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dara4
1,000+ Views

한국 올림픽 역사상 가장 극적이었던 우승 중 하나

2016 리우 올림픽 펜싱 남자 에페 결승전
당시 21세, 대표팀 막내였던 박상영은 42세의 베테랑 게자 임레를 결승에서 만나
2라운드 중반까지 치열한 접전을 이어갔지만
후반부로 갈 수록 균형은 기울게 되면서 13:9라는 열세의 스코어에 놓이게 됨.

에페 종목은 플레뢰, 사브르 종목과 달리 신체의 전부위가 공격허용이고
무엇보다 동시타가 허용되기 때문에 한치의 실수도 바로 실점으로 이어질 수 있음.

마지막 라운드를 남기고 "할 수 있다."를 되뇌는 박상영.
아직 경기는 끝나지 않았음.


박상영은 다시 13-10을 만들며 희망의 불씨를 피우지만 바로 실점하며 14-10.
이 경기를 승리로 가져오려면 동시타 없이 내리 5점을 연속으로 득점해야함.
환호하는 헝가리 감독.

그런데..
14-11


14-12


14-13


14-14


14-15


근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남.
박상영은 상대방에게 1점도 내주지 않고 오직 자신의 득점으로만 내리 5득점을 하며
대한민국 에페 종목 역사상 최초의 금메달이자, 에페 종목 역사상 최고의 역전극을 만들어냄.

끈기와 집념으로 만들어낸 미친 결과
태극기를 가장 높은 곳에 올리는 박상영.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인생이 이보다 더 기구할 순 없다는 배우
폼 클레멘티에프 1986년생 호랑이띠 프랑스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한국계 배우 전 세계적으로 마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의 '맨티스'로 유명 배우의 이름이 '폼'인 이유는 한국인인 그녀의 어머니가  86년 호랑이띠로 봄에 태어난 그녀에게  '봄'과 '범'을 모두 의미하는 뜻으로 지어준 이름이라고 어머니가 한국인인만큼 인터뷰 등에서 한국에 대한 애정을 꾸준히 드러내는 배우 중 한 명 그런데 이 배우의 삶의 굴곡이.................... - 5살 때 친아버지가 암 투병 중 사망 - 이후 어머니는 조현병 발현 - 오빠와 함께 친척집을 전전하며 성장 - 그 중에서 제2의 아버지로 여겼던 삼촌이 있는데, 폼이 18세 되던 생일날 사망 - 7년 뒤, 폼이 25살 되던 해 생일, 친오빠 '나무' 역시 자살로 사망 (가장 행복해야 할 생일때마다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세상을 떠나는 아이러니..) - 이후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며 연기에 관심을 가지고 단역부터 커리어를 쌓기 시작하다가 - 올드보이의 미국판 리메이크작에서 보디가드 역할을 따냈고, 캐릭터 배역을 한국어인 '행복'으로 스스로 작명 (행복하고 싶었다고...) - 이후 가오갤에 멘티스로 배역을 맡으며, 전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는 스타로 성장 출처ㅣ네이트판 부디 앞으로는 꽃길만 있었으면 좋겠어요 T_T
낭만과 성능의 대결! 전함파 vs 항공모함파
사실 일본이 '함대결전사상'을 버리지 못하데에는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바로... 기름이 없었기 때문이죠 부족한 자원과 밀리는 생산량 탓에 어떻게든 한번의 한타로 결정적인 승기를 잡는 것이 중요했던 일본 해군은 함대를 운용할 때 굉장히 소극적이고 조심스럽게 움직였죠 그럼에도 불구, 전쟁 말기에는 굉장한 자원부족으로 고통받게 됩니다 반면 미군은 원하는 곳에, 원하는 양의 함대를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었기에 굳이 함대결전에 목을 맬 필요가 없었습니다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영화의 장면에서 당시 분위기를 살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같은 영화의 한 장면입니다 당시 일본에서도 전함파 vs 항공모함파의 대립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야마토를 만들 돈이면 제로센을 천기는 만들 수 있다'는 항공모함파와 '함대결전사상이 일본 해군의 근본이다'는 전함파의 의견이 대사로 나옵니다 야마모토 이소로쿠 또한 과연 진정한 의미로 일본 해군에서 '진보파'였는지도 의견이 갈립니다 이소로쿠가 일본 군부 내에선 그나마 항공모함에 집중한 것도 맞지만 항모 운영에도 미숙한 실수가 계속 발견될 뿐더러 파벌 때문인지 전쟁 끝까지 전함에 대한 미련을 놓지 못하는 모습도 보이기 때문입니다 (어디까지나 미국 제독들과 비교해서) 다만 미군에서도 인정했듯이, 당시 일본 해군 내에서 이소로쿠를 대체할만한 인물이 없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출처)
그때 그 김연아 소치올림픽 은메달에 대한 세계 언론들 반응
호주 신문사의 돌직구 소트니코바 사진에 "얘가 이김" 김연아 사진에 "얘가 이겨야했음" 당시 미국 ESPN 올림픽 홈페이지 메인 대문짝만하게 "홈 어드벤티지" ㅋ... 미국 CNN의 메인 "논란많은 피겨스케이팅? 그럼! (Yep!)" "제가 느끼기엔 도둑맞은거 같아요 (메달을)" 미국 올림픽 선수가 말했다.   뉴욕타임즈 신문 기사 제목은 "뒤틀린 금" “17세 소트니코바가 올림픽 챔피언 김연아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채점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이 기사 안에는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이자 캐나다 CBC 해설자인 커트 브나우닝이 인터뷰를 했는데어떻게 단 하루만에 소트니코바가 (김연아보다)잘 할수 있었던건지 자신은 이해할수 없다고 실력 외에 다른 요소(러시아 압력)가 작용한것 같다고 인터뷰 함. 워싱턴포스트 기사 中  "그녀의 점수는 김(연아)과 비슷했지만,그녀가 어느 한부분이라도 김연아와 같은 예술적인 것에 가까웠다고 생각한다면 굉장히 우스운 일이다.그들 모두 좋았지만 좋다는 것에도 레벨이 있다. 한가지는 네가 너의 할머니가 가족모임에서 차차를 췄기 때문에 좋은 댄서였다고 말하는 방식의 좋음이다. 다른 하나는 수석 발레리나의 좋음이다." 수석 발레리나 = 김연아 할머니의 차차댄스 = 소트니코바 (비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국 야후 스포츠 “스캔들, 사기, 피겨 스케이팅의 종말" '소치 피겨 점수조작, 1년 전부터 공작한 사기극이다' 프랑스 스포츠 사이트 l'equipe 기사 타이틀 : 스캔들! 부제 : "심판들은 러시아에게 첫번째 피겨 스케이팅 올림픽 챔피언을 제공했지만 ,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는 그 자격이 없다" 독일 일간지 쥐트도이췌차이퉁(Süddeutsche Zeitung) 스포츠면 기사 소트니코바의 금메달에 대한 논란을 설명하면서 편파판정 이후 김연아가 얼마나 세련되고 쿨한 태도를 보여줬는지에 대한 얘기를 덧붙임.그리고 피겨 선수들,해설가들의 이해할수 없는 반응을 실었고 다른 세계적 일간지에서 이 편파판정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적음(물론 러시아 제외,전부 결과를 이해할수없다는 반응) 전 피겨선수였던 독일의 카타리나 비트는 김연아가 은메달을 따자,독일 방송에서 사자후를 토함ㅋㅋㅋ 저도 아닌것 같네요... 유럽 매체인 유로스포츠는 2014 소치올림픽 당시 '소치 올림픽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 톱10'에 김연아 편파판정을 1위로 뽑았습니다 호주 언론 또한 '스포츠 역사 최악의 판정5'에 김연아 편파판정을 포함시켰습니다 그리고 김연아 편파판정을 보고 빡친 이탈리아 대학 교수는 아예 논문 까지 내버림 러시아 제외 세계 여러나라들 전부 공통된 반응이었던 그때그 2014소치올림픽 피겨... + 메달도 주인을 알아본다 연아가 메달에 입을 맞추자 은메달이 금메달로 바뀌는 기적의 짤 관심좀 주세요.. 귀찮으실까봐 댓글 달아달라고 못하는데 클립과 하트 정말 좋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