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ovekara
5,000+ Views

[2015-038] 대화의 신

제목 : 대화의 신 저자 : 래리 킹 옮긴이 : 강서일 출판사 : 위즈덤하우스 읽은날 : 2015/05/18 - 2015/05/21 어렸을 때 영어공부를 하려면 CNN을 보라고 들은 적이 있다. 열심히 CNN뉴스를 보는데 멜빵바지 입은 아저씨가 나와서 진행하는 대담프로가 있었다. 말들이 얼마나 빠른지 알아듣지는 못하겠는데 멜빵 바지 입은 그 모습이 참 강렬했던 것 같다. 알고보니 그 사람이 래리 킹이라는 사람이었다. 내가 좋아하는 미국 앵커는 테드 카펄이다. 무척 중후한 목소리와 표정으로 뉴스를 진행하는 모습은 참 멋있었다. 그리고 또 한사람의 인터뷰어인 래리킹을 참 좋아한다. 잘 알아듣지는 못했어도 인터뷰이가 편안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멍석을 잘 깔아준다는 생각을 했다. 그 래리킹이 말하기에 관한 책을 냈다. 적절할 때의 말한마디는 은쟁반에 아로새긴 옥사과같다는 성경의 말도 있지만, 적재적소에 필요한 말을 하는 것은 정말 타고난 재주인것 같다. 래리킹은 이 책에서 선천적인 부분 말고 후천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을 이야기해 준다. 영리하게 대화하라는 것이다. 내가 잘 모르는 분야를 이야기하면서 중언부언하는 것보다는 확실히 자신이 아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라든가, 공감을 통해 상대방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마음을 사로잡는 방법등은 선천적인 것 뿐만 아니라 후천적으로도 연습해서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다. 낯선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은 항상 어렵지만 친근한 이야기로 시작하라든가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시작하는 것 등은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는 대화의 팁이다. 요즘에 유행하는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책이 쓰여진 것이 아니라 나열식으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내용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이 중에 몇 가지라도 실제 대화에 사용할 수 있으면 성공이다. 그리고 그 팁들이 도움이 되면 다른 팁들도 연관되어 사용할 수 있을것 같다. 말잘하는 사람은 확실히 이유가 있다.
2 Comments
Suggested
Recent
저도 이 책 얼마전에 구입해서 읽는중 ㅎ
그냥 편하게 읽고 좋은 부분은 뽑아서 연습해보면 될듯 합니다.
Cards you may also be interested in
당신이 상대방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면 그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일 수 있을까요?
세계적인 협상가 '윌리엄 유리'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Q. 협상에서 중요한 건 상대방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자기 자신을 알라’는 소크라테스의 말이 떠오르는데, 구체적으로 나 자신의 무엇을 알라는 말인가요? A. 오랜 시간에 걸쳐 저는 협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상대편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 상대방이 아무리 어려운 상대라 할지라도 말이죠. 가장 큰 장애물은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그 이유는, ‘대립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반응하려는 인간의 기질’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생각없이 행동하기 때문입니다. “화가 났을 때, 후회할 만한 최고의 말을 내뱉는다.”는 속담이 말해주듯이 말이죠. 즉, 즉각적으로 반응하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기질을 알고 받아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항상 자기자신을 방해하는 행위를 합니다. 이것이 제가 《윌리엄 유리 하버드 협상법》을 집필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협상이나 힘든 대화에서 첫 번째 해결책은 자기자신과 합의를 이뤄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더 잘 알 수 있다면, 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관찰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면, 우리는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스스로의 행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면, 타인의 행동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약하면 우리가 자신에게서 ‘예스’를 이끌어낼 수 있다면, 상대방에게서도 보다 수월하게 ‘예스’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Q. 자기 자신을 알면 상대방이 원하는 바도 더 잘 알 수 있게 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상대방의 니즈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는 ‘들어주는 것’입니다. 훌륭한 협상가들의 행동을 관찰해보면, 그들은 말하기보다 훨씬 더 많이 듣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듣기에 가장 큰 장애물은 사실 우리 자신입니다 - 자신의 문제나 니즈, 생각 또는 감정 등에만 집중하기 때문이죠.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자신의 소리를 먼저 듣고 자신의 니즈를 이해하면, 비로소 그때 타인의 얘기를 더 잘 들어주거나 그들의 니즈를 이해할 수 있게 되죠. Q. ‘다툼과 분쟁’이라는 주제를 오랫동안 다루셨는데, 개인적으로 이러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A. 어린시절부터 줄곧 관심 있고 매력적인 의문이 바로 이것이었어요;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각자의 다른점을 받아들이고, 서로 평온하게 살아가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 우리의 개인적인 행복, 직업적인 성공, 하나의 개체로서의 생존 그 자체 등이 위의 질문에 대한 답과 관련이 있더군요. 오랫동안 저는 다루기 힘든 다툼들 – 가족 간의 싸움이나 기업 이사회의 분쟁, 노조파업이나 국가 내전까지 해결해왔습니다. 독재자와 정계 거물, 기업 회장들이나 국가 원수를 상대해야 하기도 했지요. 제가 쓴 책들은 단지 학문적인 연구에만 치우치지 않고 저의 직접적인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한창 분쟁중인 곳에서 아이디어가 발휘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한 우리는 각자의 다른점으로 인한 다툼을 해결할 더 나은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갈등은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긋난 관계나 파탄난 조직, 전쟁 등은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모든 싸움이 종국에는 협상으로 귀결되는 것이라면, 싸움은 건너뛰고 협상부터 시작하는 건 어떨까요? 그러면 우리 모두가 좀 더 나아질 거라 확신합니다. Q. 협상에서 서로의 권력 차이나 조건이 균등하지 않을 경우에는 협상 테이블이 만들어지는 것 자체가 힘들어지는데요. ‘약자’인 편은 어떻게 협상을 이끌어나가야 할까요? A. 협상에서는, 당신이 협상 테이블 바깥에서 하는 행동이 협상 테이블 위에서 하는 행동만큼 중요합니다. 상대적 약자들에게 제가 드릴 수 있는 조언은, 단결된 연합 조직을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기득권층에 맞설 수 있는 강력한 동맹 관계를 내세워 권력 불균등을 표명하라는 것입니다. 권력을 가진 자들을 ‘모노리스(무너뜨리기 힘든 철제 구조물)’ 라고 치부하지 마십시오. 협상된 합의로 혜택을 볼 만한 사람들과 잠재적인 동맹을 맺을 수 있는지 살펴보세요.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도 연합을 형성하세요. 친구들과 연맹자들, 뜻을 같이 하는 이들과 함께 하면, '윈-루즈win -lose' 라는 게임을 모든 이에게 이익이 되는 강력한 승리, '윈-윈win-win' 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당신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 중에 한 가지는 준비하는 것입니다. 본인의 이해관계를 잘 알고 상대방의 이해관계 역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죠. 협상이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입니다. 당신이 상대방의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면 그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일 수 있을까요? 당신의 임무가 상대방과 함께 만들고 있는 황금 다리의 반대 쪽을 잇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기꺼이 상대방이 가능한 한 쉽게 의사 결정을 하도록 협력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