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동료와 분식집에서 점심을 먹고 있었다. 치즈라면과 참치김밥. 이 집이 이 근방 로컬 맛집이라는 소식을 뒤늦게 접하고 얼마 전부터 가끔 찾게 되었는데, 젊은 부부가 운영하는 소규모의 가게였다. 남편은 주로 주방을 담당하고, 홀과 김밥 말기 정도는 아내가 담당하는 형태의. 라면은 아직 나오기 전이고, 동료와 나는 홀 담당 사장님이 말아준 김밥을 먼저 먹고 있었다. 나는 출입구를 등지고 식사 중이었는데, 손님 한 명이 들어온 것 같았다. 돌아보지는 않았지만 가게에 들어서자마자 주문을 하는 목소리가 들려왔던 것이다. 앳된 여성의 목소리였다. 돌솥비빔밥 하나 주세요. 우렁찬 목소리는 아니었지만 나는 분명히 들었다. 그러나 서빙을 담당하는 사장님은 그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한 것 같았다. 차라리 아예 제대로 듣지를 못해서 네? 하고 재차 물어봤다면 좋았겠지만, 잘못 알아들은 메뉴를 대며 확인했다. 쫄볶이 한 개요? 젊은 여자 손님은 아뇨, 돌솥비빔밥이요, 했다. 나는 처음부터 알아들었기에 이번에도 다시 분명하게 들었다. 돌솥비빔밥이라고. 그러나 서빙 담당 사장님은 그렇지 못한 것 같았다. 확인 차원에서 쫄볶이 하나요? 하고 되물었지만, 예, 라는 대답이 돌아오지 않고 뭐라고 다시 대답을 하니, 이번에도 쫄볶이 한 개요? 라고 차마 묻지는 못하고, 잠시 침묵한 채로 망설이는 기색이 역력했다. 분명 쫄볶이라고 한 거 같은데, 쫄볶이가 아닌가? 그런데 아무리 들어도 쫄볶이인 걸, 하고 생각하는 듯했다. 그러나 그렇게 영영 침묵할 수는 없는 것이기에 네? 하고 다시 물었다. 여자 손님은 다시 말했다. 돌솥비빔밥 하나요. 물론 이번에도 나는 분명히 들었다. 심지어 내 앞의 동료도 들은 듯이 회심의 미소 같은 것을 짓고 있었다. 뭔가가 재미있게 돌아간다는 듯. 세상에. 사장님은 이번에도 잘못 알아들은 것 같았다. 그러나 쫄볶이에서 벗어나지는 못했다. 그녀를 구원해줄 사람은 정녕 없단 말인가. 그녀의 남편은 주방에서 동료와 나의 라면을 끓이느라 여념이 없어 보였다. 하필 가게에는 여자 손님을 제외하고는 동료와 나뿐이었고, 오지랖이라거나 뭐 그런 것이 넓은 그런 종류의 다른 손님은 없었다. 잠시 나라도 대신 다시 말해주는 것이 현명한 처사일까 그것이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일일까 생각하며 망설이는 사이, 홀 담당 사장님은 기지 비슷한 것을 발휘했다. 그녀는 확신에 차 여자 손님에게 말했다. 아아, 쫄볶이 포장이요? 홀 담당 사장님이 뱉은 방금 그 말에는 아주 여러 가지의 의미가 함축된 느낌이 있었다. 그래, 내가 잘못 알아들은 게 아냐, 나는 너의 말을 아주 잘 알아들었지만 쫄볶이 뒤에 포장이라는 단어 하나를 못 알아들어서 이 사달이 난 것뿐이야. 나는 손님의 말에 아주 경청을 잘 하고, 실수 따윈 잘 하지 않지. 난 말귀를 못 알아 먹는 사오정이 아니라고. 봐, 내 말투에 확신이 들어차 있는 게 바로 그걸 증명하는 거야. 근데 이번에도 잘못 들은 거면 어떡하지? 설령 그렇다면, 그렇다고 해도 의도는 아니니 이해하길 바라, 정도의 의미가 들어 있는 듯한 대사와 말투로 느껴졌다. 그러나 슬프게도 홀 담당 사장님은 연속된 실수를 기록하고 있었다. 사장님을 제외하고는 우리 모두가 알고 있지 않은가. 쫄볶이가 아니라는 걸. 쫄볶이 포장은 더더구나 아니라는 걸. 여자 손님은 쫄볶이를 시킨 적도 없거니와, 홀에서 먹고 갈 거니까.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생각해보았다. 어째서 신은 홀 서빙 담당 사장님에게 이런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시련을 주는지. 우선 두 단어의 연관성을 생각해보았다. 돌솥비빔밥. 쫄볶이하나. 발음되는 대로 적어보자면, 돌쏘삐빔빱. 쫄뽀끼하나. 돌쏘삐 쫄뽀끼 아주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는 하다. 어쨌든 여자 손님은 인내라기보다는 오히려 스스로가 더 당황하여, 벌서고 있는 기분을 느끼고 있는 것 같았지만, 그러나 침착을 잃지 않고 말했다. 아뇨, 돌솥비빔밥이요. 먹고 갈 거예요. 정말 안타깝지만 홀 담당 사장님은 이번에도 알아듣지 못했고, 기어코 피날레를 장식했다. ...네? 가여워라. 되묻는 사장님의 말에는 거의 필사적인 자조가 담겨있는듯 했다. 동료와 나는 육성으로 뱉진 않았지만 한마음으로, 여리지만 단호한 여자 손님의 마지막 일격 같은 대답에 힘을 실어 보냈다. 아, 물론 동료도 그랬을지는 사실 잘 모르겠지만, 뭐 그렇다고 치자. 돌. 솥. 비. 빔. 밥. 이요. 아. 드디어 알아들은 홀 담당 사장님의 장탄식이 이어졌다. 나는 기립박수를 치고 싶은 것을 간신히 참으며, 그사이에 나온 감격의 면발 흡입을 이어갔다. 계산을 마치고 돌아본 가게의 풍경은 언제 그랬냐는 듯 고요했다. 핸드폰을 들여다보며 쫄볶이가 아닌 돌솥비빔밥을 먹는 여자와 테이블을 정리하는 사장님, 그리고 아무것도 모른 채 주방에서 분주한 또 다른 사장님. 모든 것이 평온해 보였다. 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