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gran2129
1,000+ Views

병원부터 주말까지 ~ 일상

또 병원에 가는 날이 돌아왔어요 ~ 주사를 맞는 동안 책은 필수입니다
지하 마트에 갔더니 초코렛과 사탕들이 ㅎㅎㅎ 하와이안호스트 하나 사올까 하다가 ㅜ 내려놨어요
베즐리~ 크룽지의 원조라는데 ㅎㅎㅎㅎㅎ 역시 맛있겠죠?? 생각보다 큼직 ~!
크록스 매장도 생겨서 금동이 선물도 샀어요 반짝반짝 빛이나는 지비츠에요 😍
프레즐도 사고 ㅎㅎㅎㅎ 오는길에 지하철 역 안 세계과자점도 들러서 왕창 샀지요 금동이 핑계대고 엄마 물욕 채우기
병원에서는 아무것두 먹고싶지두 넘어가지도 않아서요;;; 쫄쫄 굶고 집에와서 (오후4시쯤) 첫끼를 먹습니다 탄수화물 나트륨 충전 🤩
크룽지 2
금동맘 손도 큰데 사이즈가 꽤됩니다 ㅎ
다음날 !!!! 주말엔 닭발
금동이는 순살 치킨 엄마 아빠는 닭발에 맥주
술안주 ... 황금씰은 어디에....
해장은 해물 라면 해물파티 + 냉동 꽃게~ 파기름 , 마늘기름 내고 해물투하 라면스프 넣고 고추가루 1 굴소스1 치킨스톡 조금 센불에 볶고 기름 올라오면 물 넣고 끓으면 라면 끓이면 끝 진짜 맛나요 👍
오동통 토실토실
5 Comments
Suggested
Recent
저도 거의 1년간 병원 다닌적이 있는데 책보기 좋았어요^^ 건강잘 붙들어 매고 살아야쥬~ ⚡️ 닭발이 급땡기네요 😍
@ys7310godqhr 처음에는 병원 한번 다녀오는게 그렇게 스트레스 였어요 ;; 모르는 사람들은 하루 연차내고 쉬는건데 병원에서 밥도 먹고 편하게 있다가 오라는데 저는 그게 쉽지 않더라구여 음식도 안넘어가고 괜히 긴장되서... 온통 아픈 사람들인데 저도 별 좋은 얘기 못들으면 기분도 너무 다운되고 ;; 그래서 책이 도움이 많이되요 주위사람들 안쳐다보고 주사실 안에 들어가면 조용하고 음악도 잔잔해서 책읽기 딱 좋아요 👍 행탱이 집사님도 건강 잘 챙기세요 ~
@mingran2129 네~! 화이팅 입니다용~p(^-^)q
닭발 못먹어본지 어언 30년이 다되가는것 같아요…
@vladimir76 오모나 😱 저는 신당동에 가서 정기적으로 사다 먹어요 ㅋㅋㅋㅋ 꼬들한것보다 흐물하게 푹 익힌걸 좋아해서 맵찔이인대 아이러브떡볶이 닭발 보통맛이 딱 좋아요 👍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맥주 이야기]: 세계 1티어 자연 발효 맥주 드리 폰타이넌(3 Fonteinen) ABC 모음집 - 2편
1편을 못 보신 분들은 아래 카드를 읽어주세요~ https://www.vingle.net/posts/5936117 G 골든 블렌드(실제로 맥주 외관도 황금색이죠!)는 본질적으로 괴즈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일반적인 1, 2, 3년산 람빅 외에 4년산 람빅을 블렌딩하고 병에서 두 번째 발효를 거칩니다. 첫 번째 블렌드는 2011년에 드리 폰타이넌에서 만들어 2012년에 출시되었고, 두 번째 에디션은 2015년에 나왔습니다. 현재까지 드리 폰타이넌은 최소 9가지 버전의 골든 블렌드를 출시했으며, 375mlhe750ml가 있습니다. 새로운 라벨 골드 블렌드 중 하나는 2017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현재까지 최소 5가지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주류의 평균 숙성 시간은 블렌딩 비율에 따라 다르므로 구체적인 정보는 마시는 병 뒷면의 라벨을 확인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골든 블렌드가 병에서 2 차 발효가 필요하므로 술이 거품으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하지만 드리 폰타이넌은 2012~2013년 사이에도 이 람빅을 2차 발효하지 않은 버전인 골든 도젤을 생산하려고 시도했는데, 병입 당시 최소 4년 이상 숙성되었으며 2차 발효 없이도 여전히 음용 잠재력이 절정에 달했습니다. 물론 일반 원형 라벨이나 원형 라벨 옆에 꿀벌 심볼이 있는 라벨 등 다양한 버전의 골든 블렌드를 보셨을 것입니다. 여기서 모든 세부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뒷면 라벨의 세부 사항을 살펴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H H는 라즈베리와 체리가 들어간 오랜 전통의 과일 람빅인 오마주를 의미하며, 두 과일의 비율은 배치마다 다르지만 보통 750ml의 큰 병에 담겼지만 2019년부터는 375ml의 작은 병으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오마주'는 존경, 종교적 공헌을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단어 앞의 H는 발음되지 않으며 '오마르 데이'와 비슷합니다. 2005년 당시 드리 폰타이넌은 대표였던 가스통 드벨더가 사망했을 때, 그의 아들 아르망 드벨더가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이 술을 만들었고, 2007년에 오마주라는 이름으로 병에 담아 출시되었습니다. 2007년 이후 드리 폰타이넌은 2013년과 2015년에 각각 두 번째와 세 번째 배치를 출시했으며, 2016년 12월부터 새로운 레이블로 출시했습니다. 현재까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20가지 이상의 오마주 버전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원형 라벨(아래 사진 왼쪽 1) 외에도 시중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라벨이 있습니다. 바이오 프람보젠(Bio Frambozen)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제품은 성분에 사용된 라즈베리가 EU 기준에 따라 유기농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라즈베리는 기본적으로 쓰리스프링스가 협력하는 페르메 프람부스(Ferme Framboos) 과일 공급업체의 제품입니다. 둥근 배럴 기호가 있는 것은 과일을 숙성시키는 오크 통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옆에 벌이 그려져 있는 것은 이 와인에 현지에서 공급받은 꿀이 주입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드리 폰타이넌 람빅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때, 앞으로 이 H에는 어떤 새로운 내용이 추가될까요? 앞으로도 더 다양한 오마주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I 문자 I 아래에는 드리 폰타이넌은 또 다른 초기 실험 람빅 중 하나인 인텐스 루드가 있으며, 영어로는 인텐스 레드라고 번역됩니다. 해당 람빅은 2012년 11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Toer deGueze가 출시 되었습니다. (바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HORAL 기념 플랜드 괴즈입니다.) 초창기에는 라벨의 상징적인 숫자 "3" 대신 다음과 같은 모양으로 매우 특별한 것이 있었습니다. 특이하지 않나요? 물론 라벨이 변경되었을 때는 문자 "I"로 대체되었습니다. 인텐스 루드는 본질적으로 오래된 크릭이지만 일반 크릭보다 과일 비율이 더 높으며 체리 비율은 보통 리터당 475그램 이상입니다. 체리는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6개월 이상 숙성시키고, 과일 퓌레를 제거하고 병에 담아 6개월 이상 더 숙성시킨 후 판매합니다. 이 람빅을 마셔보고 싶다면 일반 크릭과 시음을 비교하여 체리 추가가 람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K 기본 과일 람빅으로 인식되는 크릭 Kriek은 "체리"를 뜻하는 플랑드르 어로, 이 경우 체리 람빅에 대명사로 그 의미가 부여되었습니다. 편의상 이 스타일을 "크리크 혹은 크릭" 이라고 부릅니다. 크릭 앞에 오드/우드가 붙는 이유는 당시 HORAL(전통 람빅 양조 협회)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통 람빅 양조장에서 전통 양조 방법으로 생산된 람빅은 정의된 대로 이름에 "오드/우드"라는 단어를 추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비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람빅과 구별하기 위한 이유도 큽니다. 찾을 수 있는 가장 초기의 라벨에 따르면, 드리 폰타이넌은 적어도 1990년부터 크릭 병에 담아 판매해 왔습니다. 80,000 병 이상의 병이 온도 제어 사고로 인해 소멸된 람빅을 제외하고 장시간 열을 받았으며 알려지지 않은 수의 오래된 크릭이 남아있었습니다. 남은 병 중 일부는 나중에 다시 병에 담겨 "핫 체리"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람빅 이야기는 일반적이고 평범한 체리를 람빅 베이스에 담근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퓌레를 제거하고 침전시키고 병에 담아 판매하여 병에서 두 번째 발효의 가능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크릭의 버전이 너무 많아서 뒷면의 설명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확인해야합니다. 토스트 라벨은 갓 구운 오크통을 사용했음을 나타내며 허니 마크는 현지 꿀을 첨가했음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파란색 노란색 고리가 있는 라벨은 EU 전통 특산품 인증을 나타냅니다. 병에 2차 발효가 없다면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바로 크리켄람빅(Kriekenlambik)입니다. 크리켄람빅이라는 이름은 순전히 크릭과 구별하기 위한 것인데요. 병입하기 전에 과일과 람빅 베이스 원주를 이미 6개월 동안의 숙성을 거쳐 발효 가능한 당분이 대부분 고갈되었고, 병입 시 2차 발효를 유발하는 설탕을 첨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병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람빅은 매우 소량만 병에 담았으며 양조장에서 배럴에서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Kl 마크가 새겨진 병이 보이면 주저하지 말고 한 번 마셔보세요. 색다른 경험이 될 것입니다. M 새로운 병 라벨이 도입된 이래로 M이 들어간 람빅은 없었지만 저 개인적으로 밀레니엄 괴즈(Millennium Geuze)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제가 정말 좋아하는 괴즈이기도 하고, 그립기도…합니다 ^^ 1998년에 사람들은 밀레니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샴페인 하우스들이 밀레니엄 샴페인을 생산하고 있었고 많은 양조장들이 같은 작업을 하고 있었죠. 당시 아르망의 친구 빌렘 반 헤레베겐(Willem van Herreweghen)은 드 켐(De Cam) 양조장에서 양조사로 일하고 있었고, 빌렘은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의 소유주 중 한 명이기도 했습니다. 두 절친한 친구는 세련되고 현대적인 샴페인 하우스에 감탄하면서 람빅 최고의 양조장 중 하나인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도 시대의 흐름에 동참할 수 있을지 궁금해했습니다. 그렇게 밀레니엄 괴즈가 탄생했습니다. 이 람빅에 대한 추가 정보는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와인 라벨은 실크 스크린을 사용하여 병에 직접 인쇄되었습니다. 다음에 벨기에 갈 기회가 생기면 오래된 펍에 가져서 어떤 종류의 귀중한 물건이 들어 있는지 물어보세요. 8,000병으로 한정된 이 람빅은 꼭 맛보셔야 할 람빅이라고 생각합니다. P 문자 P 아래에는 퍼직/페르직(Perzik)피치와 플래티넘 플래티넘 블렌드 두 가지 람빅이 있습니다. 페르직은 복숭아를 뜻하는 네덜란드어이며, 물론 문자 P는 복숭아를 뜻하는 영어 단어인 피치(Peach)와 일치합니다. 실험작 람빅 Speling van het lot (별명 - 신의 선택)에서 복숭아를 사용한 여러 람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은 대량 생산을 위한 람빅을 골라 2019 년 여름과 가을에 판매했으며, 이것이 바로 Perzik입니다. 이것은 약 5개월 반 동안 복숭아에 담근 2년 된 람빅으로 만든 과일 람빅입니다. 드리 폰타이넌 양조장은 25번 배치에는 황도, 24/26/27번 배치에는 백도 등 다양한 복숭아 품종과 혼합 품종을 사용했습니다. 이 배치의 대부분은 판매 개시 이후 전 세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자칭했습니다. 아직 초기 제품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더 많은 품종의 복숭아가 사용되고 더 중립적인 방식으로 취급될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할 람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름이 익숙해 보이는데, 이전 골든 블렌드라는 람빅이 있었죠? 그것은 1,2,3,4 년 된 람빅이지만,플래티넘 블렌드는 골드 블렌드와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람빅입니다. https://www.vingle.net/posts/4104418?q=%EB%A7%A5%EC%A3%BC%20platinum 플래티넘 블렌드 역시 1, 2, 3, 4년산 람빅을 블렌딩한 것이지만, 4가지 빈티지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드리 폰타이넌에서 생산된다는 점과 드리 폰타이넌 역시 람빅 양조장의 일반적인 관행처럼 다른 증류소에서 원액을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반면 골드 블렌드에 사용된 람빅은 다른 증류소의 맥아즙을 부분적으로 공급받았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플래티넘 블렌드는 2019년 6월 375ml사이즈로 첫 출시되었습니다. 이 배치에서 가장 오래 숙성된 람빅은 4년 4개월에 달했지만, 전체 병의 가중 평균 숙성 기간은 약 32개월입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배치를 출시했으면 하는 람빅이기도 합니다. - 3편에서 계속
폼 기깔난 제주도 빵투어 (feat. 박하경 여행기)
웨이브에서 박하경 여행기 본 사람? 7화가 제주도 빵지순례 편인데 실제로 유명한 빵집들 많이 보이길랰ㅋㅋㅋㅋ 제주도 여행 갈 사람들 참고하라고 갖고옴 나도 안가본 곳들도 있는데 올해 안에 다 가봐야겠음 오프닝에 뜬 빵지순례 지도 보자마자 기절함 ★☆★☆탐난다 박하경의 빵지순례★☆★☆ 모니터에 빨려 들어갈 기세로 탈탈 털어서 실제 어디 빵집인지 알아냄ㅇㅇ (주소는 구글 펌) 다들 밑줄 좍좍 그으면서 들어와라 1. 다니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특별자치도, KR 조천읍 조천읍 함덕16길 56) 함덕에 있는건데 매장도 예쁘고 바닐라 휘낭시에 존맛임.. 모니터 핥을뻔 2. 서귀피안 베이커리(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양로122번길 17 2F) 여기는 빵도 빵인데 실제로 가보면 바다뷰도 미쳤음 바다 보면서 빵 뜯으면 을매나 맛있게요 3. 제주의 계절(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로 5길 34) 여긴 조그마한덴데 밤호박크림치즈, 한라봉휘낭시에 특이한 빵들 많음ㅠㅠ 대 존 맛 4. 수와래 베이커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특별자치도, 남원읍 태위로 17) 여긴 빵 보여주진 않고 스윽 지나가더라ㅠㅠ 그래도 보장된 소금빵 맛집.. 5. 송당의 아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중산간동로 2254) 제주우도땅콩식빵, 말차단팥식빵처럼 제주 특화?된 메뉴들 많음ㅇㅇ  6. ABC 에이팩토리 베이커리 (제주시 KR특별자치도 제주시 탑동로 11) 여긴 제주시내에 있어서 공항 가기 전에 들리기 좋음!!  7. 삼복당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특별자치도, 용담동 서문로 66) 여긴 안가봤는데 진짜 유명하더라ㅠ 사라다빵이랑 메론빵 같은 추억의 빵들이 많다고 함 8. 남양당 (제주 서귀포시 효돈로 173-1 남양당) 여기도 안가봤는데 동네 옛날 빵집st 찐빵이 진짜 맛도리라함ㅠㅠ 이 드라마 에피 내용이 어떤 꼬마가 ‘달팽이 빵’을 찾아서 제주 빵집을 다 돌아댕기고 이나영은 꼬마 쫓아다니는 내용인뎈ㅋㅋㅋ 누가 이 애가 돌아다닌 경로 찍은거 올려준게 진짜 웃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현웃 완 이걸 다 걸어서 다님ㅋㅋㅋㅋ 역시 요즘 애들 체력 따라갈 수 없다.. ★ 저 애기 넘나 귀엽고여.. 달팽이빵 찾으러 다니는 이유는 드라마에 나오는데 흐뭇하면서도 살짝 눈물 남ㅠ 드라마도 보는 거 추천함 출처: 더쿠
그래도 알고 마시자, 맥주병에 써진 단어들 해독하기.jpg
음식이건 술이건 웬만하면 먹던 거 그냥 계속 먹는 게 사람 성향이긴 하지만 나는 워낙에 호기심이 많아 이거저거 건드리는 게 많은 편인데 출처: 조선일보 요즘 제일 많이 건드리는 장르 중 하나가 맥주 종류가 수천 개는 되니까 도저히 다 먹는 건 무리고 이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용어 몇 개 공부하고 외워서 캔에 써진 단어 보고 어떤 성향의 맥주인지 때려 맞추는 방법인데 ©created by_alex, 출처 Unsplash 전혀 정체를 모르겠는 맥주를 만나다가도 ©created by_alex, 출처 Unsplash 저 코딱지만 하게 적힌 India Pale Ale 세 단어만 찾아내면 어떤 맥주인지 감이 딱 오게 돼 있음 사실 이게 효과가 꽤나 좋아서 맛의 예상치가 크게 벗어나는 일이 거의 없다 그림 예쁘다고 막 고르는 거보다 훨씬 원하는 타입 맥주 고르는 데 도움이 됨 출처:조선일보 하지만 아까 말한 대로 마트에 깔린 수입 맥주 종류가 문자 그대로 수천 개는 되는 시대에다가 유럽, 영미권 맥주들에 붙은 용어들이 워낙에 헷갈리니 단어 몇 개 가지고는 구분하기 점점 힘든 상황이 됐는데 그래서 내친김에 요 며칠 책도 보고 인터넷도 찾고 열심히 외울 것만 딱딱 잡아서 밑처럼 정리했는데 기왕 공부한 거 아까우니까 포스팅합니다. 맛을 내는 3요소 (물 제외) - 홉(Hop): 맥주에 다양한 향과 씁쓸한 맛을 줌, 국가별 지역별 특성을 만들어냄 - 맥아 (Malt): 고소한 맛과 단맛, 볶는 정도에 따라 맥주의 색과 풍미를 결정 - 효모 (Yeast): 알싸함, 과일 향, 부드러운 맛, 종류에 따라 라거와 에일을 결정 가장 대표적인 2종류 라거 - 하면발효 (대개 청량깔끔) 에일 - 상면발효 (대개 풍부한 향과 맛) 접두사 - 임페리얼, 도펠, 엑스포트, 엑스트라, 헤비, 스트롱: 도수, 풍미 등이 강화 - 페일, 라이트, 드라이: 연하고 가볍고 깔끔한 느낌 - 트라피스트(Trappist), 애비(Abbey): 수도원 생산 맥주 색상 - 밝은색: 페일, 골드, 블론드 - 중간색: 앰버, 레드 - 어두운색: 브라운, 다크, 블랙 체계적으로 정리된 거 아니고 모든 게 다 들어간 것도 아니고 옛날 공부할 때처럼 외우고 싶은 것만 속성으로 닥치고 암기로 때려 외우기 위한 자료라 깊이는 전혀 없습니다 틀린 내용 있을 수도 있고 고수분들이 보면 코웃음 칠 내용 그래도 너무 복잡한 거 없이 외팅어 종류 구분하는 정도만 돼도 웬만하면 크게 예상에서 벗어나진 않고 응용도 좀 해보자면 바이엔슈테판 헤페바이스비어 둔켈 -> 헤페바이스비어 + 둔켈 -> 밀맥주 + 구수하고 단 맥아 흑맥주 먹어본 적은 없는데 아마 그렇겠죠 아님 말고요 책상물림의 한계입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맞을 테니 한창 퍼마실 시긴데 보시고 도움이 좀 됐으면 하네요 출처: 개드립
[오늘의 맥주]: 275. Black Tuesday (Red Wine Barrel Aged) - The Bruery (와인 배럴 숙성 맥주 근데 도수가 왠만한 와인보다 높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임페리얼 스타우트를 말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The Bruery의 Black Tuesday (Red Wine Barrel Aged)입니다. 이 맥주는 제 저번에도 설명 드렸지만, 1929년에 미국에서 벌어진 경재 대공황 주식 시장 대붕괴를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맥주이며, 무려 15%이상의 도수를 지니고 있는 임페리얼 스타우트입니다. https://www.vingle.net/posts/3887443?q=%EB%A7%A5%EC%A3%BC%20bruery 이번에 마신 맥주는 왠만한 와인 도수보다 높은 18도를 가진 임페리얼 스타우트인데요. 물론 오리지널 24도 버전보다는 낮지만, 그래도 이 맥주를 다 마시면 분명 제정신이 아니기에 저도 항상 집에서만 마시는 술이기도 합니다. 오늘 마신 맥주는 캘리포니아 그랑 크루 와인 배럴에서 숙성 거치면서 기존 오리지널 버전에서 와인 캐릭터를 입혔다고 설명이 되어 있는데요. 완성도는 항상 좋은 모습을 보여줘서 이번 맥주도 기대가 됩니다. 구매처: 크래프트 브로스 서래마을 구매액: 38,000 원 맥주 정보; 이름: Black Tuesday (Red Wine Barrel Aged) ABV: 18% IBU: N/A 먼저 잔에 따라내면, 맥주 해드는 얇게 형성되면서 약간 맑지만 어두운 검붉은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향을 맡아보면, 눈에 띄는 알코올 부즈 향과 로스티드, 다크 초콜릿, 옅은 말린 붉은 베리 향이 느껴집니다. 뭔가 향부터 이미 아주 높은 바디감을 보여주면서 상당히 묵직한 캐릭터를 보여줄 것으로 느껴집니다. 마셔보면, 약간의 다크 초콜릿, 로스티드, 오크 캐릭터, 말린 붉은 베리 향이 잘 느껴집니다. 거칠지만 다양한 캐릭터의 달콤한 캐릭터도 느껴지면서 알코올 부즈에서 느껴지는 바디감과 낮은 탄산감은 이 맥주의 캐릭터를 더 잘 살려주는 거 같습니다. 이런 다양한 캐릭터는 뒷맛 여운까지 잘 느껴지면서 마무리 됩니다. 클래식 임페리얼 스타우트 + 와인 배럴 오랜만에 클래식 임페리얼 스타우트의 와인 배럴 버전을 마신 맥주였습니다. 현재는 아니지만, 소위 말하는 클래식 임페리얼 스타우트에서는 특유의 거칠고 묵직한 캐릭터가 대표적이었는데요. 이 맥주에서는 그런 캐릭터가 잘 느껴져서 완성도 자체는 상당히 높다고 느껴졌습니다. 물론, 도수가 높은 맥주여서 맥주를 어느정도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 우선적으로 추천드리고 아니면 미리 구매하고 나중에 마셔보는 것도 좋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