 잉글랜드 활동기간: 스토크 시티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1932~1965 주 포지션: 윙어 별명: 백전노장의 드리블러 29위.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출생일: 1984년 5월 11일 국적: 스페인 활동기간: 2001~현재 신체조건: 키 171cm 주 소속팀: FC 바르셀로나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환상술사 28위. 사비 에르난데스 출생일: 1980년 1월 25일 국적: 스페인 활동기간: 1997~2019 신체조건: 키 170cm 주 소속팀: FC 바르셀로나 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별명: 패스 마스터 27위.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출생일: 1955년 9월 25일 국적: 독일 활동기간: 1974~1989 신체조건: 키 182cm 주 소속팀: FC 바이에른 뮌헨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미스터 유럽 26위. 호나우지뉴 출생일: 1980년 3월 21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98~2015 신체조건: 키 181cm 주 소속팀: FC 바르셀로나 주 포지션: 윙어 별명: 외계인 25위. 조지 베스트 출생일: 1946년 5월 22일 국적: 북아일랜드 활동기간: 1963~1984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주 포지션: 윙어 별명: 비틀즈의 5번째 멤버 24위. 지지 출생일: 1928년 10월 8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47~1966 신체조건: 키 174cm 주 소속팀: 보타포구 FR 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별명: 미스터 풋볼 23위. 파올로 말디니 출생일: 1968년 6월 26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85~2009 신체조건: 키 187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레프트백 별명: 용의 심장 22위. 레프 야신 출생일: 1929년 10월 22일 국적: 러시아 활동기간: 1950~1970 신체조건: 키 189cm 주 소속팀: 디나모 모스크바 주 포지션: 골키퍼 별명: 검은 거미 21위. 호마리우 출생일: 1966년 1월 29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85~2009 신체조건: 키 169cm 주 소속팀: FC 바르셀로나 주 포지션: 스트라이커 별명: 골의 왕 20위. 마르코 반 바스텐 출생일: 1964년 10월 31일 국적: 네덜란드 활동기간: 1981~1995 신체조건: 키 188cm 주 소속팀: AC 밀란 주 포지션: 스트라이커 별명: 스트라이커의 교과서 19위. 호세 마누엘 모레노 출생일: 1916년 8월 3일 국적: 아르헨티나 활동기간: 1935~1961 신체조건: 키 178cm 주 소속팀: 리버 플레이트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우승 청부사 18위. 로타어 마테우스 출생일: 1961년 3월 21일 국적: 독일 활동기간: 1979~2000 신체조건: 키 175cm 주 소속팀: FC 바이에른 뮌헨 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별명: 게르만의 혼 17위. 게르트 뮐러 출생일: 1945년 11월 3일 국적: 독일 활동기간: 1963~1981 신체조건: 키 176cm 주 소속팀: FC 바이에른 뮌헨 주 포지션: 스트라이커 별명: 폭격기 16위. 주세페 메아차 출생일: 1910년 8월 23일 국적: 이탈리아 활동기간: 1927~1947 신체조건: 키 169cm 주 소속팀: 인테르나치오날레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최초의 판타지스타 15위. 바비 찰튼 출생일: 1937년 10월 11일 국적: 잉글랜드 활동기간: 1956~1980 신체조건: 키 173cm 주 소속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위대한 노동자 14위. 에우제비우 출생일: 1942년 1월 25일 국적: 포르투갈 활동기간: 1957~1980 신체조건: 키 175cm / 몸무게 76kg 주 소속팀: SL 벤피카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흑표범 13위. 지쿠 출생일: 1953년 3월 3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71~1994 신체조건: 키 172cm 주 소속팀: CR 플라멩구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하얀 펠레 12위. 가린샤 출생일: 1933년 10월 28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51~1972 신체조건: 키 169cm 주 소속팀: 보타포구 FR 주 포지션: 윙어 별명: 굽은 다리의 천사 11위. 호나우두 출생일: 1976년 9월 22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93~2011 신체조건: 키 183cm 주 소속팀: 인테르나치오날레 주 포지션: 스트라이커 별명: 경이로운 자 10위. 미셸 플라티니 출생일: 1955년 6월 21일 국적: 프랑스 활동기간: 1972~1987 신체조건: 키 178cm 주 소속팀: 유벤투스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프랑스의 왕 9위. 지네딘 지단 출생일: 1972년 6월 23일 국적: 프랑스 활동기간: 1989~2006 신체조건: 키 185cm 주 소속팀: 레알 마드리드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아트 사커의 지휘자 8위. 페렌츠 푸스카스 출생일: 1927년 4월 1일 국적: 헝가리 → 스페인 활동기간: 1943~1966 신체조건: 키 172cm 주 소속팀: 부다페스트 혼베드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달리는 소령 7위. 프란츠 베켄바워 출생일: 1945년 9월 11일 국적: 독일 활동기간: 1964~1983 신체조건: 키 181cm 주 소속팀: FC 바이에른 뮌헨 주 포지션: 센터백 별명: 리베로의 대명사 6위. 크리스타아누 호날두 출생일: 1985년 2월 5일 국적: 포르투갈 활동기간: 2002~현재 신체조건: 키 187cm 주 소속팀: 레알 마드리드 주 포지션: 윙어 별명: 챔피언스리그의 사나이 5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출생일: 1926년 7월 4일 국적: 아르헨티나 → 콜롬비아 → 스페인 활동기간: 1945~1966 신체조건: 키 178cm 주 소속팀: 레알 마드리드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금빛 화살 4위. 요한 크루이프 출생일: 1947년 4월 25일 국적: 네덜란드 활동기간: 1964~1984 신체조건: 키 180cm 주 소속팀: AFC 아약스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축구 혁명가 3위. 디에고 마라도나 출생일: 1960년 10월 30일 국적: 아르헨티나 활동기간: 1976~1997 신체조건: 키 167cm 주 소속팀: SSC 나폴리 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별명: 축구의 신 2위. 펠레 출생일: 1940년 10월 23일 국적: 브라질 활동기간: 1956~1977 신체조건: 키 173cm / 몸무게 75kg 주 소속팀: 산투스 FC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축구 황제 1위. 리오넬 메시 출생일: 1987년 6월 24일 국적: 아르헨티나 활동기간: 2004~현재 신체조건: 키 170cm 주 소속팀: FC 바르셀로나 주 포지션: 처진 공격수 별명: 메시아 해외축구갤러리 ㅇㅇ님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