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oonbai
5,000+ Views

인니 공략 관건은 K-푸드 할랄인증

다시 중동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죠.
할랄인증... 중동사람들은 먹기전에 챙겨야 할 것이 많군요.
(아랍, 중동, 이슬람... 다른 말이지만 느낌은 같아 보입니다.)
Comment
Suggested
Recent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간단하게 해먹는 남자. 『콘치즈』
눈부신 날씨의 목요일이네요. 다들 맛난거 해드시고 계셨나요? ㅋㅋㅋ 오늘 버티고 내일만 참으면 달콤한 주말이 우리 앞에 도착하는 이 시점에, 달달한 간식거리 가지고 왔어요~ 고소하고~ 달달한! 『콘치즈』 재료 : 스위트콘, 치즈, 마요네즈, 당근, 우유, 버터, 설탕, (착한사람 눈에만 보이는)양파 1. 통조림에서 꺼낸 옥수수들은 채에 걸러 물기를 완전히 빼주세요. 2. 당근, 양파를 아주 잘게 다져 주세요. 3. 다진 야채에 마요네즈를 듬뿍 넣고 섞어 주세요. 4. 버터를 녹인 달궈진 팬에 물기가 빠진 옥수수를 넣고 볶다가 우유를 넣고 졸여 주세요. 5. 팬 바닥에 우유가 옥수수에 거의 다 스며들면 야채+설탕 두스푼 넣고 잘 섞어 주세요. 6. 콘+야채에 치즈를 확! 부어 주시고 뚜껑을 덮어 제일 약한 불에 3-4분 기다리면 완성~! 당근을 채 썰고 보니 양파가 싱크대에 덩그러니... ㅋㅋ 기호에 맞춰서 베이컨이나 견과류를 더해주시면 맛이 두배!(칼로리도 두배!) 간단한 간식이지만 해먹는 뿌듯함은 여느 요리 못지않아요. 뭐라도 해먹을 수 있을 것같은 자신감이 배양된달까? 식사도! 간식도! 맛있게 해서 먹는 빙글러 님들 되시길 바라면서 컬렉션에 취지에 맞게 먹고 싶은 메뉴를 간단하게 해드실 수 있는 레시피로 찾아올게요. 주말에 먹고 싶은 메뉴 추천 해주세요! 댓글 달아 주실꺼죠? ㅇㅅㅇ?!
이마트 ‘노브랜드 감자칩’ 먹지 말라고? ⇨ 할랄 식품에 대한 오해와 진실
fact ▲“이마트의 PB상품인 ‘노브랜드(No Brand) 감자칩’을 먹지 말라”는 글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고 있다. ▲해당 글에는 “노브랜드 감자칩이 이슬람이 만든 할랄 식품이고, 로열티의 대부분이 이슬람 포교를 위해 쓰인다”고 돼 있다. ▲이는 어디까지 사실일까. view 이마트의 PB상품인 ‘노브랜드(No Brand)’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뛰어나다는 이유로 입소문을 탔다. 이 중 ‘노브랜드 감자칩’은 지난해 6월 29일 출시된 이후 43일 만에 무려 25만개의 판매고를 올렸다. 올 1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240만개에 달한다. 그런데 갑자기 이 제품을 먹지 말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인터넷에선 1월 말부터 “이마트 노브랜드 감자칩 먹지 마세요”란 글이 퍼지고 있다. 출처가 불분명한 이 글엔 “이슬람이 제조처인 할랄 식품, 노브랜드라는 제조명으로 우리들 곁에 이미 가까이 와 있습니다”라며 “로열티는 대부분 이슬람 포교를 위해 쓰여진다”고 나와 있다. 이 글은 어디까지 사실일까. 소문①/ “노브랜드 감자칩은 할랄 식품이다”→ 사실이다 노브랜드 감자칩이 할랄 인증을 받은 할랄 식품인 건 맞다. 이 제품의 제조사는 말레이시아의 ‘마미(MAMEE)’란 식품업체다. 마미사는 자국에서 노브랜드 감자칩에 대해 할랄 인증을 받았고, 이마트는 이를 그대로 가져와 판매하고 있다. 소문②/ “이슬람만 할랄 식품 제조한다”→ 한국도 할랄 식품 만든다 그런데 할랄 식품의 제조처가 꼭 이슬람 국가인 것은 아니다. 국내 유일의 할랄 인증 단체인 한국이슬람교중앙회에 따르면, 할랄 식품의 기준만 통과하면 국내 어느 식품회사든 할랄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크라운제과의 ‘콘칩’이나 롯데의 ‘빼빼로’도 할랄 인증을 받았다. 소문③/ “로열티가 이슬람 포교 위해 쓰인다”→ 아니다 그리고 “할랄 식품의 로열티가 이슬람 포교를 위해 쓰여진다”는 말은 거짓이다. 일단 ‘로열티’란 단어 자체가 잘못됐다. 로열티는 상표권의 사용료를 뜻한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면 커피값의 약 5%가 스타벅스 브랜드를 소유한 미국 본사에 로열티로 지급된다. 그런데 할랄 식품은 상표권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한국할랄주식회사의 김성수 전문위원은 4일 팩트올에 “할랄 인증은 제도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지 권리의 일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판매 수입도 이슬람 관련 활동에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 소문④/ “할랄 식품 먹지 말라는데…”→ 근거 없다 그리고 할랄 인증은 이슬람 신도가 먹을 수 있는 식품에 부여되는 인증 마크다. 돼지고기나 알콜 섭취를 금지하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관련 성분이 들어간 식품은 할랄 인증을 받을 수 없다. 할랄 식품은 이슬람 신도가 아닌 사람이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 이마트 ‘노브랜드 감자칩’ 먹지 말라고? ⇨ 할랄 식품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팩트올
평남식당 & 싱싱대구
초4 안경도 바꾸고 드라이브도 할겸 포항에 다녀왔습니다. 그냥 돌아가기 섭섭해서 평남식당에서 수육이랑 국밥 포장해 갑니다. 주말에는 홀손님 응대하기도 바빠서 수육 포장은 엄두도 못낼텐데 다행히 포장이 가능하다네요. 부산까지 간다고 하니 고기, 부추, 국물을 따로 포장해서 집에 가서 먹는법을 알려주시더라구요. 햐, 근데 휴일에 이렇게 한가한건 첨봤어요. 장기식당도 마찬가지 ㅎ 싱싱대구는 오픈시간이 5신데 미리 전화해서 포장할건데 최대한 좀 빨리 해달라고 했답니다 ㅋ. 첫손님이라 양 많이 주신다고^^ 부산까지 가면 눅눅해질것 같아서 포장을 잠깐 열어놨습니다. 와입이 도저히 못참겠다며 한조각 먹네요. 역시 따뜻할때 먹으니 맛있어요 ㅎ. 차에는 아직까지 대구 냄새가 ㅋ 동서들이랑 장모님 오시라고해서 같이 먹었는데 동서랑 처제가 첨엔 치킨인줄 알더라구요 ㅋ 작년 자연휴양림 갈때 첨 포장해봤던 기억이 ㅎ 평소 생각하던 수육처럼 얇은 스타일이 아니고 고기를 숭덩숭덩 깍둑썰기 해놨더라구요. 고기랑 부추를 따로 주시는데 일단 육수를 끓여서 부추를 넣고 고기도 살짝 넣었다 빼줍니다. 그럴듯한데요 ㅎ 야채도 많이 넣어주시더라구요. 알고보니 큰동서도 포항갔다 왔다고… what? 기계면에 있는 늘솔길 캠핑장으로 강아지 데리고 캠핑 다녀왔더라구요 ㅎ
가고일
추석 특집(…) 노트르담 성당의 가고일을 볼 때도 그렇고, 경복궁의 가고일(잡상(雜像)이라고 부른다)을 봐도 그런데, 저거 동서양을 아우르는 문화 아닌가이다. 역할도 똑같다. 물론 서양의 가고일이 물을 지붕에서 벽으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냥 장식적인, 악의 기운을 물리치거나 가둬 두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구조적으로 물을 별도로 떨어뜨릴 이유가 없는 구조인 우리 궁궐도 마찬가지. 물론 가고일 자체의 기원은 서양(혹은 고대 이집트)이기 때문에 저게 흐르고 흘러 동양으로 왔다고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 이후에 잡상을 건축물 위에 올리기 시작했으며(중국 송나라에서 건너왔다고 한다) 일본에는 잡상의 전통이 없다고 하니 말이다. 그래서…는 아니고, “보호”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고일은 대체로 무섭고 귀여운(!) 형태를 많이 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는 악마의 형상을 했지만 이게 또 조각가 마음이기 때문에 자기가 싫어하는 사람을 조각한다든가 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동양권의 잡상은 형태가 정해져 있다고 한다. 가령 삼장법사와 똘마니들) 위에 조각가 마음이라고 했다. 현대에 만든 가고일이 그래서 굉장히 다양한 형태를 띄고 있다. 가령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성공회 성당(Washington National Cathedral) 가고일 중에는 다스베이더가 있다! 유명한 건 스페인의 살라망카 성당에 있는 우주복을 입은 우주인 가고일도 있겠다. 잘 안 알려졌을 때에는 고대문명 어쩌구 하는 음모설이 나왔었지만, 실제로는 1992년 리노베이션할 때 조각가가 설치해 놓았다고 한다. 기행의 나라, 스코틀랜드의 Paisley 성당에는 제노모프(흔히들 에일리언이라 부르는 그것) 가고일도 만들어져 있다. 이 제노모프는 가고일로 인기가 좀 있어서, 프랑스의 베들레헴 성당(Saint-Jean-de-Boiseau 소재)에도 제노모프가 있는데 여기에는 그렘린 가고일과 그랜다이저(!?) 가고일도 만들어져 있다. 실존인물을, 그것도 평범한 인물을 그대로 만든 가고일도 있다. 프랑스 리용의 Saint Jean 성당도 리노베이션을 했는데, 조각가가 자기 친구이자 리노베이션 전문가이고 특히 성당 리보네이션 전문가인 아흐메드 벤지진을 가고일 ‘아흐메드’로 만들어서 성당에다 올려 놓았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그는 무슬림이다. 당연히 성토가 이어졌다. 벤지진 스스로는 “신은 위대하다(가고일에 새겨져 있다)에 나오는 신은 유대교와 크리스트교 이슬람교가 모두 같다, 문제 없다”고 대인배스럽게 말했다. 그리고 본당신부가 출동하여, “나는 이 가고일이 아흐메드를 조각한 거라 들어서 정말 기뻤다.”고 하면서 불경한 세상이 얼마나 사실 복잡한지를 의미하는 장식이라 구체적으로 반박했다. 훈훈한 이야기다. 그런데 본당신부가 한 술 더 떴다. “이 가고일 때문에 상처 받으셨다면 훨씬 더 쇼킹한 가고일도 보여줄 수 있다.” 인증이 있어야 합니다, 신부님. ---------- 참조링크 DARTH VADER GROTESQUE AT THE WASHINGTON NATIONAL CATHEDRAL: http://www.atlasobscura.com/places/darth-vader-grotesque Dark Vador, un astronaute... Les folles gargouilles et chimères pop qui ornent les églises: http://www.slate.fr/story/91783/gargouilles-dark-vador-eglises 'Ahmed,' a French cathedral's Muslim gargoyle: http://www.nbcnews.com/id/39037897/ns/world\_news-europe/t/ahmed-french-cathedrals-muslim-gargoyle/#.VAzKgUssrF5
떡볶이 덕후가 인정하는 홍대 떡볶이 1티어 상수역 ‘삭’
2011년까지 상수역에서 살면서 자주 사먹던 떡볶이 #삭지난 5월 20일 토요일에 서울에서 친한 후배의 결혼식이 있어서 서울에 방문한 김에 늘 먹던 상수역 #딱볶이 #맛집 #삭 에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사장님과 사모님 두분이서 운영하는 작은 가게이지만 손님이 많아서 예전에는 옆 점포를 얻어서 테이블을 놓고 직접 구매 후 테이블로 가져가서 먹었는데요. 최근에는 가게 안쪽으로 확장을 했더군요. 가게 안쪽으로 들어가면 창고처럼 보이지만 작은 홀이 나옵니다. 테이블을 잡고 앉으니 키오스크 메뉴판이 보이더군요. 직접 주문하고 카드로 계산까지 마치면 아래외 같이 주문서(영수증)이 나옵니다. 기다리면 주방에서 주문서 번호를 불러줘요. 그때 주문서를 가지고 가서 음식과 교환해 오면 됩니다. 2012년 대구로 오면서 정말 오랫동안 꿈만 꾸던 #삭떡볶이#김말이튀김 #오징어볼 입니다. #김말이튀김 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지만 #오징어볼 은 정말 강추입니다. 동그랑땡과 거의 흡사한 재료에 오징어와 가운데 모짜렐라 치즈까지 들어간 이 메뉴는 정망 초초초 강추합니다. 저는 대구 출신이고 대구에서 시작했다고 하는 #신촌할매떡볶이 그리고 요즘 #동대문엽기떡볶이 혹은 #이소떡 과 같은 후추 베이스의 매운 떡볶이 보다는 고추가루 베이스의 시원 깔끔한 맛을 선호하는데요. 이집이 딱 그맛입니다.떡볶이 국물에서 고추장 전분의 텁텁한 느낌이 전혀나지 않고 파육수를 쓴건지 파의 시원한 향과 개운한 감칠맛이 일품입니다. 다 해치웠어요.주소: 서울 마포구 독막로 71 (우)04049지번: 상수동 315-8전화: 02-334-5205혹자들은 홍대 3대 떡볶이로조폭 떡볶이, 삭, 미미네를 꼽지만다 먹어본 떡볶이 덕후로서 평가하자면 삭과 미미네는 인정하지만 ‘조폭떡볶이’의 경우는 너무 평범한 것도 모자라 수준이 한참 못미치는 평범함에도 못미치는 퀄리티이지만 유명세와 ’추억보정‘이 만들어낸 과대평가라고 봅니다.
[조금은 다른 여행 이야기] - 스페인 그라나다(Spain Granada)
안녕하세요? 하나짱입니다. 오늘은 스페인 론다에 이어 두번째 도시인 그라나다(Granada)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그라나다는 스페인 남부의 안달루시아 지방에 위치한 그라나다주의 주도입니다. 스페인 남부 지방의 여행을 하시는 경우 많은 분들이 들리는 곳이기도 하죠. 이베리아 반도의 역사 스페인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가 그렇듯 상당히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라나다의 여행을 떠나기 전에 이 역사를 좀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스페인이 위치한 반도는 이베리아 반도라고 부릅니다. 기원전 5세기 로마에 의해 유럽 역사 전면에 등장하게 됩니다. 이 후 711년 우마이야 왕조에 속한 베르베르족과 아랍인들로 이루어진 무어인 군대가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부터 약 800년 간의 스페인과 이슬람 세력과의 길고긴 반목이 시작됩니다. 무어인들은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했던 이슬람계인을 말합니다. 무어인들의 국가와 이베리아 반도 북부에서 형성된 가톨릭 국가의 치열한 전쟁이 계속되죠. 무어인들의 국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의 칼리파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이슬람 세력의 우마이야 왕조 칼리파(Khalifa)는 ‘뒤따르는 자’라는 뜻의 아랍어로 무함마드가 죽은 후 움마(이슬람 공동체)·이슬람 국가의 지도자·최고 종교 권위자의 칭호입니다. 가톨릭의 최고 지위인 교황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칼리파는 원래 선출로 뽑았으나 무아위야 시대에 이르러 아들에게 세습하면서 세습제로 바뀌게 됩니다. 이 후 강력해진 아랍-이슬람 제국은 막강한 군사력으로 6대 칼리파인 왈리드 1세 때 북아프리카와 스페인 전역을 지배하게 되죠. 하지만 이 후 칼리프들은 화려한 궁전 외에도 오아시스에 호화로운 별장을 지었고, 사치스럽고 문란한 생활을 즐겼습니다. 권력의 맛이란... 이들은 시리아나 동로마의 문화와 풍습을 받아들였고, 전제적이고 화려한 생활방식 또한 흡수하였습니다. 이런 태도가 독실한 신자들에게 지탄받았고, 왕조의 신망을 추락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마이야 왕조가 망하고 나서도 이베리아 반도는 여전히 무어인들의 땅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이렇게 생긴 부족 국가들을 타이파라고 부르는데 마지막 타이파 국가가 바로 오늘 제가 다룰 그라나다 왕국입니다. 이슬람 세력과 스페인 왕국의 마지막 대결의 장 그라나다는 스페인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문화가 많은 곳이고 많은 한을 가지고 있는 곳이죠. 그라나다라는 명칭은 13세기에 가톨릭 세력과 전투에서 패한 이슬람교도들이 이곳으로 후퇴해 건설한 “성스러운 언덕”이란 뜻에서 비롯됩니다. 이후 나스리드 왕조(Nasrid dynasty, 1232-1492)의 그라나다 왕국 수도로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아랍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 군림하게 되죠. 그라나다와 마지막 일전을 벌이는 스페인 군 주둔지의 이름은 우리가 잘 알고있는 싼타페(Santa Fe)입니다. 스페인어로 거룩한 믿음 또는 성스러운 신앙을 뜻합니다. 좀 묘하죠? 두 세력이 모두 성스러운 곳에 자리를 잡았으니까 말입니다. 우마이야 왕조의 멸망 이후 이베리아 반도 북부에 자리잡은 레온 왕국,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과 같은 기독교 왕국들이 지속적으로 타이파 국가들과 전쟁을 벌여 영토를 확장해갔습니다. 이렇게 기독교 국가의 영토 확장을 레콘키스타라고 합니다. 다시말해 스페인의 독립은 곧 그라나다 왕국의 멸망과 같은 뜻이었죠. 바로 이 해가 1492년입니다. 스페인 역사에서 1492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해입니다. 스페인 왕국이 세워지기도 했고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로 첫 항해를 떠난 해이기도 합니다. 스페인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여왕인 이사벨라 여왕이 이 시기에 활약을 했었죠. 문명하시는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ㅎㅎ 우리가 오늘 여행할 그라나다는 이러한 역사를 가진 도시입니다. 그라나다의 슬픈 보물, 알함브라(Alhambra) 알함브라는 아랍어로 붉다는 뜻을 지닌 궁전과 성곽의 복합 단지입니다. 1238년에 건축을 시작하여 1358년까지 지어졌고 16세기 카를로스 1세에 의해 르네상스식 건물이 추가되었습니다. 알함브라 궁전을 가서 보시면 먼가 다른 느낌이 건물이 딱 눈에 들어오니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거에요. 사실 스페인어에서 h는 묵음이라 알람브라 라고 읽는 것이 맞습니다. 알함브라는 영어식 발음입니다만 여기서는 많이들 알고 계시는 알함브라라고 쓰겠습니다. 알함브라 궁전의 정식 명칭은 나사리에스 궁전(Patio Nazries)입니다. 궁전과 성채의 외벽의 색깔때문에 알함브라라는 별명이 붙어졌습니다. 아랍인들이 유럽에 세운 이슬람식 건축물 중 가장 아름답고 완벽한 건물로 여겨지는 궁전입니다. 방, 안마당, 벽, 뜰, 타일, 목재천장 등 어느 것 하나 쉽게 지나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건출물이죠. 이것만으로도 우리가 그라나다에 가봐야 할 이유는 충분할 것입니다. (알함브라 궁전의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할 말이 많아서요ㅎㅎ) 사실 알함브라 궁전은 이러한 아름다움으로 인해 유명해진 것은 아닙니다. 이 아름다운 궁전은 1561년 카를로스 1세의 아들 펠리페 2세가 당시 수도였던 톨레도(Toledo)에서 마드리드(Madrid)로 수도를 옮기면서 역사속에서 점점 잊혀져 갔기 때문입니다. 워싱턴 어빙(Washington Irving)이 바로 이곳에 머물면서 궁전에 대한 이야기와 구전으로 전해오는 이야기를 한데 엮은 "알함브라의 이야기"가 유명해지면서 덩달아 유명세를 탄 케이스입니다. 이후 스페인 정부의 대대적인 보수로 관광객들을 부르고 있죠. 뿐만 아니라 스페인의 전설적인 기타리스트이자 근대 연주기법의 틀을 완성한 타레가의 작품인 [알함브라의 추억] 역시 빼놓을 수 없죠. 이 곡은 타레가가 콘차 부인에게 사랑을 거부당한 후 상심에 빠져 스페인 곳곳을 여행하다가 이 아름다운 알함브라 궁전에 머물면서 작곡한 곡입니다. 집시의 한, 플라멩고(flamenco) 그라나다를 여행하는 분들에겐 알바이신 시크로몬테 언덕의 아담한 작은 극장에서 펼쳐지는 플라멩고 공연을 꼭 추천해드립니다. 사실 집시와 그라나다는 역사적인 교차점이 없지만 그라나다의 플라멩고가 유명하기도 하고 실제 집시들이 공연을 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플라멩고는 나무판으로 만든 좁은 무대에서 기타와 피리 연주자(toque) 2명, 박수치고 노래하는 남자가수(cante) 2명, 그리고 플라밍코 댄서(baile) 3명이 전부인 어떻게 보면 아주 소소한 무대입니다. 하지만 공연이 시작되면 흠뻑 빠져들게 되죠. 먼저 기타와 피리 연주와 함께 남자 두 명이 손뼉 치며 노래를 시작합니다. 무슨 내용인지 모르지만 애절한 목소리가 가슴을 파고듭니다. 곧 박자에 맞추어 발 구르는 소리와 함께 여자 댄서가 등장합니다. 앳된 얼굴의 그녀는 음악에 맞추어 절도 있는 동작으로 비장함을 온 몸으로 표현해 내고 있었죠. 참 미인인 그녀가 이런데서 고생을 하다니라고 울컥 했지만 그라나다에서 가장 부자라고. ㅡㅡ;
과학적으로 밝혀진 기도의 힘
기도는 특정한 작업에 효과가 있으며, 그 비결에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실험사회심리학(Jouran l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지 최신호에는 무신론자들도 기도를 통해 인지 자원(cognitive resource)을 키울 수 있다는 연구가 실렸습니다. 저자들은 이 현상의 비밀에 어떤 초자연적인 힘이 아닌 현실적인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이유는 가장 열렬한 무신론자라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바로 사회적 관계의 힘입니다. 이들의 연구는 자기절제능력이 “체력 모델(strength model)”을 따른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체력 모델이란 우리의 인지 자원이 물리적 자원과 마찬가지로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입니다. 30 km 를 달린 후 1 km 를 더 달리는 것이 매우 힘든 것처럼 커다란 유혹을 참아 낸 후에는 작은 유혹도 참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렇게 바닥난 인지 자원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은 당분을 섭취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연구는 기도 역시 인내력이 바닥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이들은 인지자원에 관한 두가지 잘 알려진 실험방법을 모두 사용했습니다. 첫번째 실험방법은 감정억제실험으로, 이 실험에 참여한 이들은 재미있는 동영상을 시청하게 되지만, 그 과정에서 어떠한 감정적 표현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상당한 양의 인지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 일입니다. 다음 실험은 스트룹 실험이라 알려진 방법으로, 참여자들은 모니터를 통해 다양한 색으로 쓰여진 글자를 보게 됩니다. 문제는 그 글자들이 글자가 띈 색과 무관한 색이름들이라는 겁니다. 참여자는 글자의 내용이 아닌 글자가 띄고 있는 색을 말해야 하며 이 역시 상당한 인지적 자원을 요구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글자의 색과 내용이 일치하지 않을때 더 느리게 답을 하게 되며, 특히 인지적 자원이 바닥났을 때 이 시간의 차이는 더 길어집니다. 연구진은 기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감정억제 실험으로 참여자의 인지자원을 상당량 소모시킨 후 스트룹 실험으로 이들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한 그룹의 참여자는 실험에 참여하기전 자신이 선택한 특정 주제에 대해 5분간의 기도를 하였고, 다른 그룹의 참여자들은 그 주제를 생각만 하였습니다. 그리고 기도를 한 참여자들은 스트룹 실험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참여자의 종교유무와 무관했습니다. 저자들은 이 현상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들을 정리하여 각각을 검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한가지 원인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기도를 신과의 상호작용으로 생각한다는 사실입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인지 자원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던 사실입니다. 물론 이것이 기도의 유일한 효과는 아닐지 모릅니다. 하지만, 적어도 이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곧 우리는 바로 우리 주변의 사람들로부터 힘을 얻는다는 사실과 함께 왜 그들이 우리의 하루하루에 그렇게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 줍니다. (Scientific American) 원문 보기(http://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scientists-find-one-source-of-prayers-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