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ollowing
1,992
Follower
8
Boost

손자(孫子)가 말하는 당신이 차일수밖에 없는 이유

허실 편(虛實篇) 당신의 속내를 알 수 없게 하라 싸우기 유리한 위치를 먼저 차지하고 적을 기다리면 편하고, 뒤늦게 위치를 잡으면 힘들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유능한 장수는 적을 자신의 뜻대로 다스리며 적에게 휘둘리지 않는다.  공격을 잘하는 장수는 아군이 수비하는 곳을 적이 알지 못하게 하고 수비를 잘하는 장수는 적이 어느 곳을 공격해야 하는지 모르게 한다.  아군이 진격해도 적이 방어하지 못하는 것은 허를 찌르기 때문이며, 아군이 후퇴해도 적이 쫓지 못하는 것은 빨라서 따를 수 없기 때문이다.  군형은 물과 같아야 한다. 물에 일정한 형태가 없듯 군대도 일정한 형태가 없어야 한다. 적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승리를 거두는 것이다. 누가 그랬던가? 사랑은 전쟁이라고... 오죽하면 좋아하는 사람에게 관심을 표현하는 것을 우리는 으레 '대시(dash)한다'라고 표현한다. 대시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구기 경기 또는 권투에서, 상대 진영이나 상대 선수를 향해 저돌적으로 공격해 들어가는 일'이라고 나온다. 그런데 왜 당신의 저돌적인 공격은 번번이 상대방에게 먹혀들지 않는 것일까? 오늘은 당신의 고백이 항상 상대방에게 거절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병법서의 최고봉인 손자병법을 통해 알아보자. 1. 상대방의 눈치만 보는 당신은 항상 차일수밖에 없다. 손자(孫子)가 말하길 싸움 시작하기 전에 적보다 먼저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편하며 적에게 휘둘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연애에 그대로 적용하자면 연애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휘둘리지 않는 고자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은 뭘 필요로하고 뭘 원할까?

연애는 마케팅이다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 '평범남, 사랑을 공부하다'의 제일 첫 번째 포스팅은 [연애 이야기] 클럽에서 본 작업과 마케팅의 공통점!이었다. 개인적으로 나는 연애를 단순한 원나잇 게임 이으로 생각하거나 연애소설과 같은 달달한 감성적 활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분명 연애에는 치밀한 두뇌 싸움이 필요하지만 때론 두뇌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활동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현존하는 여러 학문 가운데 연애와 가장 유사한 학문이 있다면 난 심리학이 아닌 마케팅이라고 생각한다. 심리학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라기보다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인간의 본성에 대해 탐구를 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연애에서도 인간의 심리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일반적인 사람들이 연애를 하기 위해 프로이트며, 융, 밀턴 에릭슨 등을 공부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이에 비해 마케팅은 노골적으로 실전적이다. 마케팅을 한마디로 정의한다는 것은 어렵겠지만 어떠한 기업이 자사의 이윤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자사의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전반적인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연애는 어떠한가? 연애 또한 마케팅과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심적, 물질적 이윤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자신과 연인관계에 있는 상대방에게도 높은 만족감을 주는 행위이다. 그렇다면 오늘부터 연애의 시각으로 본 마케팅에 대해 공부해보자. 필요와 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