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중독의 진단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15 Answers
DSM-Ⅳ] 알콜 의존의 진단기준을 보면
부적응적인 음주가 심각한 장애나 어려움을 초래하는데, 같은 1년의 기간 내에 어느 때라도, 다음 항목 중 3가지 이상이 해당될 때를 말한다.
1. 술에 대한 내성이 있다.
날이 갈수록 같은 양의 술로는 취하는 효과가 감소되거나, 취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점차 음주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상태
2. 금단증상이 있다.
장기간 술을 마시던 환자가 음주를 중단하거나 음주량을 감소하여 섭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데 증상으로는 자율신경계항진(식은땀, 빈맥, 불안정한 혈압), 손떨림, 불면증, 오심 또는 구토, 일시적인 환시, 환촉, 환청, 착각, 초조, 긴장, 불안, 간질 등이 발생한다.
3. 의도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이나 오랫동안 음주한다.
4. 음주를 줄이거나 조절하려는 욕구가 있거나, 또는 노력을 하지만 실패한다.
5. 술을 구하기 위해 먼 거리를 찾아감으로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장기간 술을 마심으로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며, 술에서 깨어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비됨.
6. 중요한 사회적, 직업적, 또는 여가활동들이 음주 때문에 포기되거나 줄어든다.
7. 음주 때문에 악화되거나 지속되는 신체적(위궤양이 있음에도 음주) 또는 정신적 문제(알코올성 우울증 등)가 있음을 알면서도 계속 음주한다.
주위 사람과 내가 즐거우면 정상
주위 사람들이 진짜 죽여버리고 싶을 정도로 화나면 중독 자기 행동을 주체 못하는거 주위 사람들이 힘들어 하는걸 알면서도 술을 마신다는건 확실히 중독 이라는 거겠죠
그냥 ...
이유가 없을때~
출처: 한국성심리교육센터 심리글쓰기

다음날 후회하고 그날 또 먹으면 중독!
본인이 알지않나. 아 내가 날 망가뜨릴정도로 심하구나 ,하고. 난그래서 끊었는데
매일 마시면 중독이랍니다.
근데 운동하면 술 안먹는사람과 같다는 연구결과가 최근에 나왔데요.
술먹도 개가 될때
48시간의 간휴식을 보장하는가
점심 밥상에 술있으면 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