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Following
4
Follower
0
Boost

더 깊이 있게, 더 재밌게 보는 배구 가이드

프로배구가 출범한 지 10년이 지나면서 선수들의 기량과 함께 팬들의 눈높이도 높아졌다. 세터, 리베로같은 포지션명은 물론이고 생소했던 블로킹, 리시브, 디그 같은 용어는 이제 배구 팬에겐 기초가 되었다. 이제는 더 깊이 있는 시각으로 배구를 봐야 할 때다. 알면 알수록 더 재밌을 터. 이 글에선 배구의 다양한 공격 패턴에 대해 알아본다. 배구에선 토스를 올리는 세터의 결정에 따라 다양한 공격이 나온다. ‘배구는 세터 놀음’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가 어떤 패턴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경기의 성패가 좌우된다. 공격 패턴의 종류는 크게 6가지. 기본적인 오픈, 백어택을 시작으로 속공, 시간차, 파이프, 이동공격이 있다. 오픈은 주 공격수의 높은 타점을 이용하는 공격이다. 공격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오픈은 라이트의 강력한 스파이크를 이용하기에 비교적 단순하다. 리시브나 디그가 불안해도 높게 올려주면 범실이 많지 않기에 안정적이기도 하다. 오픈과 비슷한 백어택은 주 공격수가 후위에 위치했을 때 사용한다. ‘후위 선수는 어택 라인 내에서 공격하지 못한다’는 규칙에 따라 뒤에서 점프하여 공격한다. 믿을만한 공격수 외에 별다른 옵션이 없을 때 몰아주는 패턴이다. 높게 올려주는 오픈, 백어택과 반대로 속공은 공을 낮게 올려 빠르게 공격하는 기술이다. 퀵이라고도 불리는 속공은 A 속공, B 속공, C 속공으로 나눠지는데, 이 기준은 세터와 공격수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 먼저 A 속공은 세터와 공격수간의 거리가 1m일 때를 말하며 가까운 거리다보니 올리는 공의 높이도 가장 낮다. 따라서 공격수가 세터보다 먼저 뛰거나 동시에 뛰는 게 중요하며 상대 블로커가 뜨기 전에 공격을 마무리 짓는다. 세터와 공격수간의 거리가 1-2m일 때 이뤄지는 B 속공은 상대 블로커가 자리를 잡기 전에 공격하는 기술이다. A 속공, B 속공은 주로 센터 공격수에게 많이 활용한다. 퀵 오픈이라고도 불리는 C 속공은 세터와 공격수간의 거리가 3m 이상일 때를 나타내며 보통 사이드 끝의 안테나 쪽으로 붙여 공격한다. 속공과 함께 쓰면 효과적인 공격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시간차다. 시간차는 공의 속도나 방향을 바꿔 템포를 조절하여 상대를 속이는 공격이다. 속공하듯이 페이크 동작을 들어간 뒤 한 박자 늦게 공격하는 이 기술은 상대 수비를 혼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선수 한 명이 점프 모션을 취한 뒤 엇박자에 공격하는 개인 시간차도 존재한다. 파이프는 앞서 소개한 시간차와 백어택을 같이 이용하는 패턴이다. 시간차처럼 중앙의 선수가 페이크 점프를 한 뒤 후위 선수가 백어택을 하는 복잡한 기술인데, 어려운 만큼 성공한다면 막기 어려운 공격이다. 마지막으로 센터 포지션의 선수가 자주 이용하는 이동 공격은 세터의 뒤로 돌아가면서 상대 블로커를 피해 공격한다.
스포츠
배구
+ 1 interests

'남미 챔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마지막에 웃을 팀은?

단 한 경기만 남았다. 마지막 경기에서 웃을 팀은 누가 될까. 50년이 넘는 전통을 가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Copa Libertadores de América)의 챔피언이 27일 저녁(현지 시간) 콜롬비아 메데인에서 결정된다. 57번째 챔피언을 맞이하는 이 대회는 유럽 축구처럼 많은 팬덤을 보유하진 않았지만, 남미의 챔피언스 리그로 불리며 수준 높은 축구를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클럽이 총 41회의 우승을 거머쥐며 강한 모습을 보여왔지만, 이번 결승에서는 콜롬비아와 에콰도르의 두 팀이 맞붙는다. 지난 20일 에콰도르 키토에서 치러졌던 1차전에서는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5개월 간의 예선을 거쳐 올라온 두 팀은 상반된 길을 걸어왔다. 1989년 콜롬비아 팀으로서 사상 첫 우승을 이룬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이하 나시오날)은 조별리그에서 단 한 경기도 패하지 않으면서 4조 1위로 토너먼트에 올랐다. 성적은 5승 1무. 12골을 넣는 동안 단 1골도 내주지 않으며 승승장구했다. 토너먼트에는 예선 성적이 우연이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나시오날은 이 과정에서 딱 한 번 위기를 맞았는데, 8강 로사리오 센트랄 전이었다. 원정 1차전에서 0-1로 패한 나시오날은 2차전에서 선제골까지 내주며 어려운 상황을 맞았다. 그러나 이후 3골을 내리 뽑으며 승리를 거뒀다. 특히 승부를 결정짓는 골이 후반 추가시간에 들어가며 극적인 역전 드라마를 썼다. 이후 기세를 탄 나시오날은 4강에서 브라질의 상 파울루를 상대로 완승을 거두며 결승에 올랐다.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이하 인데펜디엔테)의 길은 순탄치 않았다. 벼랑 끝 승부였던 조별리그 6차전에서 콜로콜로와 비긴 인데펜디엔테는 3위와의 승점을 2점차로 유지하면서 5조 2위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어려운 길은 계속되어 16강부터 강호들을 여러 차례 만났다. 첫 경기부터 디펜딩챔피언 리버 플레이트를 만나 합계 2-1 승리를 거둔 인데펜디엔테는 8강에서도 멕시코의 우니베르디다드 나시오날에게 승부차기 끝에 힘든 승리를 거뒀다. 4강에서는 대회 6회 우승에 빛나는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를 만났지만 승리하였다. 강팀들은 연달아 꺾은 인데펜디엔테는 아무도 예상 못한 역사를 쓰며 우승을 노리고 있다. 앞서 펼쳐진 1차전에서는 이전에 비해 양 팀 모두 조심스럽게 나섰다. 유효 슈팅(6대4)과 점유율(53대47)에서는 인데펜디엔테가 조금 더 앞섰지만, 경기 흐름에 따라 공격을 주고받는 모습이 지속되며 어느 팀이 우위에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다만 전반에 실점하고도 밸런스를 유지하며 후반 막판 동점골을 넣는 인데펜디엔테의 경기 운영과 집중력은 돋보였다. 마지막 한 경기. 객관적인 전력은 나시오날이 조금 더 앞선다는 평가다. 먼저 인데펜디엔테의 주 공격수 호세 앙굴로가 경기에 나서지 못한다는 점이 크다. 대회 6골을 기록 중인 앙굴로는 1차전에서 엘킨 블랑코와 충돌한 뒤 왼쪽 발목을 다쳤다. 미예르 카스티요라는 또다른 자원이 있지만 장신의 앙굴로를 활용하여 선 굵은 축구를 구사하던 인데펜디엔테로서는 전술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반면 나시오날은 조심스러웠던 원정 경기와 달리 홈에서는 조금 더 과감한 공격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수 차례 국내 리그 우승 경험이 있고 최근에도 트로피를 들어올렸기에 자신감과 경험에서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