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ogh7672
10,000+ Views

Hardwell live at Ultra Music Festival 2015

하드웰 UMF2015입니다. 좋아하실 분들 많을거 같아서
12 Comments
Suggested
Recent
@hippyhoppy 아마 솔드아웃일거에요 전 작년에 일일권 현장발매해서 들어갔다는..ㅠㅠㅠ
@hippyhoppy umf korea라고 치면 나올거에요ㅋㅋ
@hippyhoppy ㅋㅋㅋ잠실에서 해요. 잠실운동장이요 이번에 한번 가보세요 저도 갈거라.ㅋㅋ
이번에 어디서 하나요 작년인가 재작년에 9호선에서 그렇게 광고하던데
@hippyhoppy 언젠가는 가봐야죠ㅋㅋ 일렉트로닉의 성지인데 울나라도 하니까요 기대해야죠 이번에 가시나요??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환* 존잘 하드웰의 한국 방문을 환영합니다 *영*
하드웰. 얼굴로 디제이하는 하드웰. 초록창에 검색하면 씹존잘이 연관검색어로 나오는 하드웰. 하드웰은 진짜 잘되었음 좋겠다.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의 메인 스테이지에 처음으로 서게 되었을 때 한사람의 관객으로써 울트라에 놀러가다 디제이로 무대에 섰을 때 Dreams come true.하면서 감상에 젖었던 하드웰이 생각나서, 지금은 세계 최고의 디제이가 되었지만 언제나 겸손해보여서 그냥 막 잘되었으면 좋겠다 ໒(◕ヮ◕)〜⊹ 하드웰은 막 커머셜한 디제이가 아니라 잘 모르는 분들도 있으실 수 있겠지만 현재 명실상부 세계1위 디제이에요. 재능과 인기를 동시에 겸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1988년생 네덜란드 출신 디제이/프로듀서 하드웰은 어린시절부터 세계 1위의 디제이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었어요. 짤은 'I am Hardwell'이라는 하드웰의 다큐멘터리에 나오는 인터뷰 영상이에요. 6살도 아니고 16살에 세계 최고 어쩌고하는 꿈을 방송에서 말하는건 쉽지 않을거 같은데요. 역시 예사롭지 않죠? 진정으로 '꿈★은 이루어진다'의 현실판이에요. 어린시절부터 학교도 때려치고 디제잉을 해왔지만 하드웰이 처음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2009년 Robin S의 "Show Me Love"와 Steve Angello & Laidback Luke의 "Be"의 Bootleg 버전 "Show Me Love vs. Be"가 주목받으면서 부터에요. 하드웰 디제잉 스타일하면 찰진 매쉬업으로 유명한데 여기서부터 떡잎이 보이네요. 2010년에 하드웰은 본인의 레이블 Revealed Recordings을 설립해요. 사진은 Revealed Recordings 삼대장 모습이에요. 대닉(Dannic)과 다이로(Dyro)는 하드웰과 함께 Revealed Recordings을 세계 최고 레이블 중 하나로 키운 하드웰의 왼팔, 오른팔이라고 할 수 있죠.(현재는 Dyro는 새로운 레이블 Wolv을 설립하고 Revealed를 나갔어요.) 2011년에는 Hardwell On Air라는 본인의 이름을 건 위클리 라디오 쇼&팟캐스트를 런치하게 되어요. 전 본인 팟캐스트 있는 디제이들이 좋더라고요. 사실 위클리로 세트 하나씩 만드는게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ㅎ_ㅎ 뭔가 전세계 돌아다니면서 공연하는 것만이 디제이의 역할이 아니라 계속하여 전세계 팬들에게 본인의 음악을 들려주며 발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달까..ㅎ = 만구 내생각. 하드웰이 인지도가 높아지게 된 데에는 이 곡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죠. 바로 티에스토(Tiësto)와 하드웰이 함께한 노래 Zero 76이에요. 2011년 가장 히트친 클럽 트랙 중 하나였기에 하드웰은 이 노래와 함께 본인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죠. 하드웰에게는 본인의 이름이 들어간 트랙 중 비트포트와 미국의 아이튠즈 댄스 차트에서 처음으로 1위를 한 트랙으로 기록된 노래에요. "Encoded"와 "Cobra"같은 곡들을 연달아 성공시키면서 말그대로 대세 디제이로 자리잡게 되었어요. 그리하여 하드웰은 2011년 처음으로 DJ Mag의 Top 100 DJs에 얼굴을 들이미게 되었어요. 첫 순위가 24위라니 괜춘하지 않나요? 물론 전 저당시 2009년엔 3위하고 2010년엔 2위했던 데이비드 게타가 2011년에 1위로 올라서는 모습을 보면서 또 '꿈★은 이루어진다' 생각하면서 하드웰의 순위에는 1도 관심 없었지만요..ㅎ 하드웰은 2012년 Spaceman이라는 본인의 명곡 of 명곡을 발매하며 굳히기에 들어가게 되요. 2012년에는 DJ Mag의 Top 100 DJs 순위가 전년에 대비하여 18계단이나 상승한 6위에 랭크되어요. 2011년도 New Entry 중에 가장 주목을 받았던 Skrillex와 비교하여서도 괄목할만한 성장이었죠. 2012년에는 지난 울트라를 통해 내한하기도 했었던 Armin Van Buuren가 1위를 차지합니다. 아-민ㅎ 2013년 하드웰이 울트라 마이애미에서 공연한 공연 실황을 담은 영상은 유투브에서 가장 많이 감상된 라이브 디제이 셋 비디오로 기록되어요. 참고로 그 전까지 가장 많이 감상된 라이브 디제이 셋 비디오는 하드웰의 2012년 투마로우랜드 공연 비디오였어요. 이번 울트라 뮤직 코리아 공연 때 곰티비가 실황중계 해주는 것 처럼 울트라는 주로 라이브 중계를 해주는데요. 이 당시 하드웰의 공연은 동시에 8만명이 라이브 스트림에 접속하여 감상하면서 울트라 라이브 중계 중 가장 많이 본 것으로 기록에 남았어요. 저도 주말 아침에 일어나서 집에서 혼자 아침먹으면서 울트라 라이브 스트리밍 보던 기억이 나네요 ㅎ 2013년 하드웰은 결국 DJ Mag의 Top 100 DJs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어요. 하드웰의 나이 25세때의 일입니다. Top 먹은 최연소 디제이로 기록되게 된거죠. 이당시 하드웰이 1위를 차지하면서 충격에 빠진 사람들이 많았어요. 일단 데이비드 게타로 대변되는 팝느낌 강한 일렉음악과 티에스토, 아민 반 뷰렌으로 대변되는 트랜스 음악이 여태까지 일렉계의 대세였는데요. 하드웰이 1위로 올라서면서 빅 룸 하우스(big room house)의 시대를 알리게 된거죠. 그리고 또 하나, 여태까지 하드웰은 본인 이름의 싱글만 몇개 있었을 뿐 정규앨범 하나 나오지 않았어요. 그래서 앨범 한 장 없는 디제이가 무슨 1위 디제이냐는 논란도 따라붙게 되었죠. 그래서일까요? 하드웰은 바로 본인의 데뷔앨범 작업에 착수해요. 그 결과물이 바로 여러분들이 익히 아시느 "United We Are"에요. 하드웰이 본인의 스타일을 보여주기 위해서 엄청 공들여서 만들었다고 해요. 발매일이 연기되기도 하였죠. 그리고 하드웰은 2014년 DJ Mag의 Top 100 DJs 순위에서 1위 타이틀을 지켜내게 되었어요. 작년과 변동하여 순위가 변함이 없던 유일한 디제이인데 그 순위가 1위네요. 대단하지 않나요? 위에서 하드웰의 라이브 셋 비디오들이 조회수가 어마무시하게 높은 것을 알려드렸는데요. 프로듀싱도 프로듀싱이지만 하드웰의 진가는 무대에서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타이트하게 짜여진 라이브셋은 명불허전 하드웰을 외치게 만들죠! 지난번 로드투울트라에서도 느꼈었지만 하드웰의 무대에는 힘이 있어요. 음악을 만들 때는 사람들이 춤추고 싶어하는 음악을 만들어야하고 무대에서는 언제나 에너지를 100% 쏟아부어야 한다는 하드웰의 철학이 있기 때문이죠. 관객 입장에선 놀다 죽는다는건 이런걸까? 하는걸 경험할 수 있어요ㅎ_ㅎ 이번 울트라 코리아 2015에서 하드웰은 밤 10시 메인 스테이지에 섭니다. 우리 같이 놀다 죽어볼까요??!!
2014년도 [DJ MAG] Top 100 DJs 순위 발표! Hardwell 2년 연속 1위 등극!
2014년도 [DJ MAG] Top 100 DJs 순위 발표! Hardwell 2년 연속 1위 등극! Hardwell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DJ Mag>이 주최하는 'Top 100 DJs' 투표에서 1위의 자리에 올랐다. <Revealed Recordings>의 보스 Hardwell은 Martin Garrix, Dimitri Vegas & Like Mike, Armin Van Buuren, Tiesto 등 쟁쟁한 스타들을 제치고 1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인기를 과시했다. 며칠 전에 올해의 <DJ Mag> Top 100 DJs의 유출된 리스트가 대부분 사실이었음이 이번 발표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리스트를 살펴 보면, Deorro가 올해 처음으로 Top 100 DJs의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고, 19위로 리스트에 진입하면서 새로 진입한 아티스트 중 가장 높은 순위로 진입한 아티스트로 기록되었다. Ummet Ozcan은 68계단이나 상승하여 31위의 자리에 올라 가장 높은 폭의 상승세를 보여준 아티스트로 기록되었다. Top 100 DJs의 전체 리스트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Hardwell은 1위 발표 후 <DJ Mag>과의 인터뷰에서 소감을 밝혔다. "와우, 꿈만 같은 일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나는 세계 넘버 원 DJ라는 타이틀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정말로 자랑스럽다. 2015년에는 나의 첫 아티스트 앨범이 나올 예정이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 투어와 몇몇 흥미로운 프로젝트가 공개될 것이다. 내 여정의 새로운 챕터가 시작된 것이며, 아직 이 여정의 절정은 다가오지 않았다!" 한편, 이번 투표 결과는 매년 더욱 논란을 더해왔던 것처럼, 올해에도 역시 더욱 큰 논란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이 순위를 보고 마음이 불편하고 이해되지 않는 사람들이 많겠지만, 이렇게 생각하면 마음이 편하다. "2014년 인기 투표가 끝났구나!" <2014 DJ Mag Top 100 DJs> 100. Felguk (-22) 99. Arty (-42) 98. John O’Callaghan (-16) 97. The Chainsmokers (New Entry) 96. The Bingo Players (-44) 95. Wildstylez (-39) 94. Merk & Kremont (New Entry) 93. Heatbeat (-8) 92. Code Black (New Entry) 91. Ferry Corsten (-49) 90. Richie Hawtin (-14) 89. Boy George (Re-Entry) 88. Audien (New Entry) 87. Borgeous (New Entry) 86. Quintino (New Entry) 85. Mike Candys (-18) 84. Wolfpack (New Entry) 83. Madeon (-24) 82. Don Diablo (New Entry) 81. 3LAU (New Entry) 80. TJR (New Entry) 79. Orjan Nilsen (-30) 78. DJ Bl3nd (+13) 77. Zomboy (New Entry) 76. Tiddey (+8) 75. UMEK (+22) 74. Gareth Emery (-23) 73. Tenishia (-8) 72. Quentin Mosimann (-3) 71. Zatox (-21) 70. Diego Miranda (+24) 69. Cosmic Gate (+11) 68. Carnage (New Entry) 67. Noisecontrollers (-1) 66. Da Tweekaz (+20) 65. DJ Snake (New Entry) 64. Radical Redemption (New Entry) 63. MAKJ (New Entry) 62. VINAI (New Entry) 61. Gabry Ponte (New Entry) 60. Eric Prydz (-6) 59. Carl Cox (-13) 58. ATB (-25) 57. Porter Robinson (-16) 56. Firebeatz (New Entry) 55. Yves V (New Entry) 54. Dillon Francis (+19) 53. Knife Party (-28) 52. Dada Life (-17) 51. Sander Van Doorn (-12) 50. Laidback Luke (-19) 49. Infected Mushroom (+4) 48. DJ Coone (-3) 47. Brennan Heart (+14) 46. Kaskade (-10) 45. Frontliner (-8) 44. Markus Schulz (-23) 43. Daft Punk (-21) 42. DJ Kura (New Entry) 41. Borgore (New Entry) 40. Headhunterz (-17) 39. Sebastian Ingrosso (-21) 38. Paul Van Dyk (-6) 37. Angerfist (-3) 36. Vicetone (+24) 35. Fedde Le Grand (-6) 34. Oliver Heldens (New Entry) 33. Krewella (+11) 32. Diplo (+32) 31. Ummet Ozcan (+68) 30. Dannic (+44) 29. Axwell (-10) 28. Aly & Fila (-8) 27. Dyro (+3) 26. Steve Angello (+12) 25. Above & Beyond (-8) 24. Andrew Rayel (+4) 23. R3HAB (+35) 22. Zedd (+2) 21. Nervo (-5) 20. DVBBS (New Entry) 19. Deorro (New Entry) 18. W&W (-4) 17. Showtek (+10) 16. Deadmau5 (-4) 15. Alesso (-2) 14. Dash Berlin (-4) 13. Blasterjaxx (+58) 12. Afrojack (-3) 11. Calvin Harris (+4) 10. Steve Aoki (-2) 9. Skrillex (+2) 8. Nicky Romero (-1) 7. David Guetta (-2) 6. Avicii (-3) 5. Tiesto (-1) 4. Martin Garrix (+36) 3. Armin Van Buuren (-1) 2. Dimitri Vegas & Like Mike (+4) 1. Hardwell (-) ------------------------------------- 하드웰이 다시한번 1위를 차지 하였습니다ㅋ 저는 이번에 순위권에 julian jordan 이 없다는게 조금 아쉽고 blasterjaxx 순위가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ㅋㅋㅋㅋㅋ 항상 말많은 DJ MAG 순위 입니다:) below 기사원본링크 :http://below.co.kr/news_international/124181
[크리스마스 이벤트] 올해도 역시 페퍼톤스로군
덕후들에게 선물을 주는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하고 있다기에 나덕후도 살짝 나서 봅니다. 아니 빙글 양반, 덕질 인증만 하면 갖고 싶은 선물을 준다는게 참트루...? 정신을 차리고 보니 벌써 2018년 12월 18일. 깜찍이소다마냥 언제 지나간 줄도 모르게 올해가 홀라당 사라져 버렸네요. '나는 올해 대체 뭘 한걸까...' 자괴감에 헛헛한 마음으로 아이팟 터치 사진첩을 넘기다 보니 나도 몰래 만면에 웃음이 번집니다. 2018년에 내가 뭘 하긴 했네요. 덕질 말이에요 헤헤. '올해 한 일들 중 가장 잘 한 일도 역시 페퍼톤스를 보는 일이었다.'라고 생각하니 과연, 고개가 절로 끄덕여 집니다. 올해 만났던 페퍼톤스를 이 곳에 복기해 보고자 하는데... 저의 덕질 일기, 같이 보실래요? 1. 4월 7일 로하스 벚꽃 뮤직 페스티벌 사진만 봐도 춥다 떡밥보릿고개였던 연초를 넘기며 나는 얼마나 괴로워했던가. 그리하여 눈꽃 축제라 해도 믿을 만 했던 영하의 온도(실제로 눈이 내림), 코트 깃속을 파고들던 강추위에 열렸던 벚꽃 축제에도 금강으로의 초행길을 나섰더랬지요. 그것이 바로 2018 덕질의 첫 걸음. 작년에 얼려 놓은 벚꽃을 꺼내 전시한 양 '금강 로하스 벚꽃 축제'는 말 그대로 Freezing... 영하의 강추위에도 포기할 수 없는 아아메 영하의 강추위에도 봄처럼 청초하다...☆ 코트를 입고도 입술이 파래져서 덜덜 떠는 내가 안돼 보였는지 내 앞에 계셨던 (패딩 입은) 팬분이 손난로를 건네 주셔서 마음도 손도 따뜻해 졌던 그 날의 기억. 역시 페퍼톤스로군... 2. 5월 9일 4년만의 새 앨범 LONG WAY 발매! 6집 LONG WAY! 당시 저의 감상평은 이러했습니다. 이렇게 가득 찬 사운드라니, 우리네 별에서 왁자지껄한 잔치라도 벌인듯 정감있는 풍요로움이네요. 이야말로 진수성찬이로다! 울컥했다가 빙그레 미소짓다가 풉 하고 뿜었다가를 몇번 하니 금세 끝나버린 앨범을 다시 처음부터. 이렇게 같이 걸을 수 있어서 정말 고맙습니다. 몸은 사무실이지만 마음만은 온통 반짝반짝. 역시 페퍼톤스로군ㅜㅜㅠㅠ 떡밥 춘궁기는 바로 이것 때문이었던 것! 4년 만의 새 앨범이 나오고, 떡밥이 넘쳐나기 시작합니다. 네이버 프사도 바뀌고요❤️ 그 시작은 바로 5월 2일, 천문대에서 열린 음감회... 물론 저는 페퍼톤스와 궁합이 매우 맞지 않는 관계로 당연히 광탈을 하였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합니다. 추첨해서 가는 건 맨날 안되더라고요... 이런 옷을 입고 천문대에서 음감회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난 못 갔으니 할많하않...ㅜㅜㅜㅜ 참. 물론 5월 8일 유희열의 스케치북, 5월 25일 뮤직뱅크까지 모두 나왔지만 전 다 못 갔기 때문에 여긴 안 적을 거예요. 흥. 그러고 보니 모두 KBS네. 소오름. 3. 5월 12일 뷰티풀민트라이프 뷰민라에 페퍼톤스가 빠질 수 없죠. 마스코트격 아니겠습니까. 앨범을 발매하고 (누구나 갈 수 있는) 공식적인 첫 공연이 바로 뷰민라였죠. 행-복- 뷰민라에서 찍은 사진들 중 가장 맘에 드는 사진 3장.jpg 너무 오랜만에(?) 만나서 행복에 겨웠던 이 날 나의 코멘트 : 이번 뷰민라에서 찍은 사진들 중 제일 맘에 드는 사진들 *_* 이야말로 ‘신재평+이장원=페퍼톤스’가 아니던가. 보고 또 봐도 자꾸 좋아서 계속 보고 또 되뇌게 되는 순간. 사람 많은 곳은 한참 돌아 가더라도 꼭 피해 가야만 하고, 암만 맛있는 밥집이라도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면 깨끗하게 단념하고 바로 다른 곳으로 가는데다가 회사도 맨날 지각에, 버스나 기차는 놓치기 일쑤고 친구들과의 약속도 제시간 맞추는게 그렇게 힘들어서 매번 허덕이는데, 이 어려운 것들을 페퍼톤스를 보기 위해 종종 해내는 것을 보면서 생각한다. 아. 이게 사랑인가 봉가. 천부적으로 느긋하게(사실은 게으르게) 태어난 나를 조금 부지런하게 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페퍼톤스여서 정말 다행이다. 결국 역시 페퍼톤스로군. 4. 5월 16일 I'M LIVE 앨범이 나오니 마구 넘쳐나는 떡밥. 아리랑TV에서 하는 아임라이브를 다녀 왔습니다. 앞에서 보겠다고 비 내리는 이른 아침부터 줄을 서서 티켓을 받는 나를 보며 다시 한 번 놀랍니다. 줄 서는 거 겁나 싫어하는 내가...! 이 날 나의 코멘트 : 어제부터 종일 나를 괴롭히던 배탈이 두시간 잠잠하였다. 역시 만병통치약 페퍼톤스로군... 5. 6월 9일, 6월 10일 앨범 발매 콘서트 드디어 앨범 발매 콘서트! 예매에 실패해서 매일 새벽을 취켓팅에 시달리게 했던 앨범 발매 공연. 진짜 다음 생에는 펩톤이랑 궁합 보고 이름을 짓든가 해야지... 아무튼 좋으신 분들께 양도 받아 좋은 자리에서 잘 보고 왔습니다. 고맙고 뿌듯하고 행복했던 앨범 발매 공연 *_* 공연은 당연히 올공이 진리 아니겠어요? 이틀 다 갔습니다. 행-복- 6. 6월 14일 EBS SPACE 공감 새 앨범이 나오면 당연히 공감에 나와야 하지 않겠습니까. 페퍼톤스 공감은 매번 당첨이 되질 않더니 이번엔 처음으로 당첨이 되었어요. 엉엉. 행복했다 정말... 그래서 (다시는 가지 않으리라 다짐했던) 일산 EBS를 다녀 옵니다. 내가 당첨이라니! 그리고 나덕후는 이장원이 숨을 쉴 때 마다 카메라에 잡히게 됩니다... 카메라 아저씨도 알아보는 덕후가 바로 나였다.mp4 7. 7월 8일 클럽투어 대전 발매공연 마지막에 대대적으로 홍보를 했던 2018 클럽 투어 *_* 저는 광주를 제외한 세군데 도시를 다녀왔습니다. 뉴히피의 본고장 대전을 빼 놓을 수 없죠. 평과 쟝이 만난 곳, 페퍼톤스가 탄생할 수 있었던 곳! 그래서 대전 공연 만큼은 빼놓지 않고 꼭 가려고 해요. 비단 대전 공연 뿐만은 아니지만 헤헤... 이 날의 대전도 행복했다 정말 진짜로 *_* 8. 7월 11일 춘천 올댓뮤직 대전 클럽투어를 다녀오고 며칠 되지 않아 바로 춘천 KBS에서 있었던 올댓뮤직 공개방송. 나덕후는 평일에 또 춘천으로 떠났습니다. 일찍 가서 기다리다 우로빠들 만나서 덜덜 떨리는 상태로 사진도 찍고요. 우로빠 어깨 보세요 지짜 어깨 미남이다... 할많하않... 닭갈비도 때리고 펩톤도 보고 이야 말로 꿩먹고 알먹고 *_* 춘천은 아름다웠다... 일찍 간 만큼 좋은 자리에서 행복하게 잘 본 공연이었사옵니다 *_* 이 날도 오빠들이 숨만 쉬어도 꺄르르 웃는 내가 자꾸 카메라에 잡혔지만 부끄러우니 첨부는 아니합니다. 아. 일주일에 막 세번씩 오빠들 보니까 왜 이르케 좋냐! 9. 7월 14일 부산 클럽투어 오빠들 덕분에 오랜만에 부산도 가고 좋네예. 친구들도 만나고 오빠들도 보고 일석이조! 감기몸살로 끙끙대면서도 약 기운을 빌어 공연장에 들어섰습니다 껄껄. 그래서 이렇게 귀여운 춤사위(!)도 눈앞에서 보고요. 심취한 모습이 아름다운 남쟈 이런 모습도 넘나 사랑스럽고 *_* 이 날은 특히나 마이크 스탠드의 활약으로 이렇게나 신이 났더랬죠. 아프다고 안 갔으면 어쩔 뻔 했냐 정말. 이 날 나의 코멘트 : 온몸이 땀에 절어 집에 오니 새벽 한시, 종일 괜찮다 괜찮다 외던 주문의 약발이 이제 다 했는지 계속 재채기와 콧물이 번갈아 나와서 휴지로 콧구멍을 틀어막고 이 글을 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웠던 2018년 7월 14일, 특히 아드레날린이 매우 과도하게 분출됐던 이 영상 속 이 순간 만큼은 오래 오래 기억되길! 10. 7월 15일 대구 클럽투어 역에서 나오자 마자 훅 덮치는 더위에 혼미했던 대구, 더위를 견디지 못 해 공연장에서 쓰러져 나간 분도 계셨더랬죠. 이 날 대구에서의 내 코멘트 : 대구에서는 이번 클투 입장순서 중 가장 앞번호를 들고도 맨 뒤에서 보게 됐다. 여러 모로 겸사겸사. 그랬더니 앞에서는 몰랐던 광경이 (까치발을 하면) 한눈에 들어와서(까치발 안하면 안보임. 대구에 남자팬들 지짜 많네요. 펩톤 지짜 롹스타다... 머시쪄) 내내 벅찼네. 세상에나 맙소사 이거 정말 롹스타 아니냐... 그나저나 맨 뒤 에어컨 근처 + 대형 선풍기 사정권 + 핸디 선풍기까지 풀가동 했음에도 금세 온몸이 땀으로 젖었는데 앞에 계셨던 분들 정말 버티느라 수고 많으셨을 것 같더라. 대구 더위는 정말이지... (절레절레) 11. 8월 10일 부산 국제 락 페스티벌 일주일에도 두어번씩 펩톤을 만나다가 3주 가량을 쉰 후 다시 만나러 부산에 갔더랬죠. 부산 락 페스티벌! 부산에 살 적에 부락(부산 락페스티벌)은 항상 너무 멀었거든요. 아니 다대포까지 우째 가노, 집에는 우째 오고! 그래놓고 인생 첫 부락은 서울에서 보러 갔네요 그려. 근데 또 우째 이래 가깝게 느껴졌는지, 이르케 펩톤에 단련이 되었나 보더라고요. 꾸러기 착장으로 락페에 섰습니다 락페니까 열창을 하고요. 12. 9월 2일 광주 사운드파크 페스티벌 자주 보던 습관이 금세 들어 버려서 참지를 못 하겠더라고요. 광주에서 또 공연이 있다기에 무작정 광주로 내달렸더랬죠. 숲 속에 파묻힌 공연장이 너무 귀엽더라. 페퍼톤스만 있다면 그 곳이 어디든 천국일지리니. 이 날의 코멘트 : 기차가 조금 늦어져서 수서역 도착하고 나니 지하철 막차 시간이 임박했다. 막차를 겨우 잡아타고 제일 가까운 역에 내렸지만 환승 버스는 이미 끝난지 오래. 별 수 없이 아직은 낯선 길 20분여를 걸어오면서 내내 이 노래를 흥얼거렸다. “낯선 거리를 조금 헤매인대도 괜찮아, 난 찾아 갈테니까. 지난 추억에 무거워진 발걸음도 괜찮아, 으으음-“ 덕분에 집에 오는 길이 외롭지도 무섭지도 않았어. 어쩜 오늘 같은 날 노크를 부르냐 사랑스럽게...💕 ‘너에게 달려가’ 할 때 같이 불러 달라고 눈 똥그랗게 뜨는 것도 너무 사랑스럽고, 또, 아, 머리 위에 한껏 쏟아지는 햇살- 부분에서 진짜 조명이 햇살처럼 쏟아져서 또 울컥했다. 13. 9월 8일 더 그레이트볼스 1집 발매공연 게스트 로큰롤 전도사 외로운 로큰롤러 성수오빠의 새 밴드 더그레이트볼스의 1집 발매 공연에 페퍼톤스가 게스트로 나섰던 그 여름. 오랜만에 편하게 즐길 수 있었던 공연이었어요. 좋아하는 사람들로 가득 했던 하루, 정말 행복했다... 성수오빠 성대모사중인 미장원오빠 성수오빠 추억팔이 중인 신제품오빠 오래 한가족이었던 만큼 서로 반가운게 보여서 행-복- 준비중인 모습 조차 청초하네요 우로빠 *_* 14. 9월 14일 조승연의 굿모닝팝스 30주년 특집 공개방송 덕분에 정말 고등학교 때부터 들었던 굿모닝팝스 공개방송도 찾게 되었네요. 반차를 쓰고 평일 낮부터 KBS로 향합니다. 마침 뮤직뱅크 녹화날이라 아이돌 팬들로 장사진이었던 KBS홀을 비집고 들어갔더랬죠. 오랜만에 너무 좋아하는 (영어 가사로 된) 노래를 듣고 *_* 영어 가사를 쓰면 굿모닝팝스 공개 방송에 나올 수 있으니까요 후후. 15. 9월 16일 렛츠락 페스티벌 햇살밴드 어딜 간거죠? 올초 벚꽃페스티벌때부터 불안불안 하더라니 요즘은 내내 비를 몰고 댕기는 우리 (전)햇살밴드 페퍼톤스... 하지만 전 비가 와도 맥주를 마십니다 후후. 악기가 비에 젖으면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비니루 천막 아래서 공연을 하기로 합니다. 그런 모습조차 귀여워서 치솟는 내 광대.jpg 그리고 한달 가량 공연이 없었나 봐요. 이 날 저의 코멘트는 이러했더랬죠. : 어제 공연장을 나서다 문득 우울해 지는거라. 거의 매주 만나던 두어달을 보내고 나니 아, 앞으로 남은 날들은 어찌 버티나 덜컥 겁이 나는거지. 펩톤 없는 한달 우째 버틸꼬. 덕분에 근근이 살아가는 나날이었는데ㅜ.ㅜ 16. 10월 20일 그랜드민트페스티벌 페퍼톤스를 빼고 어떻게 gmf가 있겠어요. 1회차부터 개근에 빛나는 밴드! 페퍼톤스가 나오는 순간 순간이 정말 축제였어요. 진짜로... gmf에서 가장 반짝였던 순간.mp4 거대공이 떠다니고 폭죽이 터지던 순간! 햇살엔 세금이 안 붙어 참 다행이야, 오늘 같은 날 내 맘대로! 그리고 이 날 정말 예쁘게 입었단 말이에요. 무려 퇴근길이 더 예뻤다규. 세상에. 오빠 무슨 일이에요...? 17. 12월 7~9일 LONG WAY : TO HOME 연말 공연 그리고 올해의 마지막, 연말 공연 'LONG WAY'라는 이름으로는 마지막 공연이었던 LONG WAY : TO HOME.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했으면 해서 인스타에 남겼던 나의 코멘트는 이러 했습니다. 흑. 올해 행복한 순간이 있긴 했던가 싶은 생각에 한숨 부터 난다면 이번 주말, 이 공연을 주목하세요. 무대 위에서 뿜어 내는 긍정적인 에너지가 바이러스처럼 퍼져서 함께 시간을 나누는 모두가 반짝이는 것만 같은 경험을 하게 될 테니까요. 페퍼톤스 공연을 보다 보면 정말이지 잔뜩 행복해 져서 벅찬 마음 가득 담아 주위를 한 바퀴씩 둘러보곤 하는데 그럴 때 마다 모두 나와 같은 표정이라 더욱 행복해 지더라고요 *_* 그러니까, 함께, 할래요...? 인터파크에서 페퍼톤스를 검색해 보세요. 한겨울에도, 살을 에는 강추위에도 따뜻한 햇살을 만나게 될 거예요. 올해도 여전히 따뜻했던 그대들 덕분에 잘 버텼습니다. 각 공연날의 마지막 인사를 첨부하며 마무리 할게요. 첫공 12월 7일 낀공 12월 8일 막공 12월 9일 그래서 이 때 나의 코멘트는요 : 사흘 간의 집안 모임(A.K.A. LONG WAY : TO HOME)이 끝나고 현자타임이 찾아 왔습니다. 올해는 아직 스무날도 더 남았고, 버틸 힘은 벌써 오늘로 끝이 나 버렸으니 눈치도 빠른 감기가 틈새를 비집고 멋지게 들어 앉았네. 공연을 보는 중에 자꾸 심장이 뜨겁고 눈앞이 아득해 지길래 너무 좋은 나머지 울컥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감기 때문에 목이 뜨거워서 그랬던 듯... 물론 그런 착각을 하게 될 만큼 몇번이고 눈앞이 아득할 정도로 좋았다. 매년 조금 이른 한 해의 마무리를 함께 할 수 있어 행복하다는 이야기. 내년에도 계속 함께라는 이유로 행복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버틸 힘이 되는 이들이 페퍼톤스여서 어찌나 다행인지 몰라. 이제 2018년의 나는 장렬히 전사... 💚 적고 보니 16 종류의 페퍼톤스 공연을 다녀 왔고, 실제로 간 횟수로는 19번을 다녀 온거네요. 1년간 정말 열심히 다녔다. 페퍼톤스 덕분에 여행도 가고, 오랜만에 찾은 동네에서 친구들과 인사도 하고... 돌아 보니 참 많은 일들이 있었네요. 물론 '아니 19번 밖에 못 본거였어?!' 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면 거짓말이지만 ㅜ.ㅜ 올해 정말 많이 돌아다녔네. 이게 모두 페퍼톤스 덕분. 그러니까 할 말은 "역시 페퍼톤스로군" 참. 그래서 제가 받고 싶은 크리스마스 선물은요, 윗 사진들이 (공연 포스터와 우주복 사진 빼고는) 다 제가 찍은 사진들이란 말이에요. 근데 덕후 사진 치고 노이즈가 너무 많은 것이 느껴지지 않으시나요. 렌즈가 구려요. 물론 카메라도 구리고. 카메라를 갖고 싶다고 말하고 싶지만 그건 너무 비싸서 안된다고 하실 수 있으니 망원 렌즈라도... 물론 그것도 비싸서 안된다고 하실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갖고 싶다고 말이라도 해 봅니다. 이런 사진은 이제 그 만 빙글 산타 할아버지...? 저는 좋은 사진 찍는 덕후가 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