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llowing
741
Follower
4
Boost

이런 콜라보 대환영! 우리 집 인테리어 업그레이드 아이템

벽면 패턴 하나로 우리집이 달라졌다. 우리 집 평범한 벽도 인테리어 쇼룸처럼 연출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으로 완성된 벽지 신세계.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한 벽지 인포메이션 패션업계는 최근 아티스트와의 콜라보 열풍이 한창이다. 아티스트의 작품성을 자신들의 상품과 결합해 새로운 이미지로 재탄생시키는 콜라보 작업은 루이비통과 구찌, 발리 등의 명품 브랜드에서부터 나이키와 푸마, 컨버스 등 스포츠 브랜드들까지 그 범위 또한 폭넓다. 홈, 인테리어 시장에서도 그 콜라보는 유효해 오랜 역사를 지닌 영국의 벽지&직물 브랜드 ‘GP&J’는 패션 SPA 브랜드인 ‘H&M’과, 벨기에 가구 브랜드 ‘Muller van Severen’은 한섬의 여성복 브랜드 래트바이티와 협업했으며, 삼성전자는 스위스 건축 디자인 회사 ‘Vitra’와 함께 작업했다. 이 밖에도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Hotel Hotel’은 건축가 및 디자이너를 포함, 무려 60여 명의 아티스트와 함께 건물의 내, 외관을 꾸몄다. 패션, 가구, 제품, 유통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이러한 콜라보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 2015년에 설립된 핀란드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FEATHER는 젊은 회사답게 이러한 콜라보 흐름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다. 인테리어의 절반을 결정짓는다는 벽지에 아티스트와 함께한 제품들을 연이어 내놓고 있는 것. 이러한 작품들은 비슷비슷한 색상의 단순한 마감재가 아닌 공간을 꾸미는 장식용이나 벽에 걸어놓는 예술품처럼 기능하며 새로운 인테리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에디터가 발 빠르게 소개하는 벽지X콜라보 인포메이션. #자연 그대로 by Tamara Pillola 핀란드에서 오랜 시간 활동해 온 미술작가 Tamara piilola는 천연 안료를 사용한 다채로운 색감으로 사용자를 자연으로 안내한다.

[헌집을 새집으로 #1] 건축주 라이프스타일에 딱 맞는 맞춤형 리노베이션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오래되고 허름해진 건물의 외관을 개, 보수하여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리노베이션이 여전히 핫 이슈다. 새로 만드는 것보다 다시 쓰는 것에 대한 높아진 관심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주거용 건물의 리노베이션은 단순히 노후한 주택을 준공 당시의 원상태로 복구하는 단계를 넘어 달라진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현대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부분. 작은 변화만으로도 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달라지는 삶의 질은 물론 부동산 가치 또한 증가하는 만큼 리노베이션에 대한 투자는 아깝지 않은 선택이다. 고작 10° 의 변화로 달라진 공간의 마법 DESIGN: Towodesign ⓒ Towodesign 침실로 올라가는 계단 아래부분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기존의 골조 옆 부분에 거울을 설치해 공간을 넓어보이게 연출하고, 노란색 벽면에는 여닫을 수 있는(push-pull) 수납장을 설치해 공간 효율을 높였다. 나무로 제작된 벽체는 공간을 분할해주는 역할과 수납의 역할을 겸한다.

[세상에 이런 집 #3]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강조한 주택들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맞추어 집을 이루는 사람들 간의 커뮤니티 환경과 대지의 조건,집 안에 담긴 새로운 가치를 재조명하는 전시,하우스 비전(HOUSE VISION).지난2011년 일본 동경에서 일본디자인센터 대표이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무인양품(MUJI)의 아트디렉터인 하라 켄야(Hara Kenya)에 의해 시작됐다.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삶의 환경과 문제들을 고민하고 해결하는‘미래 주택’을 제시한다.하우스 비전을 통해 살펴본내일의 집. 박스가 만드는 커뮤니티 By HUARI FURNITURE+BLUE ARCHITECTURE 집 자체는 소형이지만, 생활공간은 무궁무진하게 커질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착안했다. Nacása & Partners ⓒ HOUSE VISION 각각의 상자들은 하나의 집이자 야외 공간. 이 프로젝트는 가구들을 외부 거리에 적합한 형태로 연결하고 그것을 건축적 형태로 구현해내는 것이 가능한지 탐구한다. 디자이너는 이 프로젝트를 ‘반(半)건축적이자 반가구적’ 이라고 표현하며 건축과 가구의 경계를 허무는 이동식 주거 상자를 통해 젊은이들의 미래 생활 양식을 보여준다. 최소한의 개인 공간을 품은 ‘박스’로 축소되고 외부는 공용 가구가 된다. 박스는 가구 회사를 통해 제작할 수 있으며 바퀴를 달아 이동할 수 있다. 이들을 자유롭게 조합하면 플랫폼, 로프트, 다양한 양식을 갖춘 많은 공간을 유연하게 완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 경계 없는 집

은퇴 후 다시 찾은 새 삶, 80대 부부의 아파트 리모델링

지난 2000년대 초반 60대에 은퇴 후 새로운 삶을 고민하던 부부가 공기 좋은 수도권으로 이사한 이후 지금까지 거주했던 집을 큰 결심 끝에 새롭게 리모델링했다. 100세 시대를 눈 앞에 두고 마음과 몸을 보듬는 오롯이 부부만을 위해 맞춤형 솔루션을 보여준 집 살펴보기. 딸과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랑채 역할을 톡톡히 하는 어머니의 방 내부. 강마루로 난방이 가능한 평상을 만들었다. 베란다 대신 바닥에 보행감이 좋고 까슬한 거창석을 깔아 작은 배회공간을 선물한 자녀들. 배려 가득한 동선과 디자인,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아파트 리모델링 “원래 저희 집은 자녀들이 분가 하기 이전에는 쭉 서울에서 살다가, 20여년이 조금 안될 때 이 집을 분양 받아서 이사했어요. 부모님이 원하는 공기 좋은 곳이 바로 이 지역이었죠. 서울과 멀지 않은데다 야트막한 산이 베란다에 펼쳐져 차경 또한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점을 마음에 들어 하셨어요.” 은퇴 후 이사한 아파트에 입주해 오랜 기간 거주해 20여년 만에 리모델링을 결심한 것은 자녀들이 이제 80세가 넘은 부모님을 위해 특별한 선물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고. 기존 아파트는 기획단계부터 일반 아파트와 다른 구조이긴 했으나, 부모님의 생활동선과 맞지 않았던 점과 이제 연세가 있으신 터라 두 분만이 지내시기에 무엇보다 집 안에 장애가 되는 턱이나 몸을 편히 의지하고 안심하고 걸을 만한 배회공간도 부족했다. 그래서 큰 마음 먹고 선택한 것은 이사가 아닌 부모님에게 꼭 맞는 맞춤형 주택을 선물하기로 결심했다. 부부의 거실공간. 이 집의 거실은 오롯이 두 분의 건강을 위해 맞춤 설계된 공간이다. 밖에서 운동이 힘든 경우가 많아 조금씩 몸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설계했다. 여유로운 보폭으로 산보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회공간은 디&메종 강마루와 가운데에는 거창석을 잔다듬해 시공했다. 가운데를 중심으로 주변부를 핸드레일을 잡고 배회할 수 있는 공간.

[세상에 이런 집 #2] 첨단 기술로 만들어낸 새로운 유형의 주택들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맞추어 집을 이루는 사람들 간의 커뮤니티 환경과 대지의 조건, 집 안에 담긴 새로운 가치를 재조명하는 전시, 하우스 비전(HOUSE VISION). 지난 2011년 일본 동경에서 일본디자인센터 대표이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무인양품(MUJI)의 아트디렉터인 하라 켄야(Hara Kenya)에 의해 시작됐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삶의 환경과 문제들을 고민하고 해결하는 ‘미래 주택’을 제시한다. 하우스 비전을 통해 살펴본 내일의 집. 화성에서의 삶, MARS CASE By XIAOMI+OPEN ARCHITECTURE Mars Case는 첨단기술, 제품디자인, 건축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이상적인 주택을 제시한다. Nacása & Partners ⓒ HOUSE VISION 화성은 가까울 때 5,759만km, 가장 멀리 있을 때 4억100km다.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멀리 떨어진 이곳에서의 삶은 어떨까. 샤오미와 협업한 오픈 아키텍처는 일반적인 주거 개념을 탈피하고 새로운 미래 주거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가벼운 소형 모듈 내부에 자급자족이 가능한 자체 순환 에너지원을 만들고, 스마트폰으로 연동 및 제어가 가능한 샤오미의 모든 전자제품을 하나의 단일 제품으로 통합하여 집과 가전이 결합한 새로운 주거 생태계를 형성한다. 스마트한 플랜테리어 e-VEGA HOUSE

[세상에 이런 집 #1] 미래 라이프스타일 쏙 담은 주택들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맞추어 거주자의 커뮤니티 환경과 대지 조건, 집에 담긴 새로운 가치를 재조명하는 전시, 하우스 비전(HOUSE VISION). 하우스 비전은 지난 2011년 일본 동경에서 일본디자인센터 대표이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무인양품(MUJI)의 아트디렉터인 하라 켄야(Hara Kenya)에 의해 시작됐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삶의 환경과 문제들을 고민하고 해결하는 ‘미래 주택’을 제시한다. 하우스 비전을 통해 우리의 미래가 될 내일의 집을 살펴본다. 무지가 만든 집, MUJI STAFF HOUSING By MUJI+GO HASEGAWA 4000년 전 중국의 주된 주거 유형이었던 동굴집과 화북지방의 중정형 전통 가옥인 사합원의 거주 방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을 공유하고, 계단을 통해 침실로 올라서면 개인적인 공간이 된다. ‘상호’와 ‘공유’ 개념에서 착안한  프로젝트. 이 집은 무인양품 직원들을 위한 거주공간으로 기획된 공간이다. 단순히 벽과 기둥으로 구성된 주택의 형식에서 탈피하고 무인양품 제품이 가진 효율성과 단순함을 활용해 공간을 분할한다. 침실 등의 개별 공간은 상부에서 서로 교차하고, 공유가 필요한 공간은 하부층에 두어 실제 살고 있는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자의 사회적 관계를 공간 안에서 이룰 수 있도록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새로운 주택 유형. 리얼 아웃도어 라이프, LIVING GARDEN

인공지능 시대에 외치는 수퍼 네이처 라이프

우리의 삶을 중심으로 번지는 작은 변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에디터가 선정한 홈 트렌드 인사이트 3가지. 버티컬 가든을 실내에 들이기 어려울 때 참고하면 좋을 스타일링 레시피.잎사귀가 패턴을 그리는 벽지로 벽을 마감하고,우드 결이 그대로 드러나는 수납장,톤 다운된 그린이 안정감을 더해주는 데코레이션. ⓒAETHION 라이프스타일 패턴이 조금씩 바뀌면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시작되는 변화,바로 집.공간의 면적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 나의 심리상태. ‘오늘은 정말 피곤했어.나를 위로하는 작은 한 평의 공간.’작은 공간에도 단5분 만이라도 나만의 온전한 휴식을 위해 리클라이너를 들이고,자연을 그대로 옮긴 듯한 소품 하나,달이나 우주 행성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조명,이동식 가구에도 나의 내면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긴다.내 심신을 아늑하게 보듬고 다독여줄 소재와 패턴 살펴보기. 안락한 무드는 나만의 공간의 필수. 2018메종오브제파리 라이트 트렌드 홀6에서 발견한 무드와 컴포터블 체어. ⓒAETHION 나무 한 그루를 통째로 얹은 듯한 행잉 플랜트, 나무의 결에서 모티프를 얻은 월 데코레이션 크래프트. ⓒAETHION 논현동 루덴스엔터테인먼트 신사옥의 1층 카페 LU. 우드결이 그대로 드러나는 마감재와 일렁이는 곡면을 만드는 벽면의 이너 라이트. 부드럽게 감싸는 벨벳 패턴으로 잠시 쉬어갈 수 있는 코지 공간으로 스타일링 됐다.